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순둘-
dc.contributor.author이은진-
dc.creator이은진-
dc.date.accessioned2017-03-24T01:03:54Z-
dc.date.available2017-03-24T01:03:5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7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48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73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의 급증으로 삶의 방식과 욕구가 다양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두 가구의 이질적인 특성을 다각적인 차원에서 살펴보고, 이를 예측하는 요인을 개인적 요인, 경제 요인, 사회적 요인 중심으로 파악하여 사회복지적인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활동적 노화의 관점을 적용하여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의 유형화를 시도하고,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파악하며,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복지여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의도적 표집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노인1인가구 207부, 노인부부가구 235부 총 44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Mplus 7.31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 분산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등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적 노화 측정 변인은 건강상태, 건강행동, 사회참여, 안전인식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추출된 요인으로 활동적 노화 유형을 살펴본 결과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의 유형에 차이를 발견하였다. 둘째, 노인1인가구는 ‘안전인식 문제형’, ‘건강 문제형’, ‘활동적 노화 1 유형’, ‘활동적 노화 2 유형’4개의 잠재프로파일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긍정적 차원의 유형으로 볼 수 있는 ‘활동적 노화 1 유형’과 ‘활동적 노화 2 유형’이 확인되었으며, 안전인식에서 가장 취약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노인1인가구의 활동적 노화 유형별 예측 요인을 살펴본 결과, 공통요인으로 주관적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활동적 노화 1 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 외에 개별적으로 남성일수록, 사회안전망의 개수가 높아질수록, 가족과 모임·친구·이웃의 크기가 클수록, 가족의 접근성이 좋을수록 ‘활동적 노화 1 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넷째, 노인부부가구는 ‘건강행동 미흡형’, ‘활동적 노화형’, ‘건강행동 무관심형’ 3개의 잠재프로파일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긍정적 차원의 유형으로 볼 수 있는 ‘활동적 노화형’이 확인되었으며, 건강행동이 가장 취약함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노인부부가구의 활동적 노화 유형별 예측 요인을 살펴본 결과, 공통요인으로 부부간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활동적 노화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 외에 개별적으로 남성일수록, 월소득이 높을수록, 가족과의 접촉빈도가 낮을수록, 가족과의 접근성이 좋을수록, 모임·친구·이웃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할수록, 수혜가 감소할수록 ‘활동적 노화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의 논의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의 활동적 노화 참여자들이 그들이 가진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생활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 활동적 노화형에 속한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는 개인적 요인, 경제 요인, 사회적 요인의 자원이 풍부하며 이를 기반으로 활동적 노화 참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재능기부와 같은 이들의 자원을 이용한 참여를 지속하여 활동적 노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참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노인1인가구의 안전인식의 취약성을 확인함으로써 이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기존에 진행되는 사업의 일환인 안전 생활점검 차원을 넘어선 혼자 사는 노인의 안전 인식 개선향상을 위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정기적인 방문을 통하여 개인, 지역사회, 국가 차원을 포괄할 수 있는 안전인식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정보제공이 필요하며, 지역사회 거주하는 주민들에게도 안전인식 향상 캠페인 등을 통한 인식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노인부부가구의 건강행동 무관심형이 확인되어 부부간 건강관리의 보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밝혔다. 이들이 후기 노인 또는 노인1인가구로 전환되었을 때 가장 먼저 건강 문제의 어려움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 노인부부관계 재정립 뿐만 아니라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개입, 가구 전환시기 맞춤 건강 지원 체계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노인1인가구 뿐만 아니라 노인부부가구의 사회적 관계망 구축이 필요하다.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의 취약 계층은 모두 사회적 관계망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사회참여 활성화 프로그램을 통하여 우울, 역할상실, 고독감 등의 문제 해결 뿐만 아니라 관계망 형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를 통하여 노인부부가구에서 노인1인가구로 전환되었을 때 삶의 질이 급격하게 떨어지지 않도록 예방의 차원으로 함께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의 성별에 따른 활동적 노화의 진입이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 모두 남성일 경우 활동적 노화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에 여성노인의 특성 파악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의 여성노인의 차이를 면밀하게 파악하여 가구별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며, 이들의 사회참여를 통한 비공식적 관계망 형성 등을 위한 프로그램 개입이 활성화되어 새로운 변화에 잘 적응하여 위기 집단으로 진입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노인부부가구의 부부간 거주기간을 고려한 활동적 노화 참여 개입이 필요하다.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활동적 노화에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는 결과는 노인부부가구의 지속기간이 길어질수록, 노인1인가구로 전환되었을 때 활동적 노화에서 멀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들이 사회 서비스 등 이용을 위한 사정 단계에서의 단독거주시기를 파악해야 하며 이를 고려한 노인의 사정이 함께 이루어져 적절한 서비스 연계로 활동적 노화 참여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parate characteristics between elderly single and couple households according to the multidimensional level based on the diverse situation of the life method and need by increasing of the elderly single and couple households; therefore,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 is derived by understanding the predictors such as individual, economic, and social factors. This study tried heterogeneous subgroups of elderly single and couple households by adopting the perspective of active aging, as well as exploring predictors affected heterogeneous subgroups through the analysis of its aspects. In this study, the survey conducted subject to the elderly single and couple households who are using the leisure an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for more than 60 years old in the area of Seoul, Gyeonggi, and Incheon. Purposive sampling method was used for the survey, and the total of 442 samples, 207 samples for elderly single households and 235 samples for elderly couple household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are verified by using SPSS 22.0 and MPlus 7.31 and utilizing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alysis of variance,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d so on. The summary of the main contents and results in this study are followings: First, the measurement variable used in active aging are extracted by physical condition, health behavior, social participation, and safety awareness. The difference of stereotype between the elderly single and couple households resulting in review of type of active aging by the extracted factors. Second, for the elderly single households, the four types of potential profiles are derived: safety recognition problem, health problems, active aging 1, and active aging 2. The positive type of levels, active aging 1 and active aging 2, are found and the safety recognition was pointed out the most vulnerable type. Third, the possibility belonged to the type of active aging 1 is increased as a common factor as long as the better of self-reported economics resulting in the review of the predictors, under the type of active aging, in the elderly single households. In addition, its possibility belonged to the type of active aging 1 is increased as long as the male, the higher social safety network, the larger of family, meeting·friends·neighbors, and the better accessibility of family. Four, for the elderly couple households, the three types of potential profiles are derived: insufficient health behavior, active aging type, and indifferent health behavior. The positive type of level, active aging type, is found and the health behavior was pointed out the most vulnerable type. Fifth, the possibility belonged to the type of active aging is increased as a common factor as long as the shorter of residence period resulting in the review of the predictors, under the type of active aging, in the elderly couple households. In addition, its possibility belong to the type of active aging is increased as long as the individual male, the higher monthly income, the better accessibility of family, providing social support to meeting·friends·neighbors, and the reducing of beneficiaries. The discussion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First, active aging latent profile in the elderly single and couple households was identified. Younger age, larger personal resource, and larger social relation networking predicted a higher likelihood of being in the group with active aging latent profile. Thus, the result suggested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of diverse programs, such as talent donation, for plan of active aging, by continue maintaining of participation utilized their resources. Second,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 is brought out by pointing out the vulnerable type of safety recognition problem in elderly single households. Thus, the intervention should be accomplished for improvement of safety recognition in elderly households who are living alone beyond the inspection of safe life as a part of existing project. In addition, the education and information are needed to provide for improvement of safety recognition, including an individual, a community, and the national level, through regular visiting. For residents who are living in a community, furthermore, the safety recognition should be improved through the improvement campaign of safety recognition. Third, the lack of supplementation in marital health care are shown by identifying indifferent health behavior in elderly couple households. The intervention is necessity when converting to the elderly in late years or elderly single households since they have a possibility to expand the health problem, first of all. The relationship of elderly couple should be reestablished as well as the system that intervened for improvement of marital relationship and supported health according to the converting period of household should be prepared. Fourth, the necessity of establishment for social relation network is identified not only in elderly single households but also in elderly couple households. The vulnerable stratum in elderly single households and elderly couple households are shown that the social relation network is incomplete. The attention is needed not only to resolve the problem related to the depression, loss of the role, loneliness, and so on, but also to form relation network through the various vitalized program of social activity according to the nature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and elderly couple households. Through this, it could be considered as a prevention that the quality of life wouldn’t be dropped down rapidly when converting from elderly couple households to elderly single households. Fif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gender in entry to active aging in both the elderly single and couple households. In this study, male elderly was more likely to be in the group of active aging, supporting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in female elderl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characteristics in female elderly, the service targeted to household needs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the program intervention for information relation network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should be stimulated, resulting in helping to adapt new environment and preventing in entry to risk group. Sixth, shorter residence period predicted a higher likelihood of active aging participation.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as residence period is longer, a likelihood of active aging decrease when the elderly couple households change to the elderly single households. In the assessment stage for usage, therefore, such as social service, independent residence period should be investigated. Given the assessment for the elderly and appropriate service, active aging participation should be maintain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의 목적 5 C. 연구의 의의 6 II. 이론적 배경 7 A. 활동적 노화 개념 및 차원 7 1. 활동적 노화 개념 7 2. 활동적 노화 차원 12 B.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의 활동적 노화 18 1.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의 특성 18 2.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 활동적 노화 유형에 관한 선행연구 26 C.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 활동적 노화 예측 요인 29 1. 개인적 요인 32 2. 경제 요인 34 3. 사회적 요인 35 D.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38 Ⅲ. 연구방법 40 A. 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40 1. 연구대상 40 2. 표집방법 및 자료수집 41 B. 변수의 정의 및 측정 42 C. 자료분석방법 50 VI. 연구결과 54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4 B. 활동적 노화 측정 변인 분석 60 C.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 활동적 노화 변인의 특성 62 D.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의 활동적 노화 유형화 65 1. 노인1인가구의 활동적 노화 유형 및 예측 요인 65 2. 노인부부가구의 활동적 노화 유형 및 예측 요인 81 E.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의 활동적 노화 유형 및 예측 요인 비교 94 1.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 활동적 노화 유형 94 2.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 활동적 노화 유형 예측 요인 95 V. 결론 및 제언 97 A. 연구결과 요약 97 1. 활동적 노화 측정 변인 특성 97 2. 연구대상자 활동적 노화 유형화 및 예측 요인 98 B. 논의 102 1.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의 활동적 노화 유형 102 2. 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의 활동적 노화 유형 예측 요인 104 C. 함의 106 D.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111 1. 연구의 한계점 111 2.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112 참고문헌 114 부록 <설문지> 130 ABSTRACT 1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079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노인1인가구와 노인부부가구의 활동적 노화 유형화 및 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Identification and Prediction of Latent Profiles of Active Ageing-
dc.creator.othernameLee, Eun Jin-
dc.format.pagevii, 144 p.-
dc.contributor.examiner김 미 혜-
dc.contributor.examinerErica Yoon Kyung Auh-
dc.contributor.examinerHee Yun Lee-
dc.contributor.examiner김 진 석-
dc.contributor.examiner정순둘-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