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주영주-
dc.contributor.author한애리-
dc.creator한애리-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51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51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8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88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5948-
dc.description.abstractDue to the recent economic recession, the growing youth unemployment rate has been a big social issue. As more focus has been paid to the employment of undergraduates, the government and schools have instituted various support policies to boost employment. Students also struggle for getting a desired job through the various activities. These efforts have implications not only for gaining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job market but also for considering emotional satisfaction of employment. However, most studies related to employment outcomes have been analyzed using employment status or wages. Multiple studies have centered on wages and job satisfaction affected by personal and external contextual factors have been examined but few have focused on understanding students' desire for employ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us to examine undergraduates' job preparation behavior with psychological personality and an environment variable affects employment outcomes syntagmatically. In this study, based on the Input-Process-Output Model, a hypothetical model was created composed self-efficacy and school environment as input variables, diversity of job preparation behavior as a process variable, and job satisfaction and wages as output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actor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and wages. In terms of the different purposes of establishment in higher education act, universities and colleges should have different school environments for supporting employment. Therefore this study 2) compares the differences in latent mean and influence between university and college groups. It can provide basic materials on employment support programs help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mployment outcomes for undergraduates. According to the goals of the present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Do self-efficacy and school environment perceived by undergraduate students have effects on diversity of job preparation behavior? 2. Do self-efficacy, school environment and diversity of job preparation behavior perceived by undergraduate students ha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3. Do self-efficacy, school environment and diversity of job preparation behavior perceived by undergraduate students have effects on wages? 4. Do school types(university, college) make any difference in the latent mean of self-efficacy, school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5. Do school types(university, college) make any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school environment, diversity of job preparation behavior, job satisfaction and wages? In this study, I utilized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enal(KEEP) data, tracked the students who responded self-efficacy, school environment and diversity of job preparation behavior in 2011 and matched their job satisfaction and wages in 2014 with a three year time gap. Eight hundred twenty-seven responders completed all the questions for the variables used in the present study. With SPSS and AMOS, analysis for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validity and reliability, was conducted and multivariate normality and correlation was checked. Then the measurement model was test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next step was to test the structural model and to analyze direct and indirect effect among the variables. Indirect effect was tested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Finally, by using latent means analysis and path coefficient comparison between groups, the differences in latent mean and influence between university and college groups were examined.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hool environment perceived by undergraduate stud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diversity of job preparation behavior, while self-efficacy perceived by undergraduate student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diversity of job preparation behavior. Second, self-efficacy and school environment perceived by undergraduate stud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lso, school environment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medium of diversity of job preparation behavior. Self-efficacy showed greater influence than school environment for job satisfaction. Meanwhile, diversity of job preparation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self-efficacy, school environment and diversity of job preparation behavior perceived by undergraduate stud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wages. Also, school environment had an indirect effect on wages by the medium of diversity of job preparation behavior. Self-efficacy and school environment showed greater influence than diversity of job preparation behavior for wages. Fourth,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etween university and college groups. Latent mean of self-efficacy in the university group was higher than that in the college group. Based on the present study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 of self-efficacy perceived by undergraduate students had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wages. In order to improve the employment outcomes, regular check-up on self-efficacy is needed for the step-by-step system in employment support programs. Moreover, psychological coaching and counseling which would help keep a positive attitude during job search period is recommended. Second, the variable of school environment perceived by undergraduate students had a direct effect on diversity of job preparation behavior, job satisfaction and wages. I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wages by the mediation of diversity of job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employment outcome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contents of career computer network and also to operate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urthermore, developing a specialized educational model through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is recommended. In terms of a curriculum, instruction strategy and training courses need to be reformed on the basis of the recent manpower requirement of students' desired companies. Third, diversity of job preparation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wages but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various job preparation activities give students more opportunities to acquire a high-paying job while they also give students low satisfaction because of high hope for the job.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mployment outcomes, schools should develop the programs giving shape to careers for meaningful job preparation behaviors. Also, schools should institutionalize individual career aptitude tests in the beginning and then use the test results to guide students through proper job preparation behaviors individually. Fourth, the latent mean of self-efficacy in the universit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llege grou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mployment competency support programs in colleges. Moreover, in terms of the purpose of school establishment in higher education act, designing method for employment support programs has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school type. In conclusion, three contributions are as follows. First, as few studies have focused on understanding undergraduates' desire for employment, in this study, it is theoretically significant that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qualitative employment outcomes and its'-affecting variables syntagmatically. Also examining the difference in latent mean and influence between university and college groups is theoretically valuable. Second, tracking the students who answered the questions for employment outcomes'-affecting variables and matching up to their employment outcomes with a three year time gap is a strong point of this study. Also this way of analyzing the data suggests the usable method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qualitative employment outcomes and its'-affecting variables. Third, the theoretical models can be used for employment support program design. This study also raised practical implications and new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in order to improve undergraduates' employment outcomes in employment support program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findings,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get a desired job, students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while they focus on few activities. Therefore, to consider both width and depth of job preparation behavior synthetically for measurement is suggested. Second, a longitudinal study is suggested, since the undergraduates' employment outcomes would appear quite different in terms of type of occupation and individual circumstances. Third, the variables of region, sex and major should be investigated in employment outcomes by structure equation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Fourth, various variables related with employment outcomes such as job stress, major congruence, career preparation period should be examined. They are also nee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ith employment outcomes.;최근 경기침체로 인해 점차 늘어나는 청년실업률은 우리사회의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정부와 대학들은 취업률 증진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학생들 또한 취업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취업준비활동에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단순히 취업 자체에 목적이 있기도 하지만 취업의 정서적 만족도 측면까지 고려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루어진 대부분 대학생의 취업성과연구는 단순취업여부만을 살펴보거나 임금과 관련된 것들이다. 나아가 취업 전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학교환경 요인이 임금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고려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기도 했지만 취업의 질까지를 고려하는 대학생들을 이해하는 데는 부족하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다양한 취업준비노력이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학교환경적인 요인과 함께 취업의 질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투입-과정-산출의 틀 안에서 개인의 심리적 상태인 자기효능감과 학교의 교육환경을 투입변인, 이들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을 과정변인으로 보고 산출변인인 직장만족도와 임금이 이들로부터 영향을 받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고등교육법」의거하여, 설립목적이 학문연구중심에 있는 대학과 취업중심에 있는 전문대학의 취업지원환경에 차이가 날 것이 예상되어 학교유형(대학, 전문대학)에 따른 잠재평균과 영향력을 비교함으로써 취업의 질적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배경과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학교환경은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2.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학교환경 및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은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3.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학교환경 및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은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가? 4. 학교유형(대학, 전문대학)에 따라 자기효능감, 학교환경 및 직장만족도의 잠재평균에 차이가 있는가? 5. 학교유형(대학, 전문대학)에 따라 자기효능감, 학교환경,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 직장만족도 및 임금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 8차년도(2011년) 데이터에서 자기효능감, 학교환경 및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에 응답한 대학생을 추적하여 3년 뒤인 11차년도(2014년) 데이터에서 임금근로자로서 직장만족도 및 임금에 응답한 827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확정하였다. 분석절차는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후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다변량정규분포정상성과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측정모형의 부합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구조모형의 부합도와 변인 간의 영향력을 비교하기 위해 직·간접효과를 분석한 후 부트스트래핑 방식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잠재평균분석과 집단 간 경로계수 비교를 통해 학교유형(대학, 전문대학)에 따라 잠재변인과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환경이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학교환경은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학교환경 및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이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과 학교환경은 직장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환경은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을 매개하여 직장만족도에 간접효과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장만족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이 학교환경의 영향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은 직장만족도에 음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학교환경 및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 학교환경 및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 모두 임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환경은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을 매개하여 임금에 간접효과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금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학교환경의 영향력이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의 영향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유형(대학, 전문대학)에 따라 자기효능감, 학교환경 및 직장만족도의 평균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효능감에서 대학 집단의 잠재평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유형(대학, 전문대학)에 따라 자기효능감, 학교환경,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 직장만족도 및 임금의 영향력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집단 간 경로계수를 비교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직장만족도와 임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대학생의 취업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취업지원프로그램에서 활용되고 있는 단계적 지원방식에 정기적인 자기효능감 관리 절차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나아가 학생이 취업준비기간 중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취업행동을 지속시킬 수 있도록 돕는 심리적 코칭과 개별맞춤형 컨설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둘째, 대학생의 학교환경이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 직장만족도 및 임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며,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을 매개하여 직장만족도와 임금에 간접적인 영향까지 미친다는 사실은 대학생의 취업성과를 높이기 위해 대학 취업전산망의 서비스 콘텐츠를 다양화하고 이를 연계한 통합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나아가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 고유의 특성화교육모델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대학의 교육과정측면에서도 학생들이 선호하는 기업들의 수요조사에 근거하여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전략을 정기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이 임금에는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직장만족도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다양한 취업준비행동은 취업시장의 더 많은 기회를 알려주기 때문에 학생들이 높은 임금을 주는 곳에 취업할 가능성을 높이지만, 반대로 직장에 대한 기대를 키워 실제 취업 시 직장 만족도를 낮출 수 있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질적 취업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학생들의 취업목표를 구체화시키고, 이를 의미있는 취업준비행동으로 이끌어 주는 취업지원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입학초기 진로적성검사를 필수제도화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취업준비행동을 조언해 주는 컨설팅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넷째, 자기효능감에서 대학 집단의 응답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전문대학에서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취업역량중심의 취업지원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나아가 원래 대학과 전문대학의 설립목적에 따라 이들의 취업지원프로그램 설계방식도 달라야 할 것이다. 대학의 취업지원프로그램은 학생개인의 학문적 욕구를 발견하고 이를 사회발전에 기여할 방안을 찾는데 초점을 두고 설계되어야 하며, 전문대학의 취업지원프로그램은 개별학과 진로와 연계하여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성과와 의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금까지 대학생의 취업성과연구가 취업의 질을 중시하는 오늘날 대학생을 이해하기 제한적인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이 개인의 심리적 특성 및 학교환경적 요인과 함께 취업의 질적 성과인 임금과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학교유형별 집단 간 차이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취업성과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응답한 학생들의 졸업 후 실제 상황을 추적 조사하여 이들의 취업결과를 분석하여 대학생의 질적 취업성과와 관련 영향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검증된 최종모형은 취업지원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저모형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대학의 취업향상을 위한 교수-학습전략 수립 및 향후 후속 연구에 유용한 시사점과 방향을 제시해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취업을 위해 다양하게 준비행동을 하기도 하지만 특정 준비행동만을 집중하여 실행하기도 하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취업준비행동의 범위와 함께 빈도까지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취업준비행동의 정도를 측정해 볼 것을 제안한다. 둘째, 대학생의 취업성과는 직종과 개인적 상황에 따라 그 성과가 나타나는 시기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고 취업성과를 조사하는 종단연구를 실시해 볼 것을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교유형뿐 아니라 지역, 성별, 전공 등에 차이를 가진 응답자들이 포함되어 있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지역, 성별, 전공에 따른 취업성과의 차이 및 관련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다집단 분석을 해볼 것을 제안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취업성과 관련 변인 외에 취업스트레스, 전공일치도, 취업준비기간 등과 취업성과와의 관계를 연구해볼 것을 제안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10 A. 청년고용실태와 취업현황 10 1. 청년고용실태 10 2. 취업현황 14 B. 대학취업성과 17 1. 취업성과의 개념 및 동향 17 2. 직장만족도 19 3. 임금 23 C. 취업성과 영향변인 28 1. 자기효능감 28 2. 학교환경 30 3.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 33 D. 관련 선행 연구 35 1.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과 관련변인과의 관계 35 2. 직장만족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 40 3. 임금과 관련변인과의 관계 47 E. 연구모형과 가설 55 Ⅲ. 연구방법 58 A. 연구대상 58 B. 측정도구 62 1. 자기효능감 62 2. 학교환경 62 3.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 63 4. 직장만족도 63 5. 임금 64 C. 자료수집절차 67 D. 자료분석방법 68 Ⅳ. 연구결과 71 A.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71 1. 기술통계 71 2. 상관분석 74 B. 측정모형의 검증 75 1. 측정모형의 부합도 분석 75 2. 측정모형의 타당도 분석 76 C. 구조모형 검증 80 D. 수정모형 검증 84 E. 간접효과 검증 89 F. 학교유형별 다집단 분석 91 1. 잠재평균분석 91 2. 집단 간 경로계수 비교 95 Ⅴ. 결론 및 제언 98 A. 결론 및 논의 98 1. 취업준비행동의 다양성과 영향변인 간의 관계 검증 99 2. 직장만족도와 영향변인 간의 관계 검증 101 3. 임금과 영향변인 간의 관계 검증 106 4. 학교별 잠재평균 및 집단 간 차이 검증 110 B. 시사점 및 연구의 의의 113 C.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116 참고문헌 118 부록 134 ABSTRACT 1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814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대학생의 취업성과와 관련 영향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ffecting Employment Outcomes for Undergraduates in South Korea-
dc.format.pagexii, 14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