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경-
dc.contributor.author박소율-
dc.creator박소율-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34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34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7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74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5891-
dc.description.abstract가죽 소재는 오늘날 실용적 뿐만 아니라 심미적으로 중요한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가죽 제품의 수요 증가와 기술의 발달에 따라 동물의 천연가죽과 유사하게 보이는 인조가죽이 개발되어 왔다. 한편, 동물의 모피나 가죽이 아닌 비동물성 소재를 사용하는 비건 패션의 윤리적 소비를 지향하는 트렌드가 나타났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과 트렌드 변화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소비자들은 인조가죽에 대해 낮은 품질과 저가 소재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고 반면에 천연가죽에 대해서는 고유한 표면 특성 및 질감 등의 이유로 고가 소재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천연가죽이 아닌 인조가죽을 대상으로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인조가죽과 인조가죽으로 인지하는 인조가죽을 알아보고 색채와 재질의 범위를 분석하여 어떠한 요인이 천연가죽으로 인지하게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인조가죽에 대해 시각적 감각 및 감성을 평가하여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정도와 감각 및 감성 요인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색채와 재질 요인이 감각 및 감성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성별에 따라 인조가죽에 대한 감성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여 실험 피험자를 20~30대 남녀로 구성하였고 성별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천연가죽 같은-인조가죽 같은' 감성 평가 실험의 전체 그룹의 분석 결과, 천연가죽 또는 인조가죽으로 인지하는데 고려되는 요인은 색상, 채도, 광택, 무늬 크기로 나타났다. 또한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채도로 나타나 인조가죽의 채도가 낮을수록 천연가죽에 더 가깝게 인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천연가죽 같은-인조가죽 같은' 감성 평가 실험의 성별에 따른 분석 결과, 천연가죽 또는 인조가죽으로 인지하는데 고려되는 요인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채도, 광택, 무늬 크기이며 여성의 경우 색상, 채도, 광택, 무늬 크기로 나타나 여성은 색상을 고려하여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성의 경우 무늬 크기, 채도 순으로 나타나 남성은 인조가죽의 무늬가 중간 크기일수록 채도가 낮을수록 천연가죽에 더 가깝게 인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성의 경우 채도로 나타나 여성은 인조가죽의 채도가 낮을수록 천연가죽에 더 가깝게 인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인조가죽에 대한 시각적 감각 평가 실험의 분석 결과, 성별에 따라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인조가죽과 관련되는 시각적 감각 요인의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은 두껍게, 거칠게, 뻣뻣하게, 차갑게, 무겁게, 광택 없게 느낄수록 천연가죽에 더 가깝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은 무겁게, 광택 없게 느낄수록 천연가죽에 더 가깝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그룹 둘 다 광택감을 제외한 시각적 감각 평가에 주로 채도와 명도가 영향을 미치며, 채도와 명도가 낮을수록 이러한 시각적 감각을 느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인조가죽에 대한 시각적 감성 평가 실험의 분석 결과, 성별에 따라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인조가죽과 관련되는 시각적 감성 요인의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은 수수하게, 무개성적이게, 투박하게, 빈티지하게, 클래식하게, 촌스럽게 느낄수록 천연가죽에 더 가깝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은 수수하게, 무개성적이게, 고급스럽게, 클래식하게, 사고 싶게 느낄수록 천연가죽에 더 가깝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그룹 둘 다 시각적 감성 평가에 주로 채도와 무늬 크기가 영향을 미치며 채도가 낮을수록 무늬가 중간 크기일수록 이러한 시각적 감성을 느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조가죽의 인식에 있어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색채와 광택, 무늬 크기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천연가죽 또는 인조가죽으로 인지하는데 고려되는 요인은 성별에 따른 차이점이 나타났다. 이러한 색채 및 재질 요인은 시각적 감각 및 감성에 영향을 미치며 성별에 따라 시각적 감각 및 감성 요인은 다르게 나타났다. 즉 인조가죽을 인지할 때 유사한 재질이지만 색채로 인해 또는 유사한 색채이지만 재질로 인해 성별에 따라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인조가죽의 시각적 감각 및 감성이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Leather has been widely used for both practical and aesthetic purposes. As a result of increasing demand for leather products and relevant technological development, artificial leather has been developed to look similar to natural leather from animals. In addition, more consumers began to pay attention to ethical consumption including vegan fashion that demands use of non-animal materials instead of animal fur and leather. Nevertheless, despite these changes, many consumers still maintain a negative perception toward artificial leather and consider it as having low quality and being a low-price material, while thinking of natural leather as being of a superior quality because of the unique surface and texture. This study compared artificial leather that is perceived by consumers as being real leather and that perceived as being artificial, and analyzed the range of colors and material textures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that lead artificial leather to be perceived as being natural leather. Furthermore, it evaluated the visual sense and emotion related to artificial leather perceived as being natural and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al-leather-likeness and the sensory and emotional facto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color and material texture on the sensory and emotional factors. Also,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emotion related to artificial leather differs according to the gender,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a test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gende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f the 'real-leather-likeness' evaluation test, factors that are related to artificial leather perceived as being natural or artificial were color, saturation, luster, and pattern size. Also, the factor that influenced the level of 'real-leather-likeness' of artificial leather was saturation and artificial leather of lower saturation was perceived as being closer to natural leather.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real-leather-likeness' evaluation test according to the gender, there was difference in factors that are taken into account when perceiving artificial leather as being natural or artificial according to the gender. When determining the naturalness of the leather, the male subjects considered saturation, luster, and pattern size, while the female subjects considered color, saturation, luster, and pattern size. In other words, women took into account the color when perceiving artificial leather as being natural. Also, regard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al-leather-likeness of artificial leather, the pattern size and saturation had the strongest influence, in the order, on the male subjects. For them, when the pattern size was closer to medium and saturation lower, artificial leather looked closer to natural leather. For the female subjects, however, saturation had the strongest influence, and they perceived artificial leather of lower saturation as being closer to natural leather. Third, in the analysis of visual sense evaluation related to real-leather-likeness of artificial leather, there was difference in factors of visual sense that are taken into account when perceiving artificial leather as being natural or artificial according to the gender. The male subjects perceived artificial leather that is thicker, rougher, stiffer, colder, heavier, and less lustrous as being closer to natural leather, while the female subjects perceived heavier and less lustrous artificial leather as being closer to natural leather. In both the male and female groups, except luster, saturation and brightness had effects on the visual sense evaluation and lower saturation and brightness led the subjects to perceive artificial leather as being natural. Fourth, in the analysis of visual sense evaluation related to real-leather-likeness of artificial leather, there was difference in factors of visual sense that are taken into account when perceiving artificial leather as being natural or artificial according to the gender. The male subjects perceived artificial leather that is more plain, ordinary, coarse, vintage-looking, classic, and old-fashioned as being closer to natural leather, while the female subjects perceived artificial leather that is more plain, ordinary, sophisticated, classic, and desirable as being closer to natural leather. In both the male and female groups, saturation and pattern size had effects on the visual sense evaluation and lower saturation and medium pattern size led the subjects to perceive artificial leather as being natural.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color, luster, and pattern size have effects on artificial leather being perceived as natural leather. Different factors were taken into account according to the gender, when perceiving artificial leather as being natural or artificial. Color and material texture had effects on visual sense and emotion and different factors of visual sense and emotion were found according to the gender. In other words, when perceiving artificial leather, the color or material texture had effects on visual sense and emotion related to whether the artificial leather is perceived as natural leather or artificial leath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5 A. 가죽 소재에 대한 이해 5 1. 천연가죽 5 2. 인조가죽 7 B. 시각적 촉감에 대한 이해 8 1. 시각과 시각 인지 8 2. 촉각과 촉감 9 3. 시각적 촉감의 개념 10 4. 시각적 촉감의 요소 10 가. 색채(Color) 11 나. 질감(Texture) 11 다. 형태(Form) 12 C. 가죽 소재의 질감 및 감성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12 Ⅲ. 인조가죽의 색채 및 재질에 관한 실험 16 A. 실험 범위 및 방법 16 1. 실험 대상 및 환경 16 가. 실험 대상 16 나. 실험 환경 16 2. 실험 도구 및 구성 17 가. 실험 도구 17 나. 실험 구성 23 3. 분석 도구 및 방법 24 가. 색채 분석 도구 및 방법 24 나. 통계 분석 도구 및 방법 26 B. 인조가죽의 색채 및 재질에 관한 분석 28 1. 인조가죽의 분류 및 색채와 재질 분석 28 가. 인조가죽의 분류 28 나. 인조가죽의 색채 및 재질 분석 30 2.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40 3. 성별에 따른 인조가죽의 분류 및 색채와 재질 분석 42 가. 성별에 따른 인조가죽의 분류 42 나. 성별에 따른 인조가죽의 색채 및 재질 분석 45 4. 성별에 따른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50 가. 남성그룹의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50 나. 여성그룹의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51 C. 분석 결과 요약 53 Ⅳ.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인조가죽의 시각적 촉감에 관한 실험 57 A. 실험 범위 및 방법 57 1. 실험 대상 및 환경 57 가. 실험 대상 57 나. 실험 환경 58 2. 실험 도구 및 구성 58 가. 실험 도구 58 나. 실험 구성 60 3. 분석 도구 및 방법 61 4. 시각적 감각 및 감성 평가 형용사 추출 62 가. 시각적 감각 평가 형용사 추출 62 나. 시각적 감성 평가 형용사 추출 64 B.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인조가죽의 시각적 감각 및 감성에 관한 분석 67 1. 성별에 따른 시각적 감각 평가 분석 67 가. 성별에 따른 시각적 감각과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정도의 상관관계 분석 67 나. 성별에 따른 시각적 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색채와 재질 분석 72 2. 성별에 따른 시각적 감성 평가 분석 76 가. 성별에 따른 시각적 감성과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정도의 상관관계 분석 76 나. 성별에 따른 시각적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색채와 재질 분석 82 C. 분석 결과 요약 87 1. 시각적 감각 평가 분석 결과 요약 87 2. 시각적 감성 평가 분석 결과 요약 89 Ⅴ. 결론 및 한계점 92 참고문헌 97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412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인조가죽의 색채 및 재질에 관한 시각적 촉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Visual Texture of Artificial Leather According to the Color and Material Texture : Focused on factor analysis regarding perception of artificial leather as being natural-
dc.creator.othernamePark, SoYul-
dc.format.pagex, 102 p.-
dc.contributor.examiner최경실-
dc.contributor.examiner길영란-
dc.contributor.examiner이세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