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나영-
dc.contributor.author홍지연-
dc.creator홍지연-
dc.date.accessioned2017-03-24T01:03:51Z-
dc.date.available2017-03-24T01:03:5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0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48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03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1945년 광복이후부터 2013년까지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국내 전개 과정과 특징,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주얼리 산업이 고부가가치를 실현하고 질적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럭셔리의 역사적 개념과 럭셔리 산업으로의 발전과정 및 전략을 고찰한 결과 럭셔리 산업의 성장 동력은 제품을 문화적 산물로 만든 것이었다. 또한 시대적 흐름에 민첩하게 대응한 것도 중요한 동력이었다. 둘째,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국내 전개 과정과 특징을 검토한 결과 공식 진출하기 전부터 상당한 인지도와 소득증가에 따른 수요가 형성되어 있었다.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국내 전개 과정은 인식기와 유입기, 성장기로 구분할 수 있다. 인식기는 1945년부터 1983년으로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가 국내에 정식 수입되지 않았지만 관련 기사와 광고, 밀수, 여행자 휴대품에 대한 보도로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었다. 유입기는 1984년부터 1995년으로 1984년 「까르띠에」, 1991년 「티파니」, 1993년 「불가리」가 수입 상사를 통해 국내에 공식 수입되었다. 성장기는 1996년부터 2013년으로 1996년 「티파니」가 한국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직진출하였으며, 이후 다른 브랜드들의 직진출도 이어지면서 국내 기반을 구축하고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국내 전개 특징은 다음과 같다. 「티파니」는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로 인해 가장 높은 간접홍보효과를 누렸으며, 공식 수입되기 전부터 ‘한국의 티파니’라는 표현이 사용되어 성공한 주얼리 업체를 대표하는 이름으로 자리 잡았다. 내수에 더해 일본인과 중국인 관광객의 구매력도 국내 매출을 견인하였으며, 한국 하이엔드 시장의 중요한 유통채널인 백화점의 적극적 유치와 판촉 전략으로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는 고속성장 할 수 있었다. 셋째, 그 결과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는 국내에서 주얼리의 예술성에 대한 담론을 촉진시키고 결혼 예물 구매 성향을 변화시켰다.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는 주로 이벤트를 활용해 접근성을 높이면서 브랜드의 가치를 더 높은 지위로 끌어 올림으로써 제품을 예술화하였다. 이로 인해 국내 시장에서 주얼리의 예술성에 대한 담론이 촉진되었다. 또한 역사에 충실하면서도 트렌드를 선도함으로써 전통을 지속적으로 현대화시켰다. 이를 통해 젊은 세대의 관심을 사로잡았고 결혼 예물로 럭셔리 주얼리와 시계를 선호하는 성향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한국 주얼리 산업계가 고부가가치를 실현하고 질적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선행되어야 한다. 정부는 주얼리 산업을 21세기형 고부가가치 문화창조산업으로 인식을 전환하고 육성해야 한다. 그 첫 단계는 과도하게 부과하고 있는 개별소비세를 폐지해 주얼리 산업을 양성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언론은 무분별한 용어 사용과 흥미 자극성 기사, 편향적 보도를 자제해야 한다. 또한 한국 주얼리 산업계는 주얼리를 문화적 전통을 지닌 예술적 오브제로 승화시킬 때 고부가가치가 창출되는 것임을 인식하고 고유의 미적 방향성을 확실하게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역사와 전통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예술을 창조와 혁신의 동력으로 활용하여 기업 문화 전반으로 확대시켜야 한다. 그리고 산업계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적으로도 고객 교육과 서적 출판, 주얼리 문화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주얼리를 문화로 승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광복 이후부터 2013년까지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국내 전개 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특징을 도출함으로써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가 성공할 수 있었던 국내 여건의 특수성과 배경을 근원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둘째,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전략과 이로 인한 국내 주얼리 시장에 미친 영향을 모델로 제시함으로써 유관 분야의 연구에 이론적 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한국 주얼리 산업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이론적, 실무적 준거기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진정한 럭셔리는 수준 높은 미적 체험과 문화를 통해 삶의 기쁨을 고양하는 동력으로 작용한다. 럭셔리의 핵심은 인간의 꿈을 현실화시켜 주는 것이다. 전 세계 글로벌 주얼리 브랜드의 테스트 베드이자 각축장이 된 국내 시장에서 한국 주얼리 산업은 중요한 기로에 서있다. 난관을 극복하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할지 도태될 것인지를 가르는 변곡점에 서 있다. 본 연구가 성장의 모멘텀으로 활용되어 한국의 전통과 문화를 기반으로 한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가 탄생할 수 있기를 기원한다.;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f the development of foreign luxury jewelry brands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the Liberation in 1945 to 2013, and suggested tasks to be done for the Korean jewelry industry to attain high added value and achieve qualitative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discussing the historical concept of luxury an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trategies of the luxury industry, a driving force for the growth of the luxury industry was making its products as cultural products. Another important driving force was coping with the trends of time sensitively.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foreign luxury jewelry brands in Korea and its characteristics, luxury jewelry brands had already been recognized highly and demand for them had already been among high income earners even before the official advance of the brands. The development process of luxury jewelry brands in Korea is largely divided into the recognition period, inflow period, and growth period. At the recognition period from 1945 to 1983, luxury jewelry brands were not officially imported to Korea, but such brands were recognized through related articles and advertisements, smuggling, and reports on travelers’ belongings. In the inflow period from 1984 to 1995, Cartier, Tiffany & Co., and Bvlgari were imported officially to Korea through import firms in 1984, 1991, and 1993, respectively. In the growth period from 1996 to 2013, Tiffany & Co. advanced to Korea directly by opening a Korean local corporation in 1996, and this was followed by the direct advances of other branches. As they laid the ground in Korea, they began to grow ac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development of luxury jewelry brands are as follows. Tiffany & Co. earned the highest effect of indirect advertisement from movie ‘Breakfast at Tiffany’s’ and the expression ‘Korean Tiffany’ was used before the official import of the brand. In this way, it was settled as a successful brand representing the jewelry industry. In addition to domestic demand, the purchasing power of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also contributed to the sales in Korea, and luxury jewelry brands enjoyed rapid growth thanks to the active attraction and promotion strategies of department stores, important distribution channels in the Korean high‐end market. Third, as a result, luxury jewelry brands stimulated discourses on the artistry of jewelry in Korea, and transformed people’s tendencies in the purchase of wedding gifts. Luxury jewelry brands promoted the artification of their products by enhancing accessibility mainly through utilizing events and by uplifting brand value to a higher position. This stimulated discourses on the artistry of jewelry even further in the domestic market. By leading trends while staying faithful to history, moreover, they steadily modernized traditions. Through these efforts, they captured young generations’ eyes, and strengthened people’s preference for luxury jewelry and watch as wedding gif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s presented above, the following tasks should be done for the Korean jewelry industry to attain high added value and to achieve qualitative growth. The government should change its perception of the jewelry industry as a 21st‐century high‐value‐added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y, and support its growth. The first stage of the effort is activating the jewelry industry by abolishing the excessive individual consumption tax. In addition, the press should abstain from using indiscreet words, articles stimulating people’s interest, and biased reports. Moreover, the Korean jewelry industry should remember that high added values are created when jewelry is sublimed into artistic objects with cultural traditions, and establish a clear and unique aesthetic direction. This requires humanistic approaches to history and traditions, and arts should be utilized as a driving force of creation and innovation throughout corporate culture. Not only inside but also outside of the industry,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sublime jewelry into culture by activating customer education, book publishing, and jewelry culture programs. This study has meanings as follows. First, it explored the particularities and background of the domestic jewelry market for the success of foreign luxury jewelry brands by reviewing historically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luxury jewelry brands in Korea from the Liberation to 2013 and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Second, this study built a theoretical frame of research in related areas by suggesting models explaining the strategies of luxury jewelry brands and their influences on the domestic jewelry market. In addition, this study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reference criteria for the Korean jewelry industry to create high added values. Genuine luxury works as a driving force exalting the delight of life through noble aesthetic experiences and culture. The core of luxury is the actualization of human dreams. In the domestic market that has become a test bed and arena of competition for global jewelry brands, the Korean jewelry industry is standing at crossroads. It is on the point of inflection between continuous growth through overcoming difficulties and creating high added value or dismissal from the arena of compet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momentum of growth so that new luxury jewelry brands may be born of Korean traditions and cul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C. 용어의 사용 7 Ⅱ. 이론적 배경 8 A. 럭셔리 개념의 역사적 전개 8 1. 럭셔리의 어원 8 2. 럭셔리에 대한 부정적 시각 형성 및 우호적 주장 대두 11 3. 럭셔리의 산업화 기반 조성 12 2. 럭셔리의 산업화 및 국제화 15 B. 럭셔리의 산업적 개념 및 전략적 특징 18 1. 럭셔리의 산업적 개념 19 2. 럭셔리 산업의 전략적 특징 24 3. 럭셔리 산업의 규모 및 주요 그룹 33 C.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 42 1.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역사 42 2. 럭셔리 주얼리 산업의 규모 및 국내 매출 48 Ⅲ.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국내 전개 55 A. 인식기: 1945~1983년 55 1. 1945~1961년 55 2. 1962~1983년 57 B. 유입기: 1984~1995년 65 C. 성장기: 1996~2013년 74 Ⅳ.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국내 전개 특징 88 A. 「티파니」의 높은 인지도 형성 88 1. 브랜드별 기사와 광고 수 및 연도별 분포 88 2. 기사 및 광고의 내용 분석 92 B. 일본인 및 중국인 관광객에 의한 활성화 93 1. 일본인 관광객 대상의 럭셔리 브랜드 수입 시작 93 2. 중국인 관광객의 럭셔리 주얼리 및 시계 구매 증가 95 C. 백화점 위주의 유통 채널 전개 102 1. 럭셔리 전문관 개점 이전 102 2. 럭셔리 전문관 개점 이후 104 Ⅴ.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가 국내에 미친 영향 110 A. 주얼리의 예술성에 대한 담론 촉진 111 1. 브랜드에 대한 접근성 향상 111 2. 브랜드의 지위 향상 112 3. 주얼리의 예술성에 대한 담론 촉진 119 B. 결혼 예물 구매 성향 변화 129 1. 역사와 전통 강조 130 2. 트렌디한 이미지 부각 136 3. 국내 결혼 예물 구매 성향 변화 140 C. 한국 주얼리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제 156 1. 국가 및 사회적 과제 156 2. 한국 주얼리 산업계의 내부적 과제 160 3. 한국 주얼리 산업계의 대외적 과제 164 Ⅵ. 결론 168 참고문헌 171 ABSTRACT 1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776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국내 전개 특징 및 영향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f the Development of Foreign Luxury Jewelry Brands in Korea-
dc.creator.othernameHong, Ji Youn-
dc.format.pageix, 179 p.-
dc.contributor.examiner임재영-
dc.contributor.examiner염혜정-
dc.contributor.examiner박민정-
dc.contributor.examiner김소현-
dc.contributor.examiner홍나영-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직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