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지혜-
dc.contributor.author김지은-
dc.creator김지은-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39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39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5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53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590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다성성에 기반한 소설 텍스트의 윤리적 이해 교육을 위한 소설교육 방향을 모색하고, 그 방법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소설교육은 바람직한 학습 주체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소설교육의 내용 및 방법을 지속적으로 고민해 왔으며, 이를 통해 보다 진전된 ‘교육 목표’나 ‘의의’를 마련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설 텍스트의 ‘어떤’ 지점에서 ‘어떻게’ 윤리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가에 대해 주목하고, 이 지점에서 바흐친(M. M. Bakhtin)의 다성성(polyphony) 개념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습 독자들이 소설 텍스트의 수용 과정에서 ‘서술자’를 단일한 입장을 보이는 하나의 인격체로 환원해 온 문제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수많은 언술 주체를 상정하는 다성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중개자’의 개념을 활용하고, 이를 통해 타자의 언술과 상황에 비판적이고 공감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윤리적 이해 교육의 방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소설 텍스트와 윤리의 관계를 고찰하고, 소설교육에서의 반영 양상을 살폈다. 이때 소설 텍스트가 내용 측면뿐만 아니라 형식 측면도 윤리와 관련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설교육에서는 주로 내용 측면에 국한된 윤리적 의의를 강조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성성에 기반한 시각이 앞선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보고, 다성성의 특성을 살펴 소설 텍스트 이해에 적용 가능한 지점을 크게 언술 차원, 시공간 차원, 상황 차원으로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소설 텍스트 이해의 과정은 단순히 내용 차원에 국한된 것이 아닌, 형식 차원도 고려하여 다른 언술 주체들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는 타자 이해를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윤리적 의의를 지닌다. Ⅲ장에서는 양귀자의 󰡔원미동 사람들󰡕에 수록된 작품들을 중심으로 다성성에 기반한 윤리적 이해의 실제를 살펴 유형화하였다. 첫째, 대화화된 언술의 다각적 이해이다. 독자는 자신에게 이야기를 전달하는 주체를 서술자로 환원하지 않고, 이를 가변적인 중개자 역할로 파악함으로써 중개자가 보이는 가치적 서술을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독자는 중개자를 비롯한 수많은 언술 주체들이 형성하는 담론 구조를 파악함으로써 이러한 목소리들이 구성하는 조화·충돌·왜곡 등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다. 둘째, 다성적 시공간의 확장적 이해이다. 독자는 연작 소설 󰡔원미동 사람들󰡕을 읽는 과정에서 언술 주체들을 둘러싼 시공간을 다면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이를 특수한 시공간으로 고정시키지 않고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하여 동시대 다른 시공간의 언술과 교섭시킴으로써 확장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가치 판단 상황에 대한 참여적 이해이다. 다성성에 기반한 시각은 󰡔원미동 사람들󰡕의 문제 상황이 다양성을 도외시한 채, 획일화된 가치 추구로 인해 발생한다는 인식을 가능케 한다. 이를 바탕으로 독자는 문제 상황에 대한 해결적 접근으로써 대화적 이해를 시도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타자가 위치한 상황에 대한 이해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윤리적 의의를 갖는다. Ⅳ장에서는 다성성에 기반한 소설 텍스트의 윤리적 이해 교육을 위한 소설교육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교육 방향은 크게 다성성에 기반한 윤리적 이해의 ‘과정’과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다성성에 기반한 윤리적 이해의 과정은 복수의 언술 주체를 상정함으로써 단선적인 이해를 지양하는 ‘소통 구조에 대한 비판적 재인식’과, 독자 자신을 지우지 않은 채 다양한 존재들을 이해하는 ‘공감적 이해에 근거한 작품 세계와의 교섭’으로 구체화하였다. 이러한 다성성에 기반한 윤리적 이해의 과정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소통 맥락을 고려한 관계적 이해’, ‘타자 이해를 통한 상황윤리적 사고’, ‘서사적 사고에 기반한 메타적 성찰’로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 독자들이 소설 텍스트를 윤리적으로 이해함에 있어 필요한 다양한 지점들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다성성에 기반한 소설 텍스트의 윤리적 이해 교육’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소설 텍스트를 대상으로 많은 학생의 실제 이해 양상을 살펴 세부적인 방법론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보다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This study aims at searching for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directions and methods of ethical understanding novel text from the perspective of ‘polyphony’, which is Mikhail Mikhailovich Bakhtin’s literary term. Although the purpose of novel education is to promote the student readers to grow up desirably, related studies are not adequate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These studies simply focused on educational ‘goals’ or ‘importance’. To deal with this proble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s how to understand ethically from specific point of novel text with the perspective of polyphony. In this study, I focus on the issue that student readers often misunderstand that ‘mediators’ in novel text are ‘one person’, who has a single position and viewpoint. At this point, I tried to utilize the concept of polyphony which premises plural enunciative subjects for understanding various ‘the Other’. In chapter II,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vel texts and ethics. Through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novel text can be related with aspect of content and form. However, both aspects were not reflected much in novel education. For this reason, I thought these problems could be solved by utilizing the perspective of polyphony. So I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ethical understanding with the perspective of polyphony. They can be applied in ‘dialogic enunciation level’, ‘polyphonic world of space and time level’, ‘value judgmental situation level’. On account of polyphony which postulates a lot of enunciative subjects and voices, understanding novel from the perspective of polyphony has ethical aspects that can make readers understand ‘the Other’. In chapter III, I analyzed realities of ethical understanding based on the polyphony by focusing 《Wonmi-dong people》 written by Yang Gui-ja(양귀자). When readers accept the novels from the viewpoint of polyphony, they could understand the novels multilaterally, extensively, and attentively. First, readers can distinguish between ‘mediators’ and ‘narrator’, so they are able to recognize mediators’ value-laden narrative. Furthermore, readers can understand the interplay of harmony, conflict, reiteration of enunciative subject’s voices by identifying the structure of discourse. Second, readers can compose the multi-dimensional time and space of the novels with the frame of enunciative subject. Through this process, readers’ understanding can be expanded to contemporary enunciative subject’s voices at another space without fixing specific time and space from the viewpoint of serialization or intertextuality. Third, readers can experience participatory understanding of value judgmental situation. Point of polyphonic view, makes the understanding that problems of 《Wonmi-dong people》 is caused by the pursuit of uniformized value without diversity. Based on this, the reader can approach to value problems by dialogic understanding. This is meaningful because it leads to understanding of ‘the Other’s circumstance. In chapter IV, I tried to find the directions of novel education for ethical understanding based on polyphony. The direction of novel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process’ and ‘method’ of ethical understanding based on polyphony. Ethical understanding process based on polyphony was realized as ‘critical re-perception about communication structure’ and ‘transaction with literary world based on sympathic understanding’. As a way to further realization of this ethical understanding based on polyphony, I suggest ‘relational understanding considered communication context’, ‘Thinking of situation ethics through understanding the Other’, and ‘meta-reflection based on narrative thinking’.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presents various ethical understanding points of novel. However, in order to realize more practical and specific ethical understanding education based on polyphony, it is necessary to learn more about actual understanding aspects of students and provide concrete methodolog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7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2 Ⅱ. 소설 텍스트의 윤리적 이해와 다성성 활용의 의의 23 A. 소설 텍스트 수용에서의 윤리적 이해의 국면 23 1. 소설 텍스트와 윤리의 관계 고찰 24 2. 소설교육에서의 윤리적 이해 32 B. 다성성의 특성과 윤리적 이해의 지점 39 1. 다성성에 기반한 소설 텍스트 이해의 특성 41 2. 다성성에 기반한 소설 텍스트 이해의 윤리적 의의 49 Ⅲ. 다성성에 기반한 소설 텍스트의 윤리적 이해의 실제 57 A. 대화화된 언술의 다각적 이해 57 1. 중개자 태도 파악을 통한 가치적 서술의 이해 58 2. 중층적 담론 구조 파악을 통한 주체 간 상호작용 이해 63 B. 다성적 시공간의 확장적 이해 68 1. 연작 구조에 기반한 작품 내적 시공간 파악 69 2.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작품 외적 시공간 연결 77 C. 가치 판단 상황에 대한 참여적 이해 83 1. 단일 가치 추구의 문제 상황 인식 84 2. 참여를 통한 상황의 대화적 이해 89 Ⅳ. 다성성에 기반한 소설 텍스트의 윤리적 이해를 위한 교육 방향 94 A. 다성성에 기반한 윤리적 이해의 과정 94 1. 소설 텍스트의 소통 구조에 대한 비판적 재인식 95 2. 공감적 이해에 근거한 작품 세계와의 교섭 101 B. 다성성에 기반한 윤리적 이해의 방법 107 1. 소통 맥락을 고려한 관계적 이해 107 2. 타자 이해를 통한 상황윤리적 사고 111 3. 서사적 사고에 기반한 메타적 성찰 115 Ⅴ. 결론 119 참고문헌 122 ABSTRACT 1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944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다성성에 기반한 소설 텍스트의 윤리적 이해 교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양귀자의 『원미동 사람들』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for Ethical Understanding based on 'Polyphony' in Novel Education-
dc.creator.othernameKim, Ji Eun-
dc.format.pagev, 134 p.-
dc.contributor.examiner김정우-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contributor.examiner김지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