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6 Download: 0

인성 관련 역량 향상을 위한 현대시 교육 내용 연구

Title
인성 관련 역량 향상을 위한 현대시 교육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mproving the Character-related Competencies in Poetry Education
Authors
하명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시 교육에서의 인성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현 실태를 점검하고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먼저 현 실태를 진단하기 위해서 학교 교육을 구성하는 '교육과정', '교과서', '교사' 요소를 중심으로 현대시 교육에서의 인성교육이 구현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어 현대시 교육에서의 인성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현대시 교육에서의 인성 관련 역량으로서 자기 성찰 역량과 타자 배려 역량을 제안했다. 이어 타인을 배려하는 과정에서 성찰을 수행할 수 있는 경험을 중심으로 현대시 교육 내용을 마련했다. Ⅱ장에서는 문학교육에서의 인성교육 분석을 위한 전제를 마련하기 위하여 현재 논의되고 있는 인성교육에 관한 쟁점들을 파악한다. 특히 국가 주도적인 인성교육과 교과 교육 내 인성교육에 관한 쟁점들을 다루었고 그에 따라 인성교육의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통한 교과 교육에서의 인성교육이 보다 활성화되어야 함을 주장하면서, 인성교육 구현 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자 학교 교육의 구성 요소에 관하여 살폈다. Ⅲ장에서는 교육과정, 교과서, 교사 요소를 중심으로 세 가지 측면에서 현 문학교육에서의 인성교육 구현 양상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인성교육 강화에 따라 2012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국어과 인성 핵심 역량의 요소에 따라 세부 성취기준이 보완 및 신설되었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총론 수준의 인성 관련 역량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에 반영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러한 과정에서 명시적인 성취기준이 제시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나 실제 그러한 요구가 적극 반영되지 못했고, 중학교 수준에서의 인성교육 내용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인성교육에 관련한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교과서의 단원 및 단원 목표, 학습 활동 등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살폈다. 그 결과 인성교육 내용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 이에 명시적인 교육과정 내용이 요구될 필요가 있음을 파악하고, 국어과 인성 핵심 역량 요소 역시 함께 재정비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교사 인식에 관해서는 문학교육에서의 인성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부분 동의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개선과 관련해서는 교육과정, 교사, 교과서 등 다양한 방향에 대해 응답하고 있으나 문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개선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앞서 Ⅲ장에서 분석한 내용들을 토대로 현대시 교육에서의 인성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했다. 특히 인성 관련 역량 중 자기 성찰·계발 역량에 초점을 두어 구체적인 인성교육 내용이 마련되어야 함을 확인하였고, 그러한 역량을 자기 성찰 역량으로 재설정될 필요가 있음을 제기했다. 이와 함께 타자 배려 역량을 추가적으로 제시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역량을 중심으로 그 구성 요소를 재설정하되, 미드와 호네트, 나딩스의 논의를 중점적으로 참고하였다. 그 구체적인 내용을 마련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윤동주 시를 중심으로 시적 자아가 타자를 배려하거나 타자로부터 배려를 받는 과정에서 성찰에 이르는 양상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배려 경험의 세 가지 과정을 설계했다. 학습자들은 먼저 공감과 몰입을 통한 타자 이해를 시도한다. 이어, 타자의 행위에 대한 반응을 통하여 배려 관계를 형성한다. 이 두 가지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들은 배려자와 피배려자로서의 경험을 수행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은 배려 관계 내에서의 배려 행위로부터 특정한 가치를 발견하고 그로 인한 자기 반성을 시도함으로써 획득한 가치를 내면화하여 성찰에 이른다. 이와 같은 세 가지 과정에서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윤동주 시 외의 다양한 작품을 제시하고, 배려 경험을 통한 성찰적 주체로 학습자들을 이끌어낼 수 있는 현대시 교육 내용을 설계했다. 이로써 학습자들이 윤리적 자아를 형성하고 타자와의 관계에 있어 배려할 줄 알며, 그와 동시에 배려 받을 수 있는 개인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이로써 현대시 교육에서의 인성교육에 관한 보다 다양한 논의들이 다뤄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haracter education in poetry education and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the drawbacks that are discovered in the field. In order to diagnosis the current state, aspects are examined where character education is implemented in modern poetry education, focusing on the factors such as curriculum, textbooks, and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plans to vitalized character education in poetry education is investigated. In this study, specifically self-reflecting competency and others-caring competency are suggested to complement the contents related to character-related competencies. With these, teaching materials can be developed in which leaners reflect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caring for others. Chapter Ⅱ deals with issues related to both nation leading character education the one within subject matter education. It further sets a direction to strengthen specific contents for character education. Hence, this study claims that character education in subject matter education should be further vitalized through the curriculum in national level. In Chapter Ⅲ, components of school education are explored in order to set up a standard to analyze implemented aspects of character educ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First, in Chapter Ⅲ the curriculum has been checked, focusing on the revised version of Korean National Curriculum after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reinforced.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re is a need for strengthening character education with explicit achievement standards for middle school students. Further, in Chapter Ⅲ, textbook units, unit objectives, and learning activities are studied in all aspects, focusing on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It was discovered that character education is not clearly defined in general. In Chapter Ⅳ, specific directions are suggested to vitalize character education in poetry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ed factors done in Chapter Ⅲ. It was examined that specific contents should be provided in character education, especially focusing on self-reflective and self-improvement competencies among character-related competencies. In this, that competencies should be revised to self-reflection competency. Additionally, others-caring competency is suggested. In this study, these two competencies are suggested as new factors in the reference to the discussion of G. H. Mead and N. Noddings. To build a detailed contents, poems written by Yun Dong-ju are studied. Especially, the aspects reflecting self in the process of caring others and being cared for as a poetic self and others are examined. Based on this, three processes are proposed. In the first process, the leaners understand others through empathy and engrossment. Second, as they respond to others' behavior, caring relationship is created. Through this process, learners experience both as 'the one-caring' and 'the cared-for.' Finally, learners find exclusive values from caring behavior in their caring relationship, and those values are internalized through self-examination. To build an education contents in these three aspects, this study has proposed poetry education that can lead learners into reflective-subject through experience of caring in the process of reading poems written by Yun Dong-ju and other authors. In this, learners can create ethical-self and grow up as 'the one-caring' and the one 'cared-for.' Discussions on character education in poetry education are expected to be examined continual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