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1 Download: 0

한국 홀로그램 콘서트의 스펙터클 연구

Title
한국 홀로그램 콘서트의 스펙터클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ectacles of hologram concerts in Korea
Authors
정아람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철균
Abstract
Holograms are not only confined to the domain of a small number of professional groups, but are widely used in entertainment contents for the public. A typical example is a hologram concert that uses a projection hologram to replace a singer. Especially in case of Korea, exclusive theaters for the hologram have been built in domestic and foreign regions performance programs are repeatedly shown. The Korean hologram concert, which can be viewed at the appointed time and space, is in clear contrast to the overseas case, which shows live concert by taking the form of a special stage, a touring performance, and a music festival.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hologram concert as one type of 'special venue attraction' which can be experienced at a special place optimized for viewing the video, and analyzes the direction of the hologram concert in terms of spectacle. The hologram concert shown at the hologram-exclusive theaters differs from the existing concert experiences in two respects. First, by separating the stage and the audience and presenting images superimposed on the stag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s are formed, and intense audiovisual stimuli are delivered through unilateral communication structures. Secondly, all components including singer, props, background switching, and directing effect are confirmed as Conti in advance and are shot·edited frame by frame. The recorded film is not displayed immediately, but it is transformed until it reaches the completion stage as a material for the computer graphics work that corresponds to the post-production. Therefore, although the hologram concert adopts mise-en-scène as a center strategy for "positioning on the stage", the arrangement of such objects is characterized as being visualized only after going through all of the arrangement of photographs, shooting and editing steps. This presentation strategy visualizes the spectacle of a hologram concert in two broad ways. The first is to place a photographic image in an unrealistic context. The K-POP hologram concert is often used as such directing strategy. It is a stage effect that does not follow the physical laws of reality and the useless and separated props from reality. In this case, the audience is interested in the way in which familiar songs and performances are developed in an unpredictable form, and reconstructs the image of performance. The second is a realistic arrangement of unrealistic images. It is a directing strategy in the hologram concert of the deceased. In this case, although the audience feels psychological sense of distance that the object that cannot actually exists appears on the stage, they feel that the image in front of them represents the singers based on the memories and perceptions of the singer's life. A hologram concert changes into a venue for constructing and experiencing different types of spectacles, changing both the stage and the nature of the audience. In a hologram concert, the stage is a space where the elements that cannot be juxtaposed are overwrapped as if they are a single entity from the beginning; it does not indicate any specific time and place. The stage that unsettles and erases temporality and spatiality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audience, and the exclusive theaters are transformed into heterotopia, which is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world and deletes the actual time. In these places, the audience reconstructs their experiences based on the existing memories and perceptions, finding their place in the extreme of alienation and intoxication. Such locating is closer to amusement than serious and interpretive behavior, which is self-fulfilling in any case. This study focuses on the Korean hologram concert as a special venue attraction and tried to examine the strategies and effects of the spectacle. Although these discussions cannot generalize the entire hologram concerts, it i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to typify and characterize the Korean hologram concert. It is hoped that such an attempt would strengthen Korea's image as a powerful ICT country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Korean Wave which might be disadvantageous to globalization due to its geographical aspects, and contribute to spreading the popularization of convergence contents.;홀로그램은 소수 전문가 집단을 위한 영역에만 한정되지 않고, 대중을 위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프로젝션 홀로그램을 활용해 가수를 입체 이미지로 대체한 홀로그램 콘서트가 대표적이다. 특히 한국의 경우, 홀로그램 콘서트를 위한 전용 상영관을 국내외에 설립하고 공연 프로그램을 반복 상영한다. 정해진 시간 지정된 장소에서 관람 가능한 한국의 홀로그램 콘서트는, 특별 무대나 순회공연, 음악 축제의 형식을 취함으로써 라이브 콘서트를 표방하는 국외 사례와 분명 대조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홀로그램 콘서트가 영상물 관람에 최적화된 특별한 장소에서 체험 가능한 ‘특수 장소 어트랙션(special venue attraction)’의 한 가지 형태라 간주하고, 홀로그램 콘서트의 연출 전략을 스펙터클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했다. 전용관에서 상영되는 홀로그램 콘서트는 두 가지 면에서 기존의 콘서트 체험과 다르다. 첫째, 무대와 객석을 분리하고 무대에 중첩된 이미지를 제시함으로써 물리적·심리적 거리를 형성하고 일방적 커뮤니케이션 구조를 통해 강렬한 시청각 자극을 전달한다. 둘째, 가수와 소품, 배경 전환, 연출 효과를 비롯한 모든 구성 요소가 사전에 콘티로 확정되어 프레임 단위로 촬영·편집된다. 녹화 필름은 곧바로 상영되지 않으며, 후반 작업에 해당하는 컴퓨터그래픽 작업의 소재로 완성 단계에 이를 때까지 변형된다. 따라서 홀로그램 콘서트는 ‘무대에 위치시키기’로서의 미장센(mise-en-scène)을 중심 전략으로 채택하면서도, 대상의 배치가 사진 배치와 촬영, 편집 단계를 전부 거친 후에야 비로소 가시화되는 특성을 보인다. 이 같은 연출 전략은 홀로그램 콘서트의 스펙터클을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가시화한다. 첫 번째는 사실적(寫實的) 이미지를 비현실적 맥락으로 배치하는 형태다. 흔히 케이팝(K-POP) 홀로그램 콘서트에서 나타나는 연출 전략으로, 현실의 쓸모와 분리된 소품, 현실의 물리 법칙을 따르지 않는 무대 효과가 이에 속한다. 이 경우 관객은 익숙한 곡과 퍼포먼스가 예측 불가능한 형태로 전개되는 양상에 흥미를 느끼고, 퍼포먼스에 대한 이미지를 재구성해나간다. 두 번째는 비현실적 이미지를 사실적으로 배치하는 형태다. 고인의 홀로그램 콘서트에서 나타나는 연출 전략이다. 이 경우 관객은 실제로 존재할 수 없는 대상이 무대 위에 존재하는 데 심리적 거리감을 느끼면서도, 가수의 생전 모습에 대한 기억과 인지를 바탕으로 눈앞의 이미지가 가수를 재현한다고 느낀다. 홀로그램 콘서트는 상이한 형태의 스펙터클을 구성하고 체험하는 장으로 변화하며, 무대와 객석의 성격을 모두 변화시킨다. 홀로그램 콘서트에서, 무대는 서로 병치될 수 없는 요소들이 마치 처음부터 하나였던 것처럼 중첩되는 공간으로, 어떠한 시간과 장소도 지시하지 않는다. 시간성과 공간성을 탈색시키고 지워버리는 무대가 객석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전용관은 바깥 세계와 단절돼 현실의 시간을 지워버리는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로 변화한다. 이와 같은 장소 내부에서 관객은 기존의 기억과 인지를 바탕으로 자신의 경험을 재구성하고, 소외와 도취의 극단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아나간다. 이러한 위치 찾기는 진지하고 해석적이라기보다 놀이에 가까우며, 어떤 경우라도 자기충족적인 성격을 띤다. 본 연구는 특수 장소 어트랙션으로서 한국 홀로그램 콘서트에 주목하고 스펙터클의 연출 전략과 효과를 살펴보고자 했다. 비록 이러한 논의가 홀로그램 콘서트 전반을 일반화할 수는 없을지라도, 한국 홀로그램 콘서트를 유형화하고 특색을 규명하는 작업으로 유의미하다고 여겨진다. 이와 같은 시도가 ICT 강국으로서의 한국의 이미지를 강화하고, 지리적으로 글로벌화에 불리할 수 있는 한류의 한계를 극복하여, 융합 콘텐츠의 대중화 사례를 확산하는 데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