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정-
dc.contributor.author이주현-
dc.creator이주현-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37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37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6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68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5901-
dc.description.abstractThe world “culture” is one that can be easily seen in everyday life or mass media. Defined loosely, culture signifies the values or habits that a set population holds. Here, the population in general creates “popular culture” by communicating through various types of media. Popular culture is enjoyed by a variety of people, and when it is produced and distributed on a large scale by a country or a company to create a profit, it is called a “cultural industry.” Popular culture emerges in many areas through various means, but nowadays “B culture” is gaining momentum. Popular culture is a blanket term that covers a wide array of subjects, but B culture is a subset of popular culture that seeks entertainment and stimulus within its boundaries while and showing a distinct maniacal tendency. It is understood as an effective yet eclectic marketing factor. The current B culture is considered to be a form of expression within the boundaries of pop culture, yet it is assumed that B culture is a lower form of culture. The term “B” comes from low-budget B rated films that were produced as add-ons at Hollywood in the 1900’s. In Korea, A and B were understood as first or second rate. B culture is similar in its artistic aspect to kitsch. With this background, B culture gained momentum and it is now trending to the point where B culture is reaching its heyday. There are a number of reasons why B culture is being seen in a new light in modern society, and these reasons are related to the social phenomenon connected to B culture. The reasons can be divided into: personal psychology, social psychology, social, and economic. Personal psychologic reasons are the desire to pursue entertainment, or the playful, hedonistic catharsis that comes from satirizing or mocking the privileged. In social psychological reasons, the “social psychology” of social psychological reasons is a personal psychology that is created by socializing. As society becomes more diversified, people refuse the mundane, emphasize individuality, and pursue the fresh and unique rather than the ordinary. Because of this, minor brands are gaining momentum, and phenomena such a customizing, DIY, and Modisumers appear. Social factors are also influenced by an increasing amount of stress in a society that has higher crime rates, low employment rates, and values excessive competition. To relive this stress, people seek out entertainment and stimulus. B culture performs this role of reliving the anxiety and stress that comes from reality. Economic reasons lead to such phenomenon as Cheap-Chic, B rate consumption, and buying B rate goods as people are overwhelmed by higher prices and show a distinct preference for reasonable consumption. B culture is seen in movies, music, fashion, webcomics, poems, displays, catch phrases, comedy, and Youtube videos. B culture nowadays does not mean B rate, but implementing B culture as a “B cultural style.”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examples of B culture, its characteristics seem to be reconstruction, retro or nostalgia, wordplay, promiscuity, fun, satire, and escape from the hierarchy. In particular, wordplay is closely associated with pun. Pun is a part of the sense of humor unique to B culture, and it is highly marketable in advertisements or products as well as memorable. Pun works synergistically with parodies, exaggeration, and nostalgia and becomes more effective. By analyzing the definitions of and examples of B culture and pun, I came to understand that pun is combined with nostalgia, and this is in turn related to a characteristic of B culture: retro. Inspir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tro-ness’ of B cultural style and pun, this study established a formative experiment by combining the nostalgia of B culture and pun to create graphic designs and fonts. Taking the Chinese character for water, (水) and using pun as a key word, I used the different meanings and uses of the Korean words “물 (water)” and “수 (pronounced ‘soo’)” and applied the sounds for the Chinese character for water (水) into four pieces: ‘난 물이 달라’ (Translates from ‘Not in The Same League’ to ‘I Play in Different Water’), ‘넌 나의 one水’ (Translates from ‘You are My Enemy’ to ‘You are My Only Water’), ‘아니 이럴水가’ (Translates from ‘Oh My God’ to ‘Oh My! Water’), ‘안면몰水’ (Translates from ‘Pretending not to Know’ to ‘Giving water on face’). The fonts used were based on the Korean 1950’s – 1990’s to put emphasis on nostalgia, and applied the methodological categorization standards of expression expressed by Jinpyeong Kim’s Lettering of Han Gul. As B culture and nostalgia become increasingly popular,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retro fonts. Therefore, ‘난 물이 달라’ (Translates from ‘Not in The Same League’ to ‘I Play in Different Water’), ‘넌 나의 one水’ (Translates from ‘You are My Enemy’ to ‘You are My Only Water’), and ‘아니 이럴水가’ (Translates from ‘Oh My God’ to ‘Oh My! Water’), are variations on previous retro fonts, while the lettering process for ‘안면몰水’ (Without Shame) was done by using previous fonts as a motif. The font used in ‘안면몰水’ (Translates from ‘Pretending not to Know’ to ‘Giving water on face’) was designed into a specific font for the Korean alphabet and became ‘안면몰水’ (Translates from ‘Pretending not to Know’ to ‘Giving water on face’) Font and ‘안면몰水’ Modified Font. Through this study, I have comprehensively explained the definitions of popular culture, cultural industry, B culture, and pun as well as analyzed the various examples and characteristics of B culture and pun. By doing so, I have created a formative design experiment by combining the retro concept of B culture and pun.;일상생활 또는 대중매체에서 ‘문화’라는 말을 자주 접할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문화는 사람들의 생활방식, 가치관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화 속에서 대중들이 다양한 방식의 미디어를 통해 커뮤니케이션함으로써 ‘대중문화’가 이루어진다. 대중문화는 다양한 사람들이 누리는 문화이고, 대중문화의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기업이나 국가에서 대량으로 생산, 유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문화산업’이라고 한다. 대중문화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는데, 현재 대중문화의 한 스타일로서 ‘B급 문화’가 주목받고 있다. 대중문화는 다양한 영역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이고, B급 문화는 대중문화 안에서 재미와 자극을 추구하고 마니아 성향을 띄는 문화로, 효과적이고 색다른 마케팅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 B급 문화는 대중문화 영역 안에서 하나의 표현 방식으로 여겨지지만, 기본 개념으로서 B급 문화는 하위문화를 전제로 한다. ‘B급’의 어원은 1900년대 할리우드 영화계에서 끼워 팔기용으로 제작한 저예산 영화인 ‘B movie’에서 시작되었으며, 영화계에서의 A와 B 개념이 한국에서 ‘급’으로 인식되면서 사용되었다. B급 문화는 예술적인 측면에서 키치와 일맥상통한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B급 문화는 영역을 넓혀왔고 현재 B급 문화의 전성기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트렌드가 되었다. B급 문화가 현대사회에서 각광을 받는 데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고, 그러한 요인들로 인해 B급 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사회적 현상이 나타난다. 그 요인들은 개인 심리적 요인, 사회 심리적 요인,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개인 심리적 요인은 재미를 추구하는 욕구, 즉 유희충동, 쾌락주의, 현실세태나 기득권층을 풍자하고 희화화 하면서 느끼는 카타르시스가 있다. 사회 심리적 요인에서 ‘사회심리’는 사회생활을 통해 형성되는 개인 심리로, 사회가 다원화되면서 사람들은 진부한 것을 거부하고 개성을 중요시하게 됨에 따라 천편일률적인 것보다 신선하고 독창적인 것을 추구하게 되었다. 이에 마이너 브랜드들의 약진,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DIY(Do it yourself), 모디슈머(Modisumer)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사회적 요인은 과도한 경쟁구조의 사회, 범죄율 증가, 낮은 취업률 등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긴장감이 높아졌고 사람들은 현실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재미있고 자극적인 것을 추구하게 되었다. B급 문화는 힘든 현실에서 받은 긴장과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경제적 요인은 장기 경기침체로 인해 사람들은 고가(高價)에 부담감을 느끼고 합리적인 소비를 선호하게 되었고, 칩시크(Cheap-Chic), B급 소비, B급 상품 구매 등의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B급 문화는 영화, 음악, 패션, 광고, 웹툰, 시, 전시, 문구, 코미디프로그램, 유튜브(Youtube) 동영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 현재 B급 문화는 질적으로 떨어지는 B급이 아니라, B급 문화를 하나의 스타일로써 활용하는 것으로 ‘B급 문화 스타일’인 것이다. B급 문화의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재구성, 복고, 문란, 말장난, 재미(Fun), 풍자, 탈피의 특징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특징들 중 말장난은 언어유희(Pun)와 부합한다. 언어유희(Pun)는 현재 B급 유머 코드로서 광고나 상품 마케팅에 활용도가 높고 사람들에게 강하게 각인시키는 효과가 있다. 언어유희(Pun)는 패러디, 오버액션, 복고풍 연출과 더해져 시너지 효과를 낸다. B급 문화와 언어유희(Pun)의 개념 및 사례 분석을 통해 언어유희(Pun)는 복고풍 연출과 조합이 되고, 이는 현재 B급 문화의 특성인 복고와도 관련이 있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B급 문화 스타일과 언어유희(Pun)의 연관성에 착안하여, B급 문화 스타일의 ‘복고’와 언어유희(Pun)를 조합한 그래픽 디자인과 서체표현을 통한 조형적 실험을 하였다. 한자 물 수(水)를 언어유희(Pun)의 키워드로 삼고, 한글 ‘물’과 ‘수’의 다양한 의미와 쓰임새에, 한자 물 수(水)의 음을 적용하였다. 작품은 ‘난 물이 달라’, ‘넌 나의 one水’, ‘아니 이럴水가’, ‘안면몰水’ 총 네 점으로 구성된다. 서체의 스타일은 복고 콘셉트를 표현하기 위해 한국의 1950~1990년대 사례들을 모티프로 삼았고, 김진평 ‘한글의 글자표현’에서 표현 방법 분류 기준을 차용하였다. B급 문화와 복고가 유행하면서 최근 복고풍의 서체 개발이 많아졌다. 따라서 작품 ‘난 물이 달라’, ‘넌 나의 one水’, ‘아니 이럴水가’에서는 기존의 사례와 비슷한 복고 스타일의 서체를 찾아 변형하였고, ‘안면몰水’는 기존 사례의 서체를 모티프로 하여 레터링 작업을 하였다. ‘안면몰水’에서 작업한 서체를 한글 가에서 하까지 폰트화하여 ‘안면몰水체’와 ‘안면몰水 변형서체’를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중문화와 문화산업의 개념, B급 문화의 개념, 언어유희(Pun)의 개념을 파악하였고, B급 문화와 언어유희(Pun)의 다양한 사례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B급 문화의 복고 콘셉트와 언어유희(Pun)를 조합하여 조형적으로 디자인 실험을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4 A. 대중문화 4 1. 대중문화 개념 4 2.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7 B. B급 문화 12 1. B급 문화 개념 12 2. B급 문화 요인과 사회적 현상 22 3. B급 문화 사례 및 분석 33 C. B급 문화와 언어유희(Pun) 63 1. B급 문화와 언어유희(Pun) 개념 63 2. 언어유희(Pun) 사례 및 분석 66 Ⅲ. 작품 78 A. 작품설명 78 B. 난 물이 달라 83 C. 넌 나의 one水 85 D. 아니 이럴水가 87 E. 안면몰水 89 F. 안면몰水체 92 G. 안면몰水 변형서체 94 Ⅳ. 결론 96 참고문헌 98 ABSTRACT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754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B급 문화 스타일을 배경으로 한 언어유희(Pun)의 실험조형 디자인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in Experimental Formative Design Based on Pun with B Cultural Style-
dc.creator.othernameLee, Joohyun-
dc.format.pagexi, 104 p.-
dc.contributor.examiner김인성-
dc.contributor.examiner박수진-
dc.contributor.examiner엄윤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