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오란-
dc.contributor.author김효빈-
dc.creator김효빈-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45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45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92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929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5927-
dc.description.abstractWe analyzed data from the 2010-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to compare the food and nutrient intake and diet quality of postmenopausal women who have high risk for osteopor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 to those of control subjects. In this study, we classified the subjects into the OP group, composed of women who have a high risk for osteoporosis(n=135), CVD group, composed of women who have a high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n=373), OP+CVD group, composed of women who have a high risk for osteopor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t the same time(n=218), and Control group(n=405) according to their lumbar spine bone mineral den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eneral characteristic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lood test results, dietary intake, and dietary quality indices were measured and evaluated. In the OP+CVD group, age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house income, education level, and job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Control group. Waist circumference, total body fat percentag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fasting plasma glucos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ow density lipoprotein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P+CVD group than in Control group. High density lipoprotein, total femur bone mineral density, femur neck bone mineral density, and lumbar spine bone mineral densit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P+CVD group than in Control group. In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he OP+CVD group consumed significantly higher quantities of grain except for multi-grain and vegetabl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the OP+CVD group consumed significantly lower quantities of fruit and dairy produc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nutrient intake, percentage of protein of total caloric intake was significantly lower and percentage of carbohydrate of total caloric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P+CVD group than in Control group. Also, OP+CVD group consumed significantly lower quantities of retinol, vitaminB2, niacin, calcium, phosphoru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diet quality, any nutrient adequacy ratio(NA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group. However, the OP+CVD group consumed far less than recommended amounts of vitamin B2, vitamin C, and calcium. Mean adequacy ratio(MAR) of OP+CVD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0.74 and 0.76, respectab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rotein, vitaminB2, niacin, and phosphorus of nutrient density(ND) and Index of Nutritional Quality(INQ)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Especially, the OP+CVD group had less vitamin B2 and niacin than recommended. In conclusion, the OP+CVD group had too much carbohydrate, especially simple carbohydrate with insufficient protein and fat results in an imbalanced diet. Furthermore, they had lower vitamin B2, and niacin intake quality and fruit and dairy product intake frequency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o promote skeletal and cardiovascular health, dietary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for postmenopausal women who have a high risk for osteopor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 to make sure adequate intake of nutrients and minerals.;본 연구는 폐경 후 여성을 중 특별히 골다공증과 심혈관 질환 위험도가 모두에 높은 대상자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를 조사 및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폐경 후 여성을 골다공증 유병유무와 심혈관 질환 위험도에 따라 Control군(대조군), OP군(골다공증군), CVD군(심혈관질환군), OP+CVD군(골다공증+심혈관질환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별 일반적인 특성, 식생활 및 식품섭취빈도, 영양소 섭취 및 평가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전체 대상자 1,131명 중 Control군은 405명(35.8%), 골다공증 유병자인 OP군은 135명(11.9%), 심혈관 질환 위험도가 높은 CVD군은 373명(33%), 골다공증 유병자이면서 심혈관 질환 위험도가 높은 OP+CVD군은 218명(19.3%)이었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Control군이 57.7세, OP+CVD군이 70.95세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OP+CVD군에서는 70세 이상의 비율이, Control군에서는 45-59세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OP+CVD군은 Control군에 비해 소득수준이 낮은 그룹, 교육수준이 낮은 그룹,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그룹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신체계측과 혈액검사 결과, OP+CVD군은 Control에 비해 허리둘레, 체지방량,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공복혈당,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 대퇴골 골밀도, 대퇴골 경부 골밀도, 요추 골밀도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식생활 및 식품섭취빈도 결과, OP+CVD군은 Control군에 비해 흡연비율과 가족동반 점심 및 저녁식사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외식비율, 영양교육 경험비율, 영양표시인지비율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식품섭취빈도조사 결과, OP+CVD군은 잡곡을 제외한 곡류와 채소류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과일류와 유제품류의 섭취빈도는 유의적으로 낮았다. 영양소 섭취 결과, OP+CVD군은 Control군에 비해 단백질, 총 열량 중 단백질 비율, 레티놀, 비타민B2, 나이아신, 칼슘, 인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적었고 총 열량 중 탄수화물의 섭취비율(p<0.05)은 유의적으로 높았다. 식사의 질 평가 결과, 영양소 적정 섭취비(NAR)에서는 OP+CVD군이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영양소는 없었지만 대부분의 영양소의 섭취가 권장량보다 부족했으며 특히, 비타민B2, 비타민C, 칼슘의 섭취가 매우 부족했다. 전반적인 영양소 섭취의 질을 나타내는 평균 영양소 적정 섭취비(MAR)도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OP+CVD군의 점수가 0.74, Control군의 점수가 0.76으로 더 낮았다. 열량 섭취의 영향을 제외하고 영양소 섭취의 질을 평가하는 영양밀도(ND)에서는 OP+CVD군이 Control군에 비해 단백질, 비타민B2, 나이아신, 인의 수치가 유의적으로 낮았고 영양의 질적 지수(INQ)에서도 OP+CVD군이 Control군에 비해 단백질, 비타민B2, 나이아신, 인의 수치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이 중 비타민B2, 나이아신의 수치가 1이하로 섭취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OP+CVD군은 Control군에 비해 체성분구성, 혈액검사결과, 골밀도 측면에서 더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가 있었다. 총 열량 중 탄수화물 섭취비율은 높지만 그 중 잡곡류를 제외한 곡류의 섭취비율이 높았으며, 단백질 섭취비율은 낮지만 그 중 적색육류 및 가공육의 섭취비율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채소류 섭취는 많았지만 과일류와 유제품류의 섭취는 적은 불균형적인 식사를 하고 있었다. 모든 폐경기 여성에서 대부분의 미량 영양소가 부족했지만 OP+CVD군에서 Control군보다 비타민B2, 나이아신이 부족해서 OP+CVD군의 식사의 질이 Control군에 비하여 좋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폐경 후 여성에게 대표적으로 유발되는 건강문제인 골다공증과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해 개별적인 의학적 치료와 함께 식생활 관리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3 A. 연구의 필요성 3 B. 연구의 목적 6 Ⅱ.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7 A.연구대상자 7 1. 골다공증 판단기준 7 2. 심혈관질환 위험도 판단기준 8 B. 연구 내용 및 방법 13 1. 인구사회학적 요인 13 2. 신체계측 및 혈액학적 요인 13 3. 건강행태 및 식습관 요인 14 4. 식품 섭취빈도 평가 14 5. 영양소 섭취 평가 17 C. 자료분석 및 통계처리 19 Ⅲ. 연구결과 20 A.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및 심혈관질환 위험도에 따른 일반적인 특징 20 1. 골다공증 유병 유무 및 심혈관질환 위험도에 따른 분류 20 2. 인구사회학적 요인 22 3.신체계측 요인 25 4.혈액학적 요인 27 B.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및 심혈관질환 위험도에 따른 식생활 및 식품섭취빈도 요인 29 1. 건강행태 요인 29 2. 식습관 관련 요인 31 3. 식품섭취빈도 34 C.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및 심혈관질환 위험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 및 평가 37 1. 영양소 섭취량 37 2.영양소 섭취평가 41 Ⅳ. 고찰 47 Ⅴ. 연구결론 56 참고문헌 59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69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및 심혈관 질환 위험도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섭취 상태 평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분석-
dc.title.translatedAssessment of food and nutrient intake level by the risk of osteopor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postmenopausal women : Data from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Survey, 2010-2011-
dc.creator.othernameKim, Hyo Bin-
dc.format.pageiv, 65 p.-
dc.contributor.examiner박희정-
dc.contributor.examiner김양하-
dc.contributor.examiner권오란-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