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2 Download: 0

조손가정 아동의 개인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Title
조손가정 아동의 개인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Other Titles
A Single Case Study of Individual Art Therapy for Child in Grandparent-headed Families
Authors
김윤경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하연
Abstract
A high proportion of children in grandparent-headed families are hindered in healthy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experience various maladjustment due to their special environments. As it concerns to cause more diversified maladjustments when they grow up to the next level, the intervention through effective program is certainly necessary. Considering that Art therapy gives posi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 of children in grandparent-headed families,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how Art therapy affects to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grandparent-headed families who have experienced emotional maladjustments. This study targeted a nine-year-old child raised by grandparent and implemented Art therapy over a total of 18 sessions using pre and post test tools of self esteem inventory(SEI) and H.T.P drawing test created. Also, it is observed and evaluated how Art therapy program affected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 happened to the chil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ingl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rt therapy relieved the emotional withdrawal of the child and change the child to be active and self-initiated. In the initial stage of Art therapy, it was observed that the child was reluctant and intimidated, which improved gradually getting into the middle of program and it was found out that her expression in art activity had changed to independent, bold and positive direction. In addition, the affection about her work and confidence of activity were increased. Secondly, her repressed emotion and avoidant behavior were reduced throughout Art therapy and her expressiveness was also improved. At the early stage of Art therapy, it was constantly observed that the child evaded a parting scene and didn't express emotion in particular, whereas her emotional expression on likes and dislikes was increased as going into the middle of stage and the discrepancy in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expressions was decreased at the final stage, which resulted in consistency at H.T.P post-test. According to H.T.P, it appeared that the child tried to avoid her family condition in pre-test but expressed her emotion more realistically and future-orientedly in post-test. Thirdly, Art therapy gave a positive effects on self-conception and self-esteem, which made the child enhancing her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 Initially, it was observed that the child had lower self-esteem at home and school and focused on the appraisal of people around rather than self-satisfaction with the fear of eyes around. But the child became independent and self-confident in the middle of program and it was significantly reduced to rely on the researcher while session and self-esteem was to be more positive. The positive change of self-esteem was meaningful result in SEI and H.T.P test examined at pre and post test of Art therapy. In comprehensive conclusion, it is discovered that Art therapy could relieve emotional maladjustments such as emotional withdrawal, suppressed feeling, avoidant behavior, and low self-esteem, and give positi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child improving 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조손가정의 아동들은 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건강한 심리적 발달을 저해 받고 다양한 부적응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다음 단계로의 성장 과정에서 더욱 확대된 부적응의 문제로 나타날 우려를 안고 있어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통한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미술치료가 조손가정 아동의 심리·정서적 문제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기능할 것이라 기대하고, 정서적 부적응을 겪고 있는 조손가정의 아동에게 개인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이러한 개입이 조손가정 아동의 심리·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만 9세의 조손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총 18회기에 걸쳐 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 검사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와 H.T.P 그림 투사 검사를 사용하였다. 또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회기별로 질적 분석하여 아동에게 일어난 정서 및 행동 등의 변화를 관찰평가 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를 경험한 조손가정의 아동은 정서적 위축이 완화되어 적극적이고 자기 주도적으로 행동하는 변화를 보였다. 미술치료의 초기에 아동은 소극적이고 위축된 모습을 보였으며, 작품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지만 중기에 접어들면서 보다 주도적인 모습으로 미술활동을 하는 변화를 보였으며 그림 표현이 과감하고 적극적인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미술치료의 후기에는 작품에 대한 애착과 활동에 대한 자신감이 상승하였고 스스로 이에 따른 언어적 표현도 하게 되는 등 점차적으로 정서적 위축이 완화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자는 미술치료를 경험하며 감정을 억압하거나 회피하는 성향이 감소되고 자신의 감정과 느낌, 호불호에 대한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이 증가하였다. 미술치료의 초기에는 아동에게서 이별장면을 회피하는 모습이 꾸준히 관찰되었고 특별한 감정의 표현이 없었던 반면, 중기에 접어들면서 차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시작하였다. 아동은 점차 호불호에 대한 표현이 증가하였으며, 치료의 종결에 이르러 스스로 자신의 발전에 대해 언급하는 등 성숙한 자세로의 변화와 자신의 느낌과 감정에 대해 자발적으로 표현하고, 상대방에게 그것을 전달하려는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인 조손가정 아동은 미술치료를 통해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고, 대인관계 능력이 향상되었다. 미술치료의 초기에 아동은 가정과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이 낮았으며, 본인의 만족도보다 주변의 평가에 두는 비중이 높았고 주변의 시선에 대한 두려움을 가진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미술치료가 진행되어 아동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자기표현이 증가되고 자아개념, 자아존중감이 긍정적으로 향상되면서 교우관계에도 변화를 가져와 초기에는 수동적이고 소극적으로 관찰되던 모습이 후기에 이르러서는 다소 완화되어 나타났다. 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변화는 미술치료의 사전, 사후에 실시된 자아존중감 척도 검사 결과에서도 나타났으며, H.T.P 검사 결과에서는 자아존중감과 더불어 아동의 자아개념 또한 향상되었음을 확인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미술치료가 조손가정 아동의 감정의 억압과 회피, 정서적 위축, 낮은 자존감 등의 정서적 부적응을 완화시키고 대인관계를 향상시켜 아동의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