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민지-
dc.contributor.author이혜민-
dc.creator이혜민-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50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5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3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30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5944-
dc.description.abstract디지털 구강 스캐너의 발전은 치과 진료 환경에도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모델의 디지털 영상은 교합 접촉의 상태를 시각화하는데, 스캐너를 이용한 악간 관계 기록 방법은 주로 최대감합 상태에서 협측면을 스캔하여 얻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교합된 상태의 협측면을 스캔하여 악간 관계를 기록할 때에 실제 교합을 재현할 수 있는지를 프리스케일의 교합 면적과 비교해 보고 이를 통해 임상에서 교합 분석이 가능한가를 보기 위함이다. 온전하게 보관된 I급 부정교합자 모형 27쌍을 선택하여 상하악 모형을 각각 스캔하고 인스트론으로 600N 하중을 준 상태에서 교합시의 협측면을 스캔하여 색상 코드 교합면 지도(color coded occlusion map)를 얻었다. 또한 교합기에 마운팅한 상하악 모형 사이에 프리스케일 압력감지필름을 물리게 하여 인스트론으로 600N 하중으로 누른 후 압력감지필름을 Occluzer®로 교합력과 교합 면적을 판독하였다. 얻은 두 종류 면적을 접촉면적 백분율로 환산하여 대구치, 소구치, 전치군으로 나누어 각각 비교하였다. 각 측정치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과 피어슨 상관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구치군과 소구치군에서는 구강 스캐너와 프리스케일에서의 교합 접촉면적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전치군에서는 구강 스캐너와 프리스케일에서의 교합 접촉면적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가상 교합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p<0.05) 3차원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교정 진료가 보편화 되기 위해선 정확한 전체 악궁의 스캔이미지를 얻을 수 있어야 하며 가상 교합이 실제 교합을 재현할 수 있어야 한다. 스캔 이미지를 이용한 가상 교합은 구치부 교합 접촉에 대한 진단 및 조정 술식에서 보조적인 참고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가상 교합을 구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3차원 이미지를 완벽하게 정렬하고 정합하지 못하는 한계점도 있다. 따라서 환자의 악간 관계를 좀 더 정확하게 재현하는 스캐닝 기술과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development of digital scanners is bringing about a lot of changes to the dental treatment environment. As digital scanners develop and are introduced to the clinical field,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evaluation for the accuracy of digital scans and images in the full arch and virtual occlusion. By comparing the occlusal contact areas obtained from the prescale and a 3D scanner,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occlusal analysis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by determining the accuracy of bite obtainment through a buccal scan method. The models were divided into Molars, Premolars, and Anteriors group. The occlusal contact areas calculated by the prescale method and the scanning method were compared, and the ratio of the molar and incisor groups were compared in order to find any particular tendencies. The data gathered was analyzed using the paired t-test, simple regression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95%.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scale results and the scanner results in both the Molar and Premolar groups.(p>0.05)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scale and the scanner results in the Anteriors group with the scanner results presenting overestimation of the occlusal contact points.(p<0.05) Compared to the area of the molar region, the area of the anterior region obtained from the scanne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overestimation. For 3D digital imagery to be used in orthodontic treatments, precise full arch scans must be possible, as well as reproduction of the virtual occlusion and actual occlusion. Virtual occlusion using scanned images can be used as a reference in the diagnosis and modification of the molar occlusal contact.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process of constituting a 3-dimensional virtual occlusion that is absolutely precis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software and scanning techniques that are able to reproduce the patient's jaw relationship more precis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 재료 및 방법 3 A. 연구재료 3 B. 연구방법 6 C. 통계분석 10 Ⅲ. 연구 결과 11 A. 교합 접촉 면적 비교 11 B. 단순회귀분석 및 상관분석 13 Ⅳ. 고찰 15 Ⅴ. 결론 19 References 20 ABSTRACT 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512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가상 모델과 실제 모델에서의 교합 접촉 면적 평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I급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한 비교연구-
dc.title.translatedComparison the occlusal contact area of intraoral scanner to the occlusal contact area of prescale : patients with ClassI malocclusion-
dc.format.pageiv, 2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