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리학-
dc.contributor.author배다정-
dc.creator배다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1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2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14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최근 15년간(2000~2015) 발표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관련 논문 총 30편을 발췌하여 이의 공통적인 치료적 요인 및 치료적 요인 별 매체의 활용을 분석하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치료적 요인과 매체의 상관관계에 대한 하나의 관점을 제시하고자함에 있다. 먼저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특성을 사회적 상호작용·의사소통의 측면, 정서적 측면, 인지·행동적 측면, 신체·감각·운동 발달적 측면으로 분류하여 이론적인 고찰을 하였고, 목적에 부합하는 선행 사례연구 30편을 선정하여 각 분류에 해당되는 치료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후에 선행 연구의 미술치료에서 활용한 매체를 표면 매체, 드로잉 매체, 페인팅 매체, 모델링 매체, 기타 매체로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이 결과들을 토대로 하여 각 치료적 요인 별 매체의 활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상호작용·의사소통의 측면의 치료적 요인은 치료자와 아동의 긍정적인 치료적 관계, 집단미술치료의 경우에는 다른 집단원 및 치료자를 통한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기술 학습, 다른 집단원 및 치료자에 대한 모방, 특정한 주제의 미술활동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치료적 요인을 고려할 때, 연필, 색연필, 크레파스 등의 드로잉 매체, 점토 매체 등이 이에 도움을 주었고, 인간띠 구성, 가족 얼굴 표현하기 등의 주제로 진행된 작업 역시 도움이 되었다. 매체의 사용법을 알려 주는 과정이나 그리기, 만들기 작업 중 치료자의 시범 및 다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이나 비 장애 아동과의 협동 작업에서 대상 아동은 적절한 방식의 모방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잡지 등을 이용한 꼴라쥬 기법을 활용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의사소통의 측면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해 볼 수 있다. 둘째, 정서적 측면의 치료적 요인은 감정 및 에너지 발산으로 인한 정화(catharsis)의 경험, 이완을 통한 긴장감 해소, 건강한 에너지 분출을 통한 공격성 감소, 정서적 이해력의 향상, 간접적인 창조성의 경험 등으로 사료된다. 물감을 이용한 신체(손, 발) 찍기, 도구 찍기, 흰 색 크레파스로 그림을 그리고 그 위에 물감 칠하기, 점토 매체를 활용한 찍기, 주무르기, 코일링하기, 계란 껍질을 이용한 작업, 밀가루, 전분, 비눗방울, 물풀, 로션을 이용한 매체 탐색 및 핑거페인팅, 신문지 찢기, 던지기, 우드락, 스티로폼 부수어 모자이크 작업하기, 스스로 매체 탐색하고 선택하기 등의 활동을 통하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서적 측면의 치료적 요인의 발생을 유도해 볼 수 있었다. 셋째, 인지·행동적 측면의 치료적 요인을 치료자 및 다른 집단원을 통한 정보전달 및 학습, 치료자의 지시에 따른 모방행동의 증가, 자발적 모방행동의 증가, 자기통제를 통합 집중력의 향상, 부적응 행동 및 문제 행동의 감소 등으로 유추해 볼 수 있었다. 도형 오리기, 종이접기, 드로잉 매체, 페인팅 매체로 신체상 표현하기, 주제화(가족, 계절, 사물, 표정), 특정 상황에 대한 감정 표현 및 상황 재현하기, 설탕, 소금, 돌멩이, 밀가루 매체 탐색 및 이에 대한 냄새, 질감, 촉감을 언어로 표현하기, 지구본, 잡지 등의 정보전달 매체를 통한 학습, 협동화, 점토 및 기타 매체로 특정한 모양 만들기, 색 혼합 등을 통하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인지·행동적 측면의 치료적 요인의 발생을 유도해 볼 수 있었다. 넷째, 신체·감각·운동 발달적 측면의 치료적 요인으로는 촉각, 시각, 시지각 등의 다양한 감각 및 소·대근육 발달, 눈-손 협응력 향상, 감각방어의 해소를 들 수 있었다. 종이 오리기, 풀칠하기, 스티커 붙이기, 도장 찍기, 크레파스, 물감을 활용한 그리기, 채색하기, 스크래치, 핑거페인팅, 신체(손, 발)찍기, 점토 매체 탐색(두드리기, 주무르기 등) 및 형상 만들기(사람, 사물), 계란껍질 부수기, 신문지 찢기, 우드락 부수어 모자이크하기, 바느질하기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신체·감각·운동 발달적 측면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논의점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미술치료에서 물감, 점토, 기타 매체를 활용한 작업의 비중이 높았다는 것과 이완 및 근육 발달 도모, 모방 유도를 중심으로 하는 작업의 비중이 높았다는 것이다. 또한 구조적·비구조적인 미술치료에서 모두 치료적 요인 별 매체의 활용 분석을 하나의 유용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치료자의 역량과 전문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모든 자폐 아동에게 위와 같은 보편성을 적용하는 것 보다는 이것을 참고로 하여 개개인의 욕구, 강점을 고려한 미술 치료 설계를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매체 외의 다른 중요한 치료적 요인을 분석하지 못한 점, 선행연구의 기술과 목적에 기초하여 분석을 진행한 점, 각 연구의 목표의 적절성 및 효과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 각 연구 대상 아동의 장애 정도 및 그 밖의 특성을 모두 고려하지 못한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후속 연구에서 이와 같은 제한점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하지 못한 다양한 치료적 요인에 대한 고찰 및 매체의 활용 가능성 고찰이 이루어지길 바란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conside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therapeutic factors and art materials of art therapy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children(ASDC). For accomplishing this purpose, this research has extracted the other well-written 30 researches about art therapy for ASDC that is published in Korea during the past 15 years. The procedur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 First of all, this research has categorized the 4 therapeutic factors and they are social aspect, emotional aspect, cognitive-behavior aspect, and physical and sensory aspect. Second, there are analyses about art materials of consist of surface materials, drawing materials, painting materials and modeling materials. But there are non-art materials like flour, shaving foam, sugar, salt and tissue, so they are named just non-art materials. After the analyses above all, this study has considered the relation between the therapeutic factors and art materials of art therapy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children(ASDC). As the result, kinds of relations between the therapeutic factors and art materials of art therapy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children(ASDC) have come up as follow. 1. Social aspect : Therapeutic alliance, learning of communication skills, Mimetic activity and some useful themes for social aspect are the therapeutic factors of art therapy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children(ASDC). The art therapist can form a rapport with ASDC when using two-dimensional materials and papers because that materials like crayon, color pencils or a pencil are handy and easy for use. And making a human chain of connecting, drawing their family or some kinds of teamwork can helpful for ASDC. They can understand interaction between theirselves and others when they should control their feelings or desires and listen others' voice during teamwork. Mimetic activity is the important factor of social skills. Appropriate mimetic activities can help ASDC's learning. ASDC can mimic the therapist's modeling of clay or a stamping of watercolor. In addition, they can mimic other children only if joining group therapy. And then, the themes of family or other people are useful for improving social skills of ASDC. 2. Emotional aspect : Catharsis, relaxation, stress redution, aggressiveness reduction, improving of understanding theirselves' emotions and others' emotions and creativity are the therapeutic factors of art therapy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children(ASDC). ASDC can feel catharsis of art, if they can handel the clay or watercolors. They can use watercolors above the drawing of crayons. These materials provide the chances for losing suppressed feelings. It is hard for ASDC to get self-knowledge and self-representation. Therefore art therapist can provide some images or magazines and then, children can enjoy collage works. That images and collage works can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irselves and representing theirselves. A pastel, watercolor, clay, shaving foam and flour can provide relaxation for ASDC, because they are very soft with water. In addition, they can mix a variety of color with that materials. This processing are soft and tender visually. It is hard for ASDC to unleash their creativity. Therefore, art therapist can help for them to pick the materials that they prefer and use that materials variously. This step would be the first attempt for developing their creativity. 3. Cognitive-behavior aspect : Learning useful informations, Mimetic activity, self-command, reduction of inappropriate activities are the therapeutic factors of art therapy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children(ASDC). ASDC can learn about colors, figures, changes of season, the expressions of others' face and correct ways of expressions for handling the situations from art therapy. And then, appropriate mimetic activities can help ASDC's improving of abilities of cognitive-behavior. ASDC can mimic the therapist's modeling of clay or a stamping of watercolor. In addition, they can mimic other children only if joining group therapy. Another way is a images of the specific situations of themes. ASDC can learn about appropriate behaviors because of that images. Self-command and reduction of inappropriate activities are another therapeutic key factor of cognitive-behavior aspect. When they are touching clays or watercolor, they can be immersed in their activities and senses. Therefore, ASDC can reduce inappropriate activities during art activities. 4. Physical and sensory aspect : Development of vision and sense of touch, development of various muscles and development of hand-eye coordination are the therapeutic factors of art therapy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children(ASDC). When ASDC cut the paper and glue them, it is helpful for development of various muscles and development of hand-eye coordination. Also, watercolor or clays are useful for development of vision and sense of touch. Tearing papers, smashing hard things like a peel of eggs are also useful way for development of vision and sense of touch, development of various muscles and development of hand-eye coordination. The discus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in the following. The watercolor and clays are a big part of art therapy for ASDC. Also, relaxation, development of muscles and mimetic activity are the main purpose of art therapy for ASDC. Autism Spectrum Disorders children(ASDC) have the lack of communication skills, the restricted interests and behavioral stereotypy. Therefore art therapist should consider their symptoms, characters and strengths. Some ASDC prefer modeling of clay, but others display a tendency of avoiding sticky materials. Therefore therapist should know the relation between the therapeutic factors and art materials of art therapy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children(ASDC) and provide appropriate materials for the purpose. These efforts can help ASDC's development conditions and then, this is a good way for ASDC to apply to everyday life. Although this research has considered the relation between the therapeutic factors and art materials of art therapy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children(ASDC), there are some limitations. It is hard to consider the therapeutic factors like each therapist's characters, each ASDC's characters, the conditions of places. But they are very core factors that lead to the successful therapy. In addition, It is true that this study has depended on each researcher's record. Therefore there is a gap between that record and the real situations. For the limitations, follow-up studies will be needed to consider other key factors of art therapy including the art materials and the efficient way to reduce a gap between that record and the real situations like looking into the record of ASDC's parents, teachers or friends. If that studies are followed, the art therapy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children(ASDC) can help that lovely children on the right trac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Ⅱ. 이론적 고찰 7 A.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7 1.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정의 및 진단기준 7 2.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원인 및 유병률 11 3.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특성 13 4.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치료 22 B.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미술치료 25 1.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미술치료의 특징 25 2.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 27 3.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미술치료의 매체 32 Ⅲ. 연구방법 40 A.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 41 B. 자료 분석 42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5 A.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대상 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 분석 45 1.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 측면의 치료적 요인 46 2. 정서적 측면의 치료적 요인 48 3. 인지 행동적 측면의 치료적 요인 51 4. 신체 감각 운동 발달적측면의 치료적 요인 53 B.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대상 미술치료의 매체 활용 분석 55 C.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대상 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 별 매체 활용 분석 65 1.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의 측면 65 2. 정서적 측면 69 3. 인지 행동적 측면 73 4. 신체 감각 운동 발달적 측면 75 Ⅴ. 결론 및 논의 77 참고문헌 85 부록. 연구대상 학위논문의 매체 활용 90 ABSTRACT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256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미술치료의치료적 요인 별 매체 활용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nside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therapeutic factors and art materials of art therapy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children-
dc.creator.othernameBae, Da Jeong-
dc.format.pagevi,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