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동은-
dc.contributor.author김미라-
dc.creator김미라-
dc.date.accessioned2017-03-24T01:03:54Z-
dc.date.available2017-03-24T01:03:5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4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48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46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컴프레션웨어의 불편함을 개선하여 웨이트 트레이닝 동작에 적합한 컴프레션웨어를 개발하는데 있었다. 구체적으로 테이핑기법을 코어와 기타 신체 부위에 적용하여 코어에 안정화를 주고 근육을 지지함으로써 웨이트 트레이닝 시 상해를 예방하고 웨이트 트레이닝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컴프레션웨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웨이트 트레이닝 경력이 있고 컴프레션웨어를 착용한 경험이 있는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반적인 착의실태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컴프레션웨어 착의실태와 웨이트 트레이닝 활동 시의 상해, 컴프레션웨어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착용과 구매에 관련된 현황, 브랜드 선호, 기능성, 디자인 선호, 불편사항, 압박이 필요한 근육 부위, 운동 상해 부위와 사용하는 보조용품 등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결과를 토대로 기존복을 선정하여 기존복과 컴프레션웨어 시장을 분석하고 설문 조사결과를 반영하여 문제점을 개선하고 기능성을 향상시킨 웨이트 트레이닝 활동을 위한 컴프레션웨어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컴프레션웨어의 개선사항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착의평가를 실시하였다. 정량적 평가로 센타르 코어 측정과 의복압 측정을 실시하였고 정성적 평가로는 웨이트 트레이닝 경력자로 구성된 피험자가 연구복을 직접 착용하고 외관 및 착용감 평가와 동작적합성 평가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기존복과 연구복의 평가결과를 객관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웨이트 트레이닝 활동을 위한 테이핑기법이 적용된 코어근육 압박용 컴프레션웨어를 제안하였다. 1. 컴프레션웨어 착의실태 조사결과 착의실태 조사 결과 컴프레션웨어 착용 시 전반적으로 불만족도가 높지는 않았다. 하지만 상의의 경우 ‘겨드랑이 부위의 솔기가 피부를 자극한다’와 ‘활동 시 겨드랑이 부위가 당긴다’의 항목이 비교적 불편한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추가적인 압박이 필요한 근육 부위로는 가슴 부위 근육이 38.4%로 가장 많았고 배 부위, 등 부위, 허리, 허벅지 부위 근육도 비교적 많이 선택되었으며 코어 부위의 압박이 필요하다고 직접적으로 대답한 응답도 있어 가슴 부위를 선택한 응답자를 제외하고 응답자의 50.6%가 코어에 해당하는 몸의 중심부의 압박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프레션웨어에 필요한 기능성의 중요도에서는 내구성, 흡한속건성, 신축성, 경량성, 통기성, 보온성의 항목이 모두 비교적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컴프레션웨어 디자인으로는 라운드형 네크라인, 일반 레깅스형 하의, 위팔뚝 길이 수준의 소매 길이, 허벅지 길이 수준의 하의 길이를 선호하였으며, 선호색은 배색과 단색에 대한 선호도가 비슷하였으나 옅은색 보다는 짙은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색 등의 튀고 화려한 색 보다는 무채색 계열의 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복 설계 연구복은 예비 인터뷰, 자료조사, 설문조사, 시판 브랜드 조사, 기존복 착의평가와 동작적합성평가 결과를 토대로 소재, 디자인, 패턴을 고려하여 개선방안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제작하였다. 연구복 소재의 경우 땀 흡수와 배출이 뛰어난 흡한속건성 소재, 경량성 소재, 활동성에 좋은 신축성 소재, 피부 자극이 적은 부드러운 소재, 잦은 세탁에도 잘 견디는 내구성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고 겨드랑이, 등, 옆구리, 샅 부위에는 통기성을 위하여 메쉬소재를 사용하였다. 샅 부위의 경우에는 신체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기구가 작은 메쉬소재를 사용하였고 기타 부위는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통기구가 큰 메쉬소재를 사용하였다. 테이핑기법이 적용된 추가적인 압박 부위는 조사결과와 코어근육 강화용 컴프레션웨어를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을 고려하여 어깨, 위팔, 가슴, 코어, 척추기립근, 허벅지, 엉덩이로 하였다. 연구복의 패턴과 디자인의 경우 겨드랑이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겨드랑이 부위에 재봉선을 없도록 패턴을 수정하였고 상의 길이를 줄여 불필요한 여유랑을 줄였다. 그리고 코어 압박을 위하여 하의는 하이웨이스트로 제작하였고 허리조임 밴드가 딱딱한 경우 허리조임 부분이 살을 눌러 불편하다는 의견이 있어 허리밴드를 기존의 엘라스틱 밴드 대신 압박용 소재로 제작하였다. 또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시접을 최소화하여 핏과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607 4-본침 6 플랫락(607 4-needle six flatlock, or flatseamer) 스티치로 봉제를 하였다. 3. 착의평가 착의 평가는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정량적 평가는 센타르 코어 측정과 의복압 측정을 하였다. 센타르 코어 측정을 통해 기존복과 연구복 착용 시 피험자들이 코어근력 값을 측정한 결과 연구복 착용 시 피험자들의 코어근력 값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압 측정 결과에서도 적정 의복압 내에서 기존복에 대한 의복압 평균보다 연구복의 의복압 평균이 높게 측정되어 정량적 평가에서 연구복이 기존복과 비교하여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성적 평가는 피험자가 기존복과 연구복을 각각 착용하고 외관 및 착용감, 동작적합성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정성적 평가에서도 연구복이 기족복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겨드랑이부위 패턴 수정, 상의 여유량 개선, 하이웨이스트로 제작된 하의, 테이핑기법이 적용된 컴프레션웨어 착용 시 긍정적인 심리적 효과의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내 스포츠웨어 시장에서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는 컴프레션웨어 착의 실태를 조사하여 소비자의 니즈와 웨이트 트레이닝 적합성을 고려하고 테이핑기법을 적용한 코어 강화용 컴프레션웨어를 개발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테이핑기법이 적용된 코어 강화용 기능의 컴프레션웨어의 착용으로 웨이트 트레이닝 활동 시 상해를 줄이고 효과적인 운동과 신체 활동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This study aimed to develop core muscle compressing compression wears with application of sports taping method with improved functionality, making it more suitable for weight training and for sports injury prevention. A survey was conduced on men in their twenties who have had experiences in weight training and in wearing compression wear regarding the overall wearing conditions of the compression wear. In order to analyze the overall conditions, physical injuries during weight training and the problems core compression wear pose, analysis on current method of purchasing and wearing, brand preference, functionality, design preference, inconvenience, areas where additional compression is required, areas which are easily injured and additional accessories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research, compression wear with improved problems and functionalities for weight training was developed. In order to objectively verify the improvements of the newly developed compression wear, fit tests were conducted. For quantitative test, inspections on centaur core and garment pressure test were carried out. For qualitative test, participants with experiences in weight training wore the garment to analyze the exterior design, wearing conditions and motion comfort level. Through statistical comparison of the existing and new compression wear, this study developed a core muscle compressing compression wear with application of taping methods. 1. Wearing conditions of compression wears The overall dissatisfaction in wearing the compression wear was not high. However regarding the top garment, ‘seams in underarm areas irritating the skin’ and ‘underarm areas becoming tight during activities’ were relatively highly ranked compared to other dissatisfaction factors. The necessities of higher compression in pectoral part muscles were ranked the highest by 38.4%. The muscles in abdomen part, back part, waist, and thigh part were also frequently selected as a part that needs higher compression. Several people selected directly core muscle part as a part that needs higher compression. The results added up to 50.6% of the survey participants wanting higher core compression, disregarding the requests for chest part muscles. Durability for frequent wash, moisture absorption and quick drying as to sweat, elasticity for vigorous activities, light weight, ventilation, and thermal balance to maintain body temperature were accounted as important functionality in compression wears. In designs, round necklines, regular leggings type bottoms, upper arm length sleeves and thigh length bottoms were preferred. Designs with combination of colors and solid colors were similarly preferred. But dark colors were preferred over pale colors and achromatic colors were preferred over primary or loud colors. 2. Development of a new compression wear A new compression wear was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ilot interviews, literature review, survey, fit and motion tests on the existing compression wears. Materials, design and patterns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to improve the existing compression wear. Materials with fast absorption and emission to sweats, light weight materials, soft materials with less skin irritation and high durability to frequent wash were considered. Mesh materials were used for ventilation at underarm, back and crotch areas. To minimize physical exposure at crotch areas, mesh materials with smaller holes were used and mesh materials with larger wholes were used to enhance ventilation in other parts. Additional compression with taping methods were used at shoulders, upper arm, core, erector spinae, thighs and hip parts in order to develop a core muscle enhancing compression wear. In order to minimize the underarm irritation, the underarm seam was removed from the pattern. The length of the top garment was shortened to reduce the excessive amount of material. For core compression, the bottom was designed with a high waist and compression materials were used instead of elastic bands for waist parts as there were opinions that the existing compression wear were uncomfortable due to its tightess at the waist. To minimize the seam allowance amount and the skin irritation and to improve the overall silhouette, 607 4-needle six flatlock stitches were used. 3. Fit test The fit test was carried out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or quantitative test, inspections on centaur core and garment pressure were carried out. Through centaur core inspections, the participants showed higher core muscle tension when wearing the new compression wear from the current study research compared to the existing compression wear. In garment pressure inspections, the average garment pressure of the new compression wear was calculated to be higher than the existing compression wear within the range of optimal garment pressure. For qualitative test, the participants was given to wear both the existing compression wear and the new compression wear to assess the exterior design, wearing conditions, and motion comfort. In qualitative test, the new compression wear had a higher satisfaction rate and it can be attributed to the pattern amendment at underarm parts, minimization of excessive materials of the top garment, high waist bottoms and positive psychological effect of wearing compression wear with taping method. This study has significant meaning for developing a new compression wear which are popular in domestic apparel industry recently. The new core muscle compressing compression wear with taping methods is expected to help reducing sports injuries, improving physical activities and doing more effective exerci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연구의 범위 5 Ⅱ. 이론적 배경 6 A. 웨이트 트레이닝 6 1. 웨이트 트레이닝의 정의와 목적 6 2. 웨이트 트레이닝의 3대 운동 7 3.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인한 상해 11 4. 웨이트 트레이닝 효과 12 B. 코어근육 13 1. 코어근육의 정의 및 기능 13 2. 코어근육 강화와 운동수행능력 14 C. 테이핑 17 1. 테이핑의 정의와 목적 17 2. 테이핑의 원리와 효과 17 3. 테이핑의 부작용 22 D. 컴프레션웨어 22 1. 컴프레션웨어의 정의와 역사 22 2. 컴프레션웨어의 착용효과와 사용범위 23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6 A. 컴프레션웨어 착의실태 조사 28 1. 조사목적 및 설문지 구성 28 2. 조사대상자 및 조사기간 29 3. 설문조사 자료분석 29 B. 연구복 설계 30 C. 착의평가 31 1. 기존복 및 사이즈 선정 31 2. 피험자 선정 32 3. 정량적 평가 32 4. 정성적 평가 35 5. 착의평가 자료분석 36 Ⅳ. 연구결과 및 고찰 37 A. 컴프레션웨어 착의실태 조사결과 37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37 2. 컴프레션웨어 구매실태 40 3. 컴프레션웨어 착용실태 46 4. 컴프레션웨어 선호 및 불편 사항 47 5. 웨이트 트레이닝 운동 상해 관련 사항 54 B. 연구복 설계결과 58 1. 소재 설계 59 2. 테이핑의 적용 62 3. 디자인 및 패턴 설계 64 C. 착의평가결과 71 1. 센타르 코어 측정결과 71 2. 의복압 측정결과 77 3. 외관 및 착용감 평가결과 81 4. 동작적합성 평가결과 85 Ⅴ. 결론 및 제언 87 A. 결론 87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89 참고문헌 90 부록1. 컴프레션웨어 착의실태 조사 설문지 96 부록2. 외관 및 착용감, 동작적합성 평가지 102 ABSTRACT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986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테이핑기법을 적용한 코어근육 압박용 컴프레션웨어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웨이트 트레이닝 활동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a Functional Compression Wear with Sports Taping Application for Core Muscle Compression : Focused on Weight Training-
dc.creator.othernameKim, Mira-
dc.format.pageix, 107 p.-
dc.contributor.examiner오송윤-
dc.contributor.examiner최혜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