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혜-
dc.contributor.author강소라-
dc.creator강소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68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1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6845-
dc.description.abstract자연을 소재로 한 예술은 고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계속 이어져 왔다. 동양에서는 자연과 인간과의 조화를 강조하였고 서양에서는 근대사회의 반성으로 자연미를 탐구하였다. 21세기 과학과 더불어 발전한 산업사회와 현대문명은 반대로 현대인들에게‘자연에로의 회기’를 꿈꾸게 한다. 다시 말하면 자연에 대해 향수를 느끼고 자연적인 것에 관심을 가지고 동경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자연에 대한 관심은 디자인분야에서 자연물 그대로를 소재로 응용한 작품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연석을 활용한 제주 돌담의 형태와 질감에서 오는 조형성을 현대 패션디자인에 응용하고자 한다. 제주 자연석 돌담은 인공물임에도 불구하고 자연미를 풍긴다.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자연석들을 쌓아 올린 돌담은 담을 구성하고 있는 담석의 형태에 따라 둥근 형태에서는 부드러움을, 각진 형태에서는 밀도감과 견고함을, 부정 형태에서는 변화와 긴장감을 준다. 돌담은 담석과 담석의 높이차에 의한 울퉁불퉁한 질감을 갖는다. 또한 축조 방식이나 담석에 형태에 따라 담석간의 틈이 생기는데 그 틈이 클 경우에는 면적인 형태로, 작을 경우에는 선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담석의 입체 형태와 틈에서 보여지는 빈공간과의 조화를 통해 공간적인 깊이감을 보여주고 있다. 제주를 대표하는 석재인 현무암은 다공질 암석으로, 거친 질감을 가지고 있는데 본 작품에서는 이러한 돌담의 조형성을 관찰하여 그 형태와 질감을 의상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발포물감의 경우 페인팅 된 물감의 두께에 따라, 발포 시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발포 부피와 색상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를 통해 현무암의 다공질 표현에 의한 거친 질감의 회화적이고 입체감 있는 표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주 돌담의 형태와 담석의 재질감을 발포핸드페인팅 기법을 활용하여 표현함으로써 패션디자인의 표현 영역을 확대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의 돌담을 구분하는 기준을 축조양식, 쌓여있는 장소, 풍토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문헌 자료와 선행연구, 현장답사를 통해 각 기준에 따른 조형적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인터넷 서핑과 문헌을 통하여 돌담의 이미지를 응용한 디자인사례를 살펴보고 돌담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응용된 기법인 발포핸드페인팅 기법의 개념과 특징을 알아보며 발포물감이 활용된 디자인사례와 핸드페인팅이 활용된 현대 패션의 사례들을 살펴본다. 이를 토대로 제주 돌담의 모티프를 재해석한 본 연구자의 디자인과 발포핸드페인팅 기법을 결합하여, 자연석으로 이루어진 제주 돌담의 형태와 질감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고자 한다. 작품은 총 6점으로 구성하였으며 베스트1점, 코트2점, 원피스3점, 바지1점, 재킷1점으로 8점의 작품을 제작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 자연석 돌담을 이루고 있는 둥근 형태, 각진 형태, 부정 형태의 다양한 담석의 자연미와 축조방식에 따라 나타나는 담석 간의 공간감, 양감, 깊이감 등의 조형적 특징을 활용하여 패션디자인에 응용한 결과 담석의 단위모티프 재구성에 의한 다양한 디자인을 창출해 낼 수 있었다. 둘째, 작품의 색채에 있어서는 블랙, 브라운, 그린 색 물감을 이용하여 그레이 계열, 브라운계열, 그린계열의 색채를 표현 하였는데 발포물감은 발포시의 온도가 높거나 습도가 높을수록 발포 시의 색상이 본래의 물감 색상 보다 밝아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발포 방법을 달리하여 명함차이에 의한 자연스러운 톤 변화와 핸드페인팅 붓터치 기법에 의해 여러 색감을 덧칠함 으로써 색채를 복합적으로 표현 할 수 있었다. 셋째, 작품의 표현기법에 있어서 발포핸드페인팅을 활용하여 다공질 표면의 요철이 심하고 거친 제주 담석의 질감을 표현할 수 있었다. 넷째, 발포핸드페인팅에 네오프렌 원단과 버블오간자 원단을 사용한 결과 버블 오간자는 발포과정에서 요철감이 강해지면서 담석의 다공질 표면과 같은 거친 질감이 강화되었고 네오프렌 원단은 스폰지를 사이에 두고 합포 된 져지 원단의 특성에 따라, 발포 된 부분의 발포 정도에 따라 입체감이 같이 형성되어 자연스러운 양감을 표현하는데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제주 돌담에 나타난 조형적 이미지를 분석하고 패션에 응용함으로써 독창적인 의상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무겁고 거칠게만 느껴지는 제주 돌담의 이미지를 패션에 반영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하고 발포핸드페인팅을 통해 그 형태와 질감을 표현한 의상제작에 의의를 둔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제주 돌담 이미지를 패션에 표현하는 시도가 앞으로 꾸준히 지속된다면 제주 돌담 이미지를 모티프로 하는 제주도의 대표 토속문화상품으로서 제주문화상품개발에 기여할 수 있으며 한국의 정서를 표현하는 고부가가치 의상으로서의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Art that used nature as its material has been continued from ancient times until today. The East emphasized the harmony of nature and humans and the West explored the beauty of nature as self-reflection of modern society. The industrial society and modern civilization that developed with science of the 21st century make modern people dream of ‘return to nature’. That is, people feel nostalgic about nature, are interested in nature, and long for it. This kind of interest in nature is shown in the works of design sector that use natural objects as they ar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apply to modern fashion design the formativeness that comes from the shape and texture of Jeju stone walls made of natural stone. Jeju natural stone walls are artifacts but they have natural beauty. The stone walls made of natural stones that were collected from the nearby area create different feeling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stones—round stones give softness, angular ones create density and firmness, and indeterminate forms create change and tension. Stone walls make uneven surface due to different stone sizes. Stone walls have gaps between stones depending on the style of building them or their shape, and when the gaps are big, they show up as surface and when they are small, they appear as lines. The harmony with the three dimensional shape of the stone walls and the empty space shown in the gaps creates feeling of depth in the space. Basalt, the representative stone of Jeju, is porous stone and has rough textu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ormativeness of stone walls made of basalt and express such shape and texture in clothing. puff ink paint expresses different size and color of foam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used paint, temperature and humidity at the time of intumescence. This makes it possible to make pictorial and three-dimensional expressions like the porous surface of basalt. This study aims to express the shape and texture of Jeju stone walls using puff ink hand painting and expanding the scope of expressions in fashion design. The contents and method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riteria to classify Jeju stone walls are set as the style of building, the place of the walls, and endemicity, and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previous studies, and field studies, the formative features of each criterion are examined. Second, through internet surfing and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reviews the design cases that applied stone wall images, examin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uff ink hand painting, which is an applied method to use the image of stone walls, and finds out the design cases that used puff ink paint and the cases of contemporary fashion that utilized hand painting. Based on this, by combining the design of the researcher that reinterpreted the motif of Jeju stone walls and hand painting, it tries to effectively express the shape and texture of Jeju stone walls made of natural stones. 6 types of items, 8 items in total, were made including 1 vest, 2 coats, 3 dresses, 1 pair of pants, and 1 jacke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pplying to fashion design the formative features such as sense of space between stones, sense of volume, and sense of depth that are expr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arious natural beauty of different stones such as round, angular, and indeterminate forms, and on the style of building, various designs could be made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unit motif of stones. Second, as for the color of the items, black, brown, green paints were used and grey, brown, green tones were expressed. The color of puff ink paint gets brighter than its original color when the temperature or humidity at the time of foaming go higher. So using different foaming methods in different parts, inducing natural changes coming from different lightness, reapplying various colors using hand painting strokes, complex colors could be expressed. Third, as for the method of expression, puff ink hand painting was used and could express the uneven and rough texture of the porous stone surface of Jeju stone walls. Fourth, as a result of using neoprene and bubble organza fabric for puff ink hand painting, bubble organza fabric emphasized the uneven feeling in the process of foaming and intensified the rough feeling of the porous surface of stone walls. Neoprene fabric created the sense of volume depending on the feature of jersey fabric that was made with sponge in between and on the level of intumescence, which an appropriate effect to express natural volume.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ve images expressed in Jeju stone walls, applied them to fashion, and tried to make creative clothing. It is significant that it found the possibility to reflect the image of Jeju stone walls, which feels heavy and rough, to fashion, and that it tried to use puff ink hand painting to create certain shape and texture to make clothing. Moreover, if the efforts to apply the image of Jeju stone walls to fashion continue, it will contribute to develop local cultural products that represent Jeju with the motif of Jeju stone walls and the produced clothing will have competitiveness as high value-added produc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 1 Ⅱ. 이론적 배경 3 A. 제주 돌담의 일반적 고찰 3 1. 제주 돌담의 유래 3 2. 제주 돌담의 종류 및 특징 5 3. 제주 돌담의 조형적 특성 14 4. 돌담 이미지를 응용한 디자인사례 23 B. 발포핸드페인팅 기법과 패션디자인 31 1. 발포핸드페인팅의 개념 및 특징 31 2. 발포물감을 활용한 디자인 사례 32 Ⅲ. 작품제작 36 A. 작품제작 의도 36 B. 작품제작 방법 37 C. 작품 제작 및 해설 43 Ⅳ. 결론 및 제언 92 참고문헌 94 ABSTRACT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7147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제주 자연석 돌담의 조형성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발포핸드페인팅 기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ying the Formativeness of the Natural Stone Walls of Jeju : focusing on the technique of puff ink hand painting-
dc.creator.othernamekang so ra-
dc.format.pageix, 99 p.-
dc.contributor.examiner김혜연-
dc.contributor.examiner박선희-
dc.contributor.examiner이영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패션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