View : 13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덕유-
dc.contributor.author이윤정-
dc.creator이윤정-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58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58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92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927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597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escriptive correlation between relevant factors including emotional labor, resilience, and job stress for both male and female nurses working in special departments, and grasp how these factors are influential to a varied level depending on their gender. It also attempts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establishment of efficient labor management planning that considers the gender quality of male and female nurse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a group of total 116 female and 107 male nurses from General Hospitals and Advanced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Daejeon, Busan, Incheon, and Gyeonggi-do.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between April 1st, 2014 and May 30th, 2014. This study also used a structured survey for data collection with sections designated for general traits, emotional labor, Korean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K-CD-RISC), and a measurement tool for job stress.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WIN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Average age of the objects was 28.54±4.88 for male and 28.92±4.57 for female. Among them, 50.5% of the male group had college degrees while 56% of the female had the degrees of the same level. Total clinical experience for male was 60.22±56.75 months, whereas for female, it was 61.60±55.94 months. Service years for the current job turned out to be 49.61±47.78 months for male and 42.37±36.29 months for female. As for working hours, the scope between 10-11 hours made up the most portion with 43.9% for male, and 52.6% for female. 2. Emotional labor signified a notable level of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t=-2.140, p=.033) with the average of 3.27±0.64 points for males, and 3.44±0.53 for females. The female group showed slightly higher emotional labor level. Also, this factor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of male and female nurses(Male F=3.73, p=.014, Female F=4.49, p=.005), marital status(Male F=7.24, p=.008, Female F=4.47, p=.031), total years of clinical services(Male F=2.55, p=.044, Female F=4.42, p=.002) and working department(Male F=14.99, p<.001, Female F=15.74, p<.001). 2. Resilience had a notable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t=3.918, p<.001) with the average of 3.58±0.43 points for male nurses, and 3.36±0.39 points for female, representing higher resilience for male nurses. Also, the resilience factor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urses’ marital status(Male F=5.25, p=.024, Female F=10.20, p=.002), and for female nurses, age was another factor that impacts the resilience(F=2.76, p=.045). 3. Job stress for male nurses turned out to be 3.28±0.66 points, and 3.34±0.49 points for female on average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t=-.792, p=.429). Among the sub factors, a meaningful difference was observed for the variable of night shift work(t=-6.139, p<.001) with the female being more stressed about it(Male 2.69±1.14 points, Female 3.57±0.99 points). However, job stress was relevant to the age(Male F=6.37, p=.001, Female F=3.46, p=.019) and total years of clinical service(Male F=3.70, p=.007, Female F=4.63, p=.002), and male nurses’ job stress was also influenced by their marital status(F=9.79, p=.002) and their service years at current workplace(F=3.86, p=.006). 4. Emotional labor factor for both male and female nurs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tatistically(Male r=.552, p<.001, Female r=.482, p<.001). Emotional labor of male nurse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esilience factor to a significant level(r=-.210, p=.030). 5. A major factor that influences the job stress for both female and male nurses is emotional labor(β=.524, p<.001). From the research as above, this study has shown that, as the resilience of male nurses in special departments becomes larger, their emotional labor level goes down, while if the emotional labor factor becomes stronger for male and female nurses, their job stress becomes larger. Also, the emotional labor was proven to b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job stress, which results in the need for an emotion management program to decrease such job stress. Additionally, as female nurses are observed to deal with a higher intensity for emotional labor, it is required to establish various management strategies and systematic support to take care of their stress level caused by the emotional labor factor.;본 연구는 특수부서 남녀 간호사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조사 연구이다. 서울, 대전, 부산, 인천, 경기 지역의 10개 종합병원 및 상급종합병원의 남자간호사 107명과 여자간호사 1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14년 4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였다. 감정노동은 Morris와 Feldman(1996)이 개발한 도구를 기초로 김민주(1998)가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고 회복탄력성은 Connor와 Davidson(2003)이 개발한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을 백현숙, 이경욱, 주은정, 이미영과 최경숙(2010)이 번안, 타당화한 한국형 회복탄력성(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K-CD-RISC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는 김매자와 구미옥(1984)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변수의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증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고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녀 간호사의 평균연령은 남자 28.54±4.88세, 여자 28.92±4.57세로 전문학사졸업이 남자 50.5%, 여자 56%이었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남자 60.22±56.75개월, 여자 61.60±55.94개월이었으며 현 근무지 경력은 평균 남자 49.61±47.78개월, 여자 42.37±36.29개월로 나타났다. 근무시간은 10시간-11시간 미만인 간호사가 남자 43.9%, 여자 52.6%로 가장 많았다. 2. 남녀 간호사의 감정노동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t=-2.140, p=.033), 남자간호사 3.27±0.64점, 여자간호사 3.44±0.53점으로 여자간호사가 남자간호사보다 감정노동 정도가 높았다. 남녀 간호사의 감정노동은 연령(남자 F=3.73, p=.014, 여자 F=4.49, p=.005), 결혼상태(남자 F=7.24, p=.008, 여자 F=4.47, p=.031), 총 임상경력(남자 F=2.55, p=.044, 여자 F=4.42, p=.002), 근무부서(남자 F=14.99, p<.001, 여자 F=15.7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남녀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t=3.918, p<.001), 남자간호사 3.58±0.43점, 여자간호사 3.36±0.39점으로 남자간호사가 여자간호사보다 회복탄력성 정도가 높았다. 남녀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은 결혼상태(남자 F=5.25, p=.024, 여자 F=10.20,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여자간호사의 경우 연령(F=2.76, p=.04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남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792, p=.429). 하부요인 중 성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밤 근무(t=-6.139, p<.001)로 여자간호사가 밤 근무로 인한 스트레스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남자 2.69±1.14점, 여자 3.57±0.99점). 남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연령(남자 F=6.37, p=.001, 여자 F=3.46, p=.019), 총 임상경력(남자 F=3.70, p=.007, 여자 F=4.63,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남자간호사의 경우 결혼상태(F=9.79, p=.002), 현 근무지 경력(F=3.86, p=.006)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5. 남녀 간호사의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남 r=.552, p<.001, 여 r=.482, p<.001). 남자간호사의 감정노동은 회복탄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10, p=.030). 6. 남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정노동으로 나타났다(β=.524,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특수부서 남자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감정노동은 낮아지고 남녀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녀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업무특성을 고려한 감정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게다가 여자간호사가 남자간호사보다 감정노동 정도가 높았으므로 여자간호사를 위한 다양한 관리전략과 제도적 지원이 요구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4 C. 용어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간호사의 감정노동 7 B.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10 C.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13 Ⅲ. 연구방법 16 A. 연구설계 16 B. 연구대상 16 C. 연구도구 16 D. 자료 수집 방법 18 E. 자료 분석 방법 18 F. 연구의 제한점 19 G.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19 Ⅳ. 연구결과 및 논의 20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0 B. 대상자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차이 22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26 D. 대상자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33 E.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6 Ⅴ. 결론 및 제언 38 A. 결론 38 B. 제언 40 참고문헌 42 부록 59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35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특수부서 남녀 간호사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ative Research on emotional labor, resilience, and job stress for Male and Female Nurses in special departments-
dc.format.pagevi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