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96 Download: 0

부모의 이혼과정에 있는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자아개념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Title
부모의 이혼과정에 있는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자아개념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Other Titles
A single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a child who has ex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and Self-concept in the process of divorce of parents.
Authors
김주혜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부모의 이혼과정은 아동에게 정서적, 환경적으로 큰 변화이며,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을 초래하는 위험요인이다. 부모의 이혼과정에서 외현화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은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양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심리치료 개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부모의 이혼과정에 있는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자아개념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는지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부모의 이혼과정에서 실시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로써 미술치료의 기초적인 임상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모의 이혼과정을 겪는 초등학교 3학년 남학생으로 외현화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이다. 본 연구는 2015년 12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주 1~2회, 60분씩 실시하였고, 총 20회기 진행한 개인 미술치료 단일사례이다.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감과 자아개념의 향상을 위해, 미술치료의 초기(1~4회기)에는 아동과 연구자의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매체 탐색을 통해 자유로운 자기표현의 기회를 제공하고, 중기(5~16회기)에는 아동의 욕구나 감정을 표출하고 정서 수용 및 지지를 통해 안정감을 형성하며 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지하여 자아 발달을 촉진하고, 후기(17~20회기)에는 내적 자원을 강화하여 긍정적인 자아를 형성하고 재경험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검사 도구는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 Korea-Child Behavior Checklist) 교사용(TRF: Teacher Report Form)을 실시하여 공격행동과 주의집중문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였고, 투사 그림검사인 집-나무-사람(HTP: House-Tree-Person) 검사와 새둥지화(BND: Birds Nest Drawing) 검사를 토대로 미술치료 실시 전후의 사전ㆍ사후 검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일상생활과 대인관계 측면의 내용은 아동의 학교 생활통지표와 주 양육자인 아버지와 아동복지센터 담당교사의 소견을 참고해 보충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K-CBCL, TRF)의 사전ㆍ사후 결과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외현화 문제행동의 T점수가 임상범위에서 정상범위로 감소하였다. 또한 소척도인 공격행동, 주의집중문제, 규칙위반의 T점수가 모두 감소하였다. 둘째, 아동이 직접 보고한 투사 그림검사를 활용한 결과 집-나무-사람(HTP), 새둥지화(BND) 검사의 사전ㆍ사후 결과 비교에서도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사전 검사에 비해 공격성이 감소되었고, 현실적인 인지와 긍정적인 미래상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안정적으로 표현하였다. 셋째, 회기의 질적 분석 결과에서 후반으로 갈수록 아동의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부모의 이혼과정에서 미술치료의 개입은 아동의 긍정적 자아개념을 촉진하여 아동이 부모의 이혼을 경험할 때에 가질 수 있는 불안과 혼란을 감소시켰고 적응력을 높였다. 따라서 부모의 이혼과정에서 실시된 미술치료가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을 경감시키고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 변화를 초래한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부모의 이혼과정이라는 불안정한 상황에 있는 아동에게 미술치료는 욕구나 감정 표출을 통해 부정적인 정서를 일부 해소시켜 외현화 문제행동을 경감시켰고, 아동의 혼란스러운 기간 동안 옆에서 지지해 줄 대상을 제공함으로써 안정감과 긍정적인 관계를 경험하게 하였고, 긍정적으로 자아를 인식하고 재경험하게 하여 혼란스러운 자아개념을 안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긍정적 자아개념을 향상시켰다. 아동의 견고하고 긍정적인 자아개념은 부모의 이혼 후에도 아동이 세상을 긍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게 하는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부모의 이혼과정에서 실시된 미술치료가 아동의 외현화 문제행동 경감과 긍정적 자아개념 향상을 보여 준 단일사례연구로써 기초적인 임상자료를 제공하여 미술치료의 발전에 기여한 것에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앞으로 부모의 이혼과정에서 외현화 문제행동과 낮은 자아개념을 보이는 아동에게 미술치료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근거로 본 연구가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clinical data of the art therapy considering the changes of externalized behavioral problem and self-concept of children whose parents are in the process of divorce. In this study, a third-year student in elementary school who has externalized behavioral problem and whose parents are in the process of divorce participated in a 20-sessions art therapy program. The program was focused on expression of his own desire and emotion to build a positive self-concept. Korea-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was used for analyzing aggressive behavior and attention problem objectively and House-Tree-Person(HTP), Birds Nest Drawing(BND), as the projective drawing test, was use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pre- and post-test. Qualitative analysis of all sessions was also implemented. The study showed three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test of K-CBCL. T-score of external behavior problems decreased.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test of HTP and BND. The subject displayed decreased aggressiveness, ability to express positive future vision, stable expression of the surroundings. Third, a positive change in the self-concept of the subject was verified in the result of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sessions. In conclusion, art therapy for a child whose parents are in the process of divorce lets the child express negative emotion and decreases anxiety or confusion and promotes adaptability, which leads the alleviation of externalized behavioral problem and improvement of self-concep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