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8 Download: 0

부적응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자아정체감을 위한 사례연구

Title
부적응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자아정체감을 위한 사례연구
Other Titles
A Single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Self-expression and Ego-identity of Adolescent with Maladjusted Behavior
Authors
임혜순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sychological support for adolescents through individual art therapy with being capable of self-expression of great depth and obtaining subjectivity in consideration with adolescen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emotional sensitivity and peculiarity, qualitative depth of self-expression expedited by therapy alliance with therapists, special situations depending on various types of maladjusted behaviors, etc.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individual art therapy for adolescents with maladjusted behaviors and had them express themselves in a healthy and safe way in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rapists. This study purposed to help adolescents positively understand themselves, to contrive positive influence on self-exploration and social interaction for developing adolescent ego-identity, and further to explore the effects upon maladjusted behavi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 year old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showing maladjusted behaviors, and this study was a single case study on art therapy performed 16 sessions in total for 90 minutes per session per week between January 7th and April 28th 2016, exclusive of pre-test, post-test and post-meetings. To observe the subjects’ self-expressions, this study employed records of every session and copied transcripts, researcher’s observation diary, art work and work pictures, interviews with guardians, interviews with center teachers, and video clip materials, etc., and to measure changes of pre and post tests, this study performed CBCL 6-18 and Korea-type ego-identity test and analyzed changes of liberalization expressions. In the analysis per session and art therapy process, this study observed, evaluated and analyzed formal aspects of art expressions, aspects of contents, and changes of self-expressions appearing in language and behavior in the art proces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adolescent art therapy process showing maladjusted behaviors, changes of self-expressions were found to be observed. In aspects of language and behavior among formal aspects of art expressions, content aspects of art expressions, and art process, it was found that self-expression cooperation was increased, and that though this, increase of interaction was meaningful. This suggests that art therapy affected adolescents’ self-expressions showing maladjusted behaviors. Second, art therapy was found to positively affect ego-identity of adolescents with maladjusted behaviors.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had subjectivity in the art therapy process and showed positive and active interactions while positively experiencing acceptance and support, and accomplishment through art therapy. Changes of positive self-expressions were observed and through this, there was a significant result in pre and post tests of Korea-type ego-identity test. This suggests that it was meaningful in that art therapy affected improvement of subjects’ ego-identities. Third, through art therap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adolescents’ maladjusted behavio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sult in the pre and post tests of CBCL 6-18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at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result in issues of obsessions and post traumatic stresses as well a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Through reports of parents and center personnel in charge, and the researcher’s observation, it was found that art therapy positively affected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of adolescents with maladjusted behaviors.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show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was a single case study verifying the results by performing art therapy for a short-term period as for the effects upon improvement of ego-identity, change of self-expression, and maladjusted behaviors. However, the period of this research was too short to observe change degrees of subjects’self-expressions and to constantly keep and develop changes in maladjusted behaviors, and this study had variables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us, through art therapy, to continue to keep the meaning of positive effects, succeeding researches required to verify the effects for a long-term period on the identical subjects by performing art therapy program in the future. Secondly,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as a single case study should have limitations in that the process and effects of art therapy may be generalized on the subjects of adolescents with maladjusted behaviors that appear with various reasons and symptoms. It is necessary to do the research in depth on adolescent’s essential anxiety and reasons of their maladjusted behaviors, and parents’raising attitudes and living environments. Based on the results and suggest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material to those researchers who try to cope with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adolescents with maladjusted behaviors to be utilized as an art therapy program of psychological support in assistance of adolescents’safe performances.;본 연구는 부적응 청소년에게 개인미술치료를 실시하여 깊고 의미 있는 자기표현과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자기탐색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 영향을 도모하고자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변화가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15세 여중생이며, 2016년 1월 7일부터 2016년 4월 28일까지 주 1회 90분씩, 사전·사후 검사와 사후만남을 제외하고 총 16회기로 진행된 미술치료 단일사례이다. 연구대상자의 자기표현을 관찰하기 위해 매 회기 녹음 및 전사한 축어록, 연구자의 관찰일지, 미술작업 및 작품 사진, 보호자와의 면담, 센터교사와의 면담, 동영상 녹화자료를 사용하였다. 사전·사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부모용(CBCL 6-18)과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를 실시하고, 자유화 표현의 변화를 분석을 하였다. 회기별 분석과 미술치료과정에서 미술표현 형식적 측면, 내용적 측면, 미술치료에서의 언어 및 행동에서 보여지는 변화를 관찰 및 평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응 청소년의 자기표현에 중점을 둔 미술치료 과정에서 미술표현 형식적 측면, 내용적 측면 그리고 언어 및 행동에서 긍정적인 자기표현의 변화를 보였다. 심리적 이완과 연구자와의 관계형성 및 신뢰감을 바탕으로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연구대상자는 초기의 형식적이고 피상적인 자기표현에서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자기표현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술치료 과정에서 경험과 감정, 정서표현이 증진되면서 초기에 관찰되었던 퇴행된 발단단계의 행동과 자기표현, 우회적이고 반복적인 욕구 호소가 감소하였다. 부정적 감정, 부적응 행동과 관련된 주제의 회피, 수동공격적 행동과 같은 방어적인 태도가 완화되었으며, 강박행동과 신체화증상이 개선되는 변화가 있었다. 흐름에 맞지 않는 산발적이고 광범위한 주제에서 대화와 일관성있는 주제와 자기와 자신의 주변환경, 자신의 사회적 관계로 주제가 통합되었다. 표현형식적 측면에서는 추상적 표현, 은유를 사용하여 대화의 단초로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언어적으로 자기표현을 시도했다는 긍정적인 의미를 지닌다. 미술을 통한 자기표현으로 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 증진에 의미가 있었으며, 이는 미술치료가 부적응행동을 보이는 청소년의 자기표현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자기표현에 중점을 둔 미술치료를 통해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청소년은 연구자와의 안정적인 관계 안에서 성취감과 주도성을 경험하면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하였으며, 자아정체감이 향상되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 사전ㆍ사후결과에서 하위영역 주체성, 자기수용성, 목표지향성, 주도성, 친밀성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비구조적 접근을 지향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연구대상자는 감정이나 사고 등 내면을 안전하게 표출함으로써 감정적 자유, 스트레스 완화와 정서적 안정감을 경험하면서 긍정적 자기이해와 자기탐색이 가능했으며, 이는 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자기표현 중심의 미술치료를 통해 정서적 안정과 더불어 청소년의 강박행동과 성부적응 행동이 완화되는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척도(CBCL 6-18)의 사전ㆍ사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내현화 행동과 외현화 행동을 비롯하여 강박증상, 외상 후 스트레스 문제 등에서도 긍정적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대상자는 초기에 손의 피부, 입술 뜯기와 같은 강박행동과 신체화 증상, 관심을 요구하는 붕대감기와 같은 모습을 보였으나 후기로 갈수록 빈도가 감소했다. 건강한 자기표현이 가능해지면서 적절한 감정과 의사를 건강하게 표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미술치료가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청소년에게 정서적, 행동적 측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미술치료를 과정에서 부적응 청소년의 보다 깊이있고 의미 있는 자기표현 촉진과 원활한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자아정체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결과가 부적응 행동의 완화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는 것에 의의를 갖는다. 또한 본 연구가 청소년 집단 미술치료에서 입증된 효과들과 더불어 개인미술치료 사례연구로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청소년의 심리, 행동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하나의 자료가 되어 안전한 청소년기의 이행을 돕는 심리적 지원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