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경-
dc.contributor.author전유나-
dc.creator전유나-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37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37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5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54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5900-
dc.description.abstract소비자의 감성이 더욱 세심하고 복잡해지고 있다. 그에 따라 단순히 최신 기술이나 보기 좋은 디자인만이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감성을 자극하는 감각이 더해 질 때 소비자는 매력을 느낀다. 이에 감성디자인의 역할이 중요해 지고 있으며 이때 후각과 시각을 연결해주는 공감각 현상은 양적 질적으로 다양화된 향 제품의 후각감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도와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표면 특성에 따른 향 연상과 연상 강도가 색채와 함께 어떻게 복합적으로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광택, 불투명, 투명의 표면 특성을 가진 99개의 평면 샘플을 제작하여 색채와 표면 특성에 따른 향 연상과 향 연상 강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어서 평면 샘플의 실험 결과에서 향의 연상이 뚜렷하게 나타난 색채를 입체 샘플에 적용하여 총 88개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입체 샘플을 제작할 때 표면특성을 세분화하여 불투명 유광, 불투명 무광, 투명 무광, 투명 유광으로 분류하였으며 그에 따른 향 연상과 향 연상 강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특정 색과 톤에서 특정 향이 연상되었으며 평면샘플인지 입체 샘플인지에 따라 연상되는 향의 종류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면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연상 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 연상 강도에서는 연상되는 향의 강도는 색상보다 톤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평면 샘플과 입체 샘플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샘플의 표면 특성에 따라 향의 연상 강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샘플의 형태에 따라서 연상 강도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평면 샘플은 불투명>광택>투명 순서의 향 연상 강도가 나타났으나 입체 샘플에서는 표면 특성보다 톤이나 색상이 향 연상 강도에 더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표면 특성과 색채가 향 연상과 연상 강도에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평면적인지 입체적인지에 따라서도 향 연상과 강도가 상이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표면의 특성을 고려하여 진행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색채와 향의 공감각 현상을 투명성과 광택과 함께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향 제품의 패키지 디자인이나 사무실이나 매장과 같은 공간의 디자인에 적용한다면 특정 향을 연상 하도록 유도하거나 미묘한 향의 변화를 조절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Consumers’ sensitivity becomes more delicate and complicated. It is not simply the newest techniques or designs good to see that induce consumers to purchase; consumers are fascinated when the sense is added to stimulate their sensitivity. For this reason, the role of the sensitive design becomes more important, and the phenomenon of synesthesia, which connects the sense of smell and the sense of vision, helps the smell sensitivity of fragrances, diversified in quantity and quality, be expressed eff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he fragrance association and the associat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surface traits work with colors complexly. First, 99 flat samples, which had glossy, opaque and transparent surface traits, were made to find out the fragrance association and its strength according to colors and surface traits. Then, colors with distinct fragrance association from experiment results of flat samples were applied to the solid samples to make a total of 88 samples. When solid samples were made, surface traits were subdivided to classify them into opaque gloss, opaque nongloss, transparent nongloss and transparent gloss, and to investigate fragrance association and its strength according to them.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a certain fragrance was associated out of a certain color and tone and that kinds of associated fragrance c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whether the sample was flat or soli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ssociated fragrances c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rface traits. As for the fragrance associative strengths, they were changed according to tones rather than colors and were different in flat samples and solid samples. Fragrance associative strength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urface traits and forms of samples; fragrance associative strengths of flat samples were shown in the order of opacity, gloss and transparency, but tones and colors had influence on the fragrance associative strengths more than the surface traits in the solid sample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urface traits and colors worked on the fragrance association and its strength complexly and that the fragrance association and its strength were different according to whether the surface was flat or soli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rried out in consideration of surface traits, it is considered that not only the synesthesia phenomenon of colors and fragrances could be understood along with transparency and gloss, but also they will be of help to inducing to associate a certain fragrance or controlling delicate change of fragrances, if they are applied to the package design of fragrance products or space design of offices or stor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3 A. 색채연상 및 색채 공감각의 특성 3 1. 색채 지각 3 2. 색채 연상 3 3. 색채 공감각 4 B. 향의 인지 및 개념 5 1. 향의 인지 및 특징 5 2. 향의 개념 및 분류 6 C. 표면 특성에 대한 이해 9 1. 광택의 개념 9 2. 투명의 개념 9 D. 색채와 향, 색채와 표면 특성의 관계 10 1. 색채와 향의 연관성 10 2. 색채와 표면 특성과의 연관성 12 Ⅲ. 평면 샘플에서의 향 연상과 연상 강도 실험 14 A. 연구 범위 및 방법 14 1. 실험 도구의 제작 및 측정 14 2. 설문 항목 선정과 방법 17 3. 실험 대상 및 환경 20 B. 평면 샘플에 대한 실험 결과 분석 21 1. 색채와 표면특성에 따른 연상 향 분석 21 2. 색채와 표면 특성에 따른 향 연상 강도 분석 36 C. 분석 결과 요약 46 가. 연상 향 46 나. 향 연상 강도 51 Ⅳ. 입체 샘플에서의 향 연상과 연상 강도에 대한 실험 53 A. 연구 범위 및 방법 53 1. 실험 도구의 제작 53 2. 실험 방법 및 대상 58 B. 입체 샘플에 대한 실험 결과 분석 60 1. 색채와 표면특성에 따른 연상 향 분석 60 2. 색채와 표면 특성에 따른 연상 강도 분석 74 C. 분석 결과 요약 81 가. 연상 향 81 나. 향 연상 강도 86 Ⅴ. 결론 및 한계점 87 참고문헌 90 ABSTRACT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825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색채와 표면특성에 따른 향 연상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광택과 투명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Fragrance Association According to Colors and Surface Traits : Focused on Gloss and Transparency-
dc.format.pagex, 94 p.-
dc.contributor.examiner유연숙-
dc.contributor.examiner김창순-
dc.contributor.examiner이윤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