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변은지-
dc.creator변은지-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38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38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8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85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590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of middle school learner with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by informal method. Considering that reading comprehension appears in a variety of dimensions during a learner's developmental stages from decoding to reading and middle school learners generally have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y phenomena especially in reading comprehension, the discussions on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should be conducted with an emphasis on reading comprehension. In this sense,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both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on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ceptual ambiguity of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and the differences among similar concepts. Also, by clarifying what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means in terms of reading comprehension, the concept of reading comprehension was conceptuali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was defined. Next, in order to clarify the criteria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the study analyzed the existing discussion about the reading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reading achievement standard and the 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pre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addition, the contents and the evaluation area and the criteria for diagnosing reading comprehension were specifi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integrate the discussions above. The evaluation area consisted of 'chunking', 'recalling', 'realistic understanding', 'inferential understanding', 'critical understanding', 'hyper-cognition' in consideration of reading development stages. Based on the reading characteristics highlighted in each area, the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area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se theoretical discussions, this study identified the reading phenomena revealed in the reading process of ten middle school students. To closely analyze the reading phenomena of the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this study observed the reading process of the learners with learn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The content analysis on the reading tasks performed during the reading process was conducted as well. Furthermore, this study constructed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for informal diagnosis of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he reading phenomenon of the middle school learners with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was classified and generalized to construct the characteristics of leaners with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by evaluation area and basis. As a result, the draft of detailed evaluation ground was constructed. Afterwards, the validation of the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was carried out through expert evaluation, and consequently, a total of 13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were confirme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specific ways and examples to utilize the evaluation criteria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s. Finally, this study summarized the discussions of this study as a whole and present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 plans. By providing teachers with specific information on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hrough informal diagnosis evalu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realize the reading comprehensio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learners with severe accumulated difficulties and to solve their problems.;본 연구의 목적은 독해부진(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을 보이는 중학교 학습자의 독해 능력을 비형식적 방법으로 평가하기 위한 준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읽기부진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따라 읽기부진 현상들이 해독(Decoding)부터 독해까지의 다양한 차원으로 드러난다는 점, 특히 중학교 학습자들의 경우 대체로 독해 측면에서 부진을 보인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읽기부진의 논의는 독해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읽기부진에 대한 국내외의 다양한 논의를 바탕으로 읽기부진의 개념적 불분명성과 인접 영역의 유사한 개념과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독해 측면에서의 읽기부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명확히 함으로써 독해부진을 개념화하고 독해부진과 읽기부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중학생의 독해부진을 진단할 수 있는 기준을 밝히기 위하여 중학생의 읽기 특성에 대한 기존 논의와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읽기 영역의 성취기준, 국가 수준의 학업 성취도 평가의 평가기준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내용을 종합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독해부진을 진단하기 위한 평가 영역과 준거를 구체화하였다. 평가 영역은 읽기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의미단위로 어구 나누기(Chunking), 회상하기,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초인지로 구성하였다. 그 후 각 영역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읽기 특징들을 바탕으로 영역별 평가 준거를 구성하였다. 그 결과 의미단위로 어구 나누기 측면에서는 ‘끊어 읽기의 적절성’, 회상하기 측면에서는 ‘회상 속도의 신속성’과 ‘회상 내용의 충실성’, 사실적 이해 측면에서는 ‘중심 내용 구성의 정확성과 체계성’, 추론적 이해 측면에서는 ‘선행지식 및 경험 활용의 자기 주도성’, ‘내용 추론의 정확성’, ‘관점 및 의도 파악의 정확성’, 비판적 이해 측면에서는 ‘내용 평가의 타당성’, 초인지 측면에서는 ‘읽기 과정 점검 및 평가의 정확성’과 ‘읽기 과정 조정의 자기주도성’이 각 영역별 평가 준거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기반으로 중학교 독해부진 학습자 10명의 독해 과정에서 드러나는 독해 현상들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독해부진 학습자들의 독해 과정을 관찰하였으며, 추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이들이 독해 과정에서 수행한 독해 과제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독해부진 학습자는 묵독 측면에서의 읽기 유창성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는데, 독해부진 학습자 중에서도 부진이 심각하게 누적된 학습자에게서 이러한 독해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방금 읽은 글의 내용을 바로 회상하지 못하며, 회상을 하다가 중간에 자주 멈추는 모습을 보였다. 회상 내용의 양이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생각나는 단어를 나열하는 방식으로 회상하는 경향이 있었다. 사실적 이해 측면에서는 중심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자신의 말로 재구성 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내용 간 관계와 글 구조를 고려하여 글 전체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인지적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추론적 이해 측면에서는 글을 읽는 과정에서 자신의 선행지식이나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으며, 문맥 속의 단서를 활용하여 모르는 단어의 의미나 생략된 내용을 유추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글의 목적이나 글쓴이의 의도·관점을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비판적 이해 측면에서는 글쓴이의 의견을 옳다고 생각하는 경향 때문에 주장과 근거를 굳이 구분하려 하지 않으며, 주장과 근거의 논리성에 대해 평가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글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세울 때 논리적인 근거를 구성하지 못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인지 측면에서는 자신이 어떤 읽기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 인식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자신의 읽기 실력을 잘못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고, 읽기 과정에서 불안감을 느끼며 교사에게 의존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음으로 앞서 구체화한 중학교 독해부진 학습자의 독해 현상을 유목화하고 일반화하여 독해부진 학습자들의 독해 특징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해당하는 평가 영역 및 준거에 배치하여 세부 평가 준거의 초안을 구성하였다. 그 후 전문가 평정을 통해 세부 평가 준거에 대한 타당도 검토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 총 13개의 세부 평가 준거를 확정하였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 평가 준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활용 방안과 예시를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의 논의를 전체적으로 정리하면서 연구의 의의를 밝히고,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으로 진행되어야 할 연구와 교육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독해부진 학습자에 대한 비형식적 진단 평가를 통해 이들의 독해 능력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교사에게 제공함으로써 독해부진을 해소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이 마련되고 실행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3 1. 읽기부진 연구 3 2. 읽기진단 연구 6 C.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10 1. 연구 내용 및 연구 문제 10 2.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12 Ⅱ. 중학교 학습자의 독해부진 진단에 대한 비판적 검토 14 A. 읽기부진과 독해부진의 개념 14 1. 읽기부진의 개념 및 범주 14 2. 독해부진의 개념화 및 범주 20 B. 기존 읽기부진 진단 도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37 1. 비형식적 진단 평가의 필요성 37 2. 읽기부진 진단 도구의 비판점과 한계 41 Ⅲ. 독해부진 학습자의 독해 특징 분석 47 A. 연구 설계 및 내용 47 1. 연구 절차 47 2. 연구 대상 및 선정 기준 48 3. 제재 및 읽기 과제의 내용 49 B. 중학교 독해부진 학습자의 특징 52 1. 어구 나누기 및 회상하기 53 2. 사실적 이해 측면 55 3. 추론적 이해 측면 72 4. 비판적 이해 측면 77 5. 초인지 측면 80 Ⅳ. 독해부진 학습자를 위한 비형식적 진단 평가 준거 개발 82 A. 비형식적 진단 평가 준거 구성 및 타당성 검토 82 1. 비형식적 진단 평가 영역 및 준거 구성 과정 82 2. 비형식적 평가 준거에 대한 타당성 검토 87 B. 비형식적 진단 평가 준거와 활용 방안 89 1. 비형식적 진단 평가 준거 최종안 89 2. 비형식적 진단 평가 준거 활용 방안 및 예시 94 Ⅴ. 결론 및 제언 101 A. 결론 101 B. 제언 103 참고문헌 105 부록 112 Abstract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088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중학생의 독해부진 진단을 위한 비형식적 평가 준거 개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evelopment of Informal Evaluation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Byeon Eun-ji-
dc.format.pagevii, 119 p.-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김은성-
dc.contributor.examiner서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