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민-
dc.contributor.author최은정-
dc.creator최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9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2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936-
dc.description.abstract이러닝의 활성화에 따라 도입된 교원원격연수는 2000년 12월에 도입된 이후로 집합연수와 함께 교원연수의 중심이 되어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기존의 집합 연수에 비해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는 원격연수는 편의성과 효율성, 효과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음으로써 교사들의 원격연수에 대한 참여가 확산되고 있다. 교원원격연수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육인적자원부의 지정, 인가를 받은 원격연수기관에서 다양한 연수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교원원격연수는 교사들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전문성 신장을 목적으로 운영되었던 취지와는 달리, 교원연수이수실적학점제도의 연수점수 획득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어, 승진점수 관리를 위한 수강 남용, 연수 점수를 채우기 위한 수동적 참여, 승진을 위한 교사들의 경쟁 유발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처럼 교원연수는 교사들의 관심과 기대와 더불어 문제점이 제기됨에 따라 교원원격연수의 효과나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교사는 교과지도, 생활지도, 보직업무, 승진 등 학습에 전념하기 어려운 근무환경이나 학습환경을 갖고 있으며, 교직경력, 교과별, 근무학교 및 학급별 차이, 연수참여 경험이나 동기 등 교사의 개별적이고 상황적인 특성면에서 일반 학습자와 많은 차이가 있다. 이처럼 일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의 특수성을 고려한 연구는 미흡하다. 학교라는 특수한 상황과 환경에서 교사가 갖게 되는 신념이 바로 교사효능감이다. 교사효능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교사효능감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에서 학교지원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학교지원과 교사효능감, 교육성과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학교지원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학교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이에 본 연구는 교원원격연수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육성과 관계에서 학교지원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원격연수에서 교사효능감이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및 전이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또한, 교원원격연수에서 교사효능감과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전이동기 간 관계에 있어, 학교지원(학교장지원, 동료지원)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교원원격연수에서 교사효능감은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전이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교원원격연수에서 학교지원(학교장지원, 동료지원)은 교사효능감과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전이동기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독립변인으로 교사효능감, 조절변인으로 학교지원(학교장지원, 동료지원)을 설정하였고, 종속변인으로는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전이동기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T 원격교육연수원에서 2015년 12월 해당 연수과정을 받은 30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215부의 응답 중 불성실한 응답자 5부를 제외한 총 210부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통계적 자료 분석을 위해 유의수준 .05에서 기술통계 분석과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효능감은 학습만족도와 전이동기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가 학습만족도와 전이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교사효능감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교원원격연수 프로그램의 평가기준은 출석, 온라인 시험, 온라인과제, 참여(진도)로 측정되는데, 총점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학습진도 80% 이상일 때 ‘수료’가 되므로, 교사효능감의 영향보다는 수료기준에 맞춰 성취도를 취득한 결과라고 볼 수 있으며, 연수 받을 당시 학기말 과중한 업무로 인해 학습시간이 부족하고 과다한 학습량으로 인해 학습효과를 저하시킨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육성과를 높여 교원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연수시기를 고려하고, 교사들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연수에 참여하여 교육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효능감과 전이동기 간의 관계에서 학교지원(학교장지원, 동료지원)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지원은 교사의 학습 의욕을 높이고 전이동기를 상승시켜 결과적으로 학습의 전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교사효능감과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학교지원(학교장지원, 동료지원)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부 지원과 상관없이 학습자 개인의 학습역량에 기인한 것으로 변수들 간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음을 뒷받침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지원은 교사효능감과 전이동기에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나, 학습만족도는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수의 연구대상을 분석했을 때에도 동일한 결과가 나오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고, 교사효능감을 높여 학교현장에 학습전이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학교로부터 적극적으로 지원받고 있다는 인식을 갖도록 다양한 방안들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교원원격연수 환경에서 교사효능감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학교지원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 각각의 변인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교원원격연수의 발전 방향과 효과를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과 이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변인 통제를 위해 하나의 특정 연수기관에서 특정 연수 프로그램을 수강한 학습자 300명 중에서 210명의 설문 응답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다. 따라서 연수 교과 영역별로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을 수강한 다수의 학습자로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본 연구모형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교원원격연수의 효과를 교사효능감과 학교지원(학교장지원, 동료지원) 측면에서 교육성과 변인들을 모두 동일한 시점에서 한 번에 측정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전이동기 뿐만 아니라, 학습전이 측면에서 시기별로 세분화하여 여러 단계에 거쳐 다양한 시점에서의 측정이 요구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 교사효능감, 학교지원(학교장지원, 동료지원),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전이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측정 도구들은 모두 연구대상자들이 자기보고 방식(self-report)으로 설문지에 응답한 자료로써, 연구대상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다보니 측정값을 왜곡하거나 단순화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양적인 측정방법 보다는 관찰이나 인터뷰, 학교장이나 동료의 다면평가 등 질적인 다양한 측정방법을 통해 다각도적인 측면에서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육성과 변수로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및 전이동기를 선정하였으나, 교육성과 변수에는 학습에 대한 태도, 몰입, 참여, 학습지속의향, 수업전문성 등 다양한 세부변인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교육성과 변수를 선정하여 향후 그에 따른 세분화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The On-line teacher training was introduced last December 2000 as the e-learning was activated. It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with group training as the center of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program was positively evaluated in terms of convenience, efficiency and effects since it does not have spatial and time limits compared to group training. The demand for on-line teacher has increased. So, there are various programs for training developed and operated at on-line training institutes designed and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uman Resources. The development for increase the expertise of teachers was aim. It was planned to operate in order to increase teachers’ expertise when it comes to teaching on-line based on their active participation for this program. With this, it could be a tool for teachers to obtain some credits, records, achievements and it is an edge towards a positive feedback for their scholastic records. It is also a big help for them to aim a higher position. Some teachers have difficulty working and learning new environments to concentrate on teaching, guidance, administrative affairs and promotion and etc. There are many differences compared to ordinary learners in terms of teaching career, teaching subject, school, class,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training and motivation, etc. Despite tha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apply researches directly to the general learners,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es consider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eaching efficacy is the faith that teachers come to have under the special circumstance and environment of schools. As the interest in teaching efficacy is increased,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conducted.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es on institutional support, teaching 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etc. despite the factors acting as the biggest impact on educational achievement among school support. Looking into the relation of teaching efficacy in accordance with institutional support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of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school education. Theref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institu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ing 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in terms of on-line teacher train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if the teacher 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s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ation transfer etc. in online teacher training. And al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institutional support, support of the school principal, Support of co-worker in terms of relation among teacher efficacy,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ation transfer etc. in online teacher training. The subjects of research are as stated below. Research subject 1. Does teacher efficacy influence significantly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achievement and motivation transfer in distance teacher training? Research subject 2. Does institutional support (support of principal, support of co-worker) online teacher training has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among teaching efficacy,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ation to transfer?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subjects, independent variable such as teaching efficacy and moderating variables such as institutional support, support of principal, support of co-workers were established. Dependent variables such as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ation to transfer were established. In this research, questionnaire survey against 300 teachers who received applicable training on December 2015 at T distance training institute was conducted. Among 215 answers, 210 answers were used except for 5 faithless answers. For the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in the significance level .05.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stated below. First, it was suggested that teaching efficacy influenced significantly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motivation to transfer. It was checked that the teacher with high teaching 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motivation to transfer. On the other hand, teaching efficacy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The evaluation standard of online teacher training is measured by attendance, on-line test, on-line subject, participation (progress). ‘Completion’ is given when the trainee gets more than 60 points out of 100 and progress rate is more than 80%. This is the result of obtaining an achie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completion standards rather than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and the learning effects was lowered because of insufficient learning hours and excessive amount of learning due to the heavy works at the end of the semester when receiving training. Therefore, training period should be considered and plans to increase teaching efficacy should be reviewed so that the education achievements can be improved by teachers’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to improve the expertise of teachers.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the institutional support (support of principal, support of co-worker)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teaching efficacy and motivation to transfer. It was checked that the institutional support worked as a positive factor in the transfer of learning conclusively by increasing learning desire and motivation to transfer. On the other hand, it was suggested tha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shown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ing effic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erms of institutional support, support of principal, support of co-worker. This is the result that it was made by the learning capacity of each learner.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eck if the same results are obtained when analyzing on many numbers of research objects because learning satisfaction was not appearing to have a moderating effect, although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teacher efficacy and motivation to transfer and various plans should be prepared to make teachers receive active supports from schools so that learning transfer can be effectively made in the field of school by increasing the teaching 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s tha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effects of on-line teacher training was verified by checking the relations of variables if the institution support has moderating effect, analyzing the comprehensive effects of teaching efficacy to the teaching achievement under the environment of on-line teacher training. The limits and suggestions of which this research is as stated below. First, there is a limit in generalization because the research result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data of 210 learners’ answers among the 300 learners who received the training program at a certain training institute to control the variab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eck this research model by expanding the research objects into to the number of learners who received various training programs per area of training subject. Second, this research has a limit because the education characters and variables were checked at the same moment in terms of teaching efficacy and institution support (support of principal, support of co-workers) to check the effects of on-line teacher training. It is required to measure at various moments not only at the motivation to transfer, but also at the various moments by segmenting per period. Third, in this research, the measurement tools used to check the institution support (support of principal, support of co-worker),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achievement and motivation to transfer are the materials with self – report made by research objects. These were very subjective, so the measure values could be distorted and simplifi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the research more deeply by securing objectivity in terms of various aspects such as qualitative measurement method, observation, interview and multi-source evaluation etc. rather than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method etc. Forth, this research has established the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achievement and motivation to transfer of learning achievement and variables that can influence on the teaching efficacy. However, there are various detailed variables such as the attitude toward the learning, immersion, participation,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and expertise of class, et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specified research by establishing various learning achievements and variab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정의 5 1. 교원원격연수 5 2. 교사효능감 6 3. 학교지원 6 4. 학습만족도 7 5. 학업성취도 7 6. 전이동기 8 Ⅱ. 이론적 배경 9 A. 교원원격연수 8 B. 교사효능감 12 C. 학교지원 18 D. 학습만족도 22 E. 학업성취도 22 F. 전이동기 23 G. 관련 선행연구 24 1. 교사효능감과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24 2. 교사효능감과 전이동기에 관한 연구 26 3. 학교지원과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27 4. 학교지원과 전이동기에 관한 연구 28 H. 연구모형과 가설 31 Ⅲ. 연구방법 33 A. 연구대상 33 B. 측정도구 35 1. 교사효능감 36 2. 학교지원 37 3. 학습만족도 37 4. 학업성취도 37 5. 전이동기 38 C. 연구절차 38 1. 선행연구 분석 38 2. 설문조사 실시 38 3. 결과분석 39 D. 자료 분석 방법 39 Ⅳ. 연구결과 41 A. 기술통계 41 B. 상관분석 42 C. 회귀분석 44 1. 교사효능감과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전이동기의 관계 검증 44 2. 교사효능감과 학습만족도 관계에서 학교장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46 3. 교사효능감과 학습만족도 관계에서 동료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47 4. 교사효능감과 전이동기 관계에서 학교장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49 5. 교사효능감과 전이동기 관계에서 동료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50 Ⅴ. 결론 및 제언 53 A. 결론 및 논의 53 B. 제한점 및 제언 56 참고문헌 59 부록1. 설문지 68 ABSTRACT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77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교원원격연수에서 교사효능감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학교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eaching efficacy to the learning achievements in on-line teacher training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stitutional support.-
dc.creator.othernameChoi, Eun Jeong-
dc.format.pageix, 81 p.-
dc.contributor.examiner정재삼-
dc.contributor.examiner조일현-
dc.contributor.examiner이정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