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이윤지-
dc.creator이윤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4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1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43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최근 새롭게 출간된 한국 문화 교재를 일정한 기준에 맞추어 문화 내용을 살펴보고 그 문화내용을 어떤 방식으로 다루고 있는지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문화 교육 요소들을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교재를 통한 문화 교육의 실제를 파악하고, 문화 교재 개발의 측면에서 장점은 극대화 시키고 문제점을 보완 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을 소개하였다. 2장에서는 문화의 개념을 정립하고 문화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여 한국 문화 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재구성 및 개발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문화 관련 교재 분석 선행연구들을 대학기관 교재 분석과, 문화 전문 교재 분석으로 나누어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분석 기준을 파악하였다. 3장에서는 2012년 이후 출간된 한국 문화 교재를 대상으로 분석 교재를 선정하고 분석의 기준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선정된 교재를 과정중심의 접근으로 전체구성, 단원구성, 본문의 제시 방식, 어휘 제시 방식, 시각자료, 언어 기능별 연계성, 교재의 활동, 문화내용구성 등 총 8개의 측면에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교재의 문화 내용 구성과 관련해서는 국립국어원(2011)의‘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의 분류방식을 따라 유형별․주제별로 분류하고, 강현화(2011)의 기준에 따라 시대별(전통문화, 현대문화)로 문화항목들을 분석 후 각각의 빈도수를 파악한 뒤 상호 비교하였다. 더불어‘표준 모형’의 등급별 항목을 참고하여 저자들이 밝힌 수준과 문화항목간의 적합성 여부를 확인하고, 숙달도가 제시되어 있지 않은 교재의 경우는 문화내용의 전반적인 사항과 특징을 참고하여 교재의 학습 가능한 수준을 예측해보았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한국 문화 교재에서 문화 요소들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정리한 후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더불어 교재 분석을 통해 나타난 장점과 단점을 바탕으로 문화 교재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며 향후 문화 교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연구의 요약과 함께 연구의 제한점을 밝히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마무리 하였다.;This study focused on analysing whether it is dealt with how method after researching the cultural content in accordance with regular standard of Korean cultural textbooks published of late. This study is the purpose for grasping conditions of cultural education as a textbook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such an analysis work on cultural education components and presenting an improvement plan possible to maximize the strength in respect of developing cultural textbook and to solve its problem. The 1st chapter is show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introduced its contents and method. The 2nd chapter is reviewed various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with Korean culture education as establishing a definition of culture and researching the necessity of culture. Also, there were reviewing the direction of study and grasping the standard of analysis as dividing the preceding researches of textbook analysis related with culture into the analysis of university textbook and that of professional textbook. The 3rd chapter is selected an analysis textbooks of Korean culture textbooks published since 2012 and presented the standard and method of analysis. This study is attempted the analysis in respect of 8 items in total such as total composition, unit composition, presentation method of text, presentation method of vocabulary, visual materials, connection by language function, use of textbook and composition of cultural contents. In particular, the composition of cultural contents in the textbook is compared each other as grasping the frequency number respectively after distributing by type and theme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method of 'The standard model of Korean language prevailed over the world' by National Korean Institute(2011) and analysing the cultural items by ages(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culture) according to the standard by Gang Hyun hwa(2011). Further, this study is confirmed the appropriateness between the class found by the authors and the cultural items in the reference of the items by grade of 'standard model' and is presumed the class possible to learn the textbook in the reference of general items and character of cultural contents in the case of the textbook the master degree is not presented. The 4th chapter is presented its analysis results after arranging in detail whether the cultural components in Korean culture textbooks based on the analysis standard in the 3rd chapter is dealt with how method. Moreover, there are suggesting an improvement plan of cultural textbook based on its strength and weakness found through the textbook analysis and presenting a direction of cultural textbook in future. The 5th chapter is showed its limits with summary of study and concluded with a suggestion for subsequent research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B. 논문의 구성 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6 A. 언어와 문화 6 1. 문화의 개념 6 2. 문화의 범주와 내용 8 3. 문화교육의 중요성 13 B. 한국어 교육과 문화교육 15 1. 한국 문화와 언어 문화 15 2. 한국 문화 교육의 목표 17 3. 한국 문화 교육의 관점 21 C.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과 문화 교육 25 D. 선행연구 고찰 28 Ⅲ. 연구 방법 40 A. 대상 교재 40 B. 분석 기준과 방법 43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50 A. 교재 분석의 결과 50 1. 전체구성 50 2. 단원 내 구성 51 3. 본문 제시 방식 55 4. 어휘 제시 방식 57 5. 시각자료 59 6. 언어기능과의 연계 62 7. 교재 내 학습활동 64 8. 교재 내용 분석 71 B. 개선 방안 및 한국 문화 교재의 방향 84 Ⅴ. 결론 95 A. 요약 95 B.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97 참고문헌 100 부록 106 ABSTRACT 1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62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한국 문화 교재의 문화 교육 요소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과정 중심 접근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n Cultural Education Components of Korean Culture textbook : Focused on educational processing-
dc.creator.othernameLee, Youn Ji-
dc.format.pageiii, 147 p.-
dc.contributor.examiner송영빈-
dc.contributor.examiner이미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