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이소라-
dc.creator이소라-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39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39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7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75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590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ontents and strategies of ecopoetry reading education as a method of critical acceptance. ecopoetry education aims to make students to realize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the ecological crisis through a group of works dealing with ecological themes and to form an alternative thinking. However, it has been taught only by accepting the lessons according to text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critical acceptance to conduct ecopoetry education research. In chapter Ⅱ, the necessity for specifying the concept of critical acceptance is explored. The concept of critical acceptance in literary education is also specified. Since critical acceptance is a concept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 of critical thinking. It is identified that the discussion on critical thinking in pedagogy is shifted from emphasizing techniques or attitudes to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and attitude. In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 such trend is applied to actively solve problems in a world where these changes are diversified and to ​ask the ceaseless thinking about how to live a desirable life. Nonetheless, critical acceptance in current literary curriculum only focuses on the ability to evaluate text negatively. In this study, ecocricticism theory is examined to specify the concept of critical acceptance. Therefore, critical acceptance in literary education is a way of accepting literature to raise questions about everyday ways of life and to reflect the outcomes to oneself by judging and evaluating positive or negative aspects about text while adjusting the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texts and readers. In chapter Ⅲ, the aspects of critical acceptance for reading in ecopoetry are specified based on objects, actions, and contents. First, critical acceptance explores the intention of literary shaping. The readers are able to recognize the ecological crisis by finding meanings contained in confrontation and personification as literary formative methods that ecopoetry customarily suggested. Second, in terms of exaggerated perception of nature and human being, the readers are able to find the narrowness of nature and human perception through the greatness of nature revealed in ecopoetry and the recognition of human-centered situation. Third, critical acceptance questions about the underlying consciousness contained in the thinking of future. The readers can question about the duality with thinking of future of both extremes that will result in human-destructive outcomes and ecological communities. In Chapter Ⅳ, this study presents the practice of critical acceptance as an ecopoetry reading strategy. The students can use the critical acceptance by reading ecopoetry strategically, realizing the ecological crisis of communities, imagining the possible world through the cracks and reflections of everyday life, understanding relational reason and cultivating ecological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provide contents and strategies of ecopoetry reading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critical acceptance in ecopoetry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e discussion on practical methods for ecological education can be spread.;본 연구는 생태시 읽기 교육에서 비판적 수용을 방안으로 제시하여 그 내용과 전략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태시 교육은 생태학적 주제를 다룬 일군의 작품을 통해 학습자가 생태 위기의 현실을 자각하고 그에 대한 대안적 사유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삼지만, 텍스트의 주제에 따라 교훈을 익히는 것으로 교수‧학습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수용에 주목하여 생태시 읽기 교육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비판적 수용 개념이 구체화되어야 할 필요성을 밝히고, 문학교육에서 비판적 수용 개념을 구체화하였다. 비판적 수용은 비판적 사고와 관계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먼저 비판적 사고 논의의 흐름과 적용 양상을 살폈다. 교육학에서의 비판적 사고 논의는 기술이나 태도를 강조하는 것에서 태도나 성향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어 왔다. 국내외 교육과정에서는 비판적 사고를 다변화하는 세계에서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성향으로 받아들이고, 학습자로 하여금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바람직한지 끊임없는 사유하게 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문학교육과정에서 비판적 수용은 텍스트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능력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서 비판적 수용 개념이 한계를 지닌다고 보고, 비판적 수용에 대한 재개념화를 통해 그 의미역을 확장하고, 생태시 읽기 전략 차원에서 비판적 수용을 적용하였다. 비판적 수용의 재개념화를 위해 우선 여러 생태 비평 이론을 검토하였는데, 심층생태론은 질문을 통해 인간 중심적 사고를 회의하고 관계적 사유를 체화하는 데에 역점을 두는 데에서, 사회생태론은 변증법적 이성을 중심으로 지배와 위계로 인한 사회 구조적 모순을 발견하는 것에서 비판과 관련된다. 나아가 비판은 대상에 대한 긍정적 혹은 부정적 가치 평가를 포함하며, 은폐된 이데올로기를 간파하고 그에 저항하려는 반성적 사고이다. 따라서 문학교육에서 비판적 수용은 독자가 텍스트와 심리적 거리를 조율하며 텍스트에 관하여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판단하고 평가함으로써, 일상적인 삶의 방식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그 결과를 자신에게 환원하려는 문학 수용의 방법으로 개념화될 수 있다. Ⅲ장에서는 생태시 읽기를 위하여 비판적 수용을 대상, 행위, 내용의 기준을 토대로 그 양상을 구체화하였다. 첫째, 문학적 형상화의 의도 탐구이다. 독자는 생태시가 관습적으로 보이는 문학적 형상화 방식인 대립과 의인화에 담긴 의미를 찾아내어 생태 위기를 자각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자연과 인간에 대한 과장적 인식의 간파이다. 독자는 생태시에서 드러나는 자연에 대한 위대함과 인간 중심적 상황 인식을 통해 자연과 인간에 대한 인식의 편협함을 발견하게 된다. 셋째, 미래적 사유에 담긴 기저의식을 회의하는 것이다. 독자는 인류 파괴적 결과와 생태 공동체를 이룩할 것이라는 양 극단의 미래적 사유를 두고 이중성을 회의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생태시 읽기 전략으로서의 비판적 수용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학습자는 생태시의 관습적 경향을 탈피하여 새로운 관점으로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텍스트의 결을 거슬러 읽을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필요로 한다. 학습자는 생태시를 읽기 위해 비판적 수용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면서 공동체적 생태 위기를 자각하고, 일상의 균열과 반성을 통해 가능한 세계를 상상하며, 관계적 사유를 이해하고 책임 의식과 생태적 정체성을 함양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생태시 교육에서 비판적 수용을 그 방안으로 하는 것에 주목하여, 이를 고려한 생태시 읽기 교육의 내용과 전략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생태시 교육을 위한 실천적인 방법 논의가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4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0 Ⅱ. 비판적 수용을 위한 이론적 전제 15 A. 비판적 수용 개념 구체화의 필요성 15 1. 비판적 사고 논의의 변화 15 2. 국내외 교육과정의 비판적 수용 개념의 변화 19 B. 비판적 수용 개념의 구체화 23 1. 생태 비평에 나타난 비판의 지향 23 2. 거리의 조율과 성찰에 기반한 비판적 수용 개념의 재개념화 29 Ⅲ. 생태시 읽기를 위한 비판적 수용의 양상 33 A. 문학적 형상화의 의도 탐구 33 1. 이분법적 대립 구도 비판 33 2. 자연-인간 동일시의 의인화 구도 비판 37 B. 자연과 인간에 대한 인식 파악 41 1. 과도한 인간 중심적 상황 인식 비판 42 2. 위대한 자연 설정의 인식 비판 46 C. 미래적 사유에 담긴 기저의식 회의 49 1. 종말론적 예언의 이면 비판 50 2. 생태 공동체 속의 생태적 정체성 비판 54 Ⅳ. 생태시 읽기 전략으로서의 비판적 수용의 실제 58 A. 시적 상황의 구체화 60 1. 동일성의 이미지 변주를 통한 공동체적 생태 위기의 자각 61 2. 인간의 자연화를 통한 인식의 전복 경험 63 B. 관계적 사유의 확장 65 1. 관계적 사유의 이해와 공존의 가치 인식 65 2. 책임 의식과 생태적 정체성의 함양 67 C. 가능한 세계의 상상 70 1. 주변의 발견을 통한 일상의 균열 경험 70 2. 낯섦을 통한 일상의 반성 72 Ⅴ. 결론 75 참고문헌 77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03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비판적 수용을 통한 생태시 읽기 교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copoetry reading education by critical acceptance-
dc.format.pagev,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