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현정-
dc.contributor.author김소영-
dc.creator김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1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1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13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자녀 간 의사소통, 자아탄력성 및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부모와 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갖는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의 초등학생 355명을 대상으로 하여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이 통계방법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부모 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 사이에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초등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부모 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셋째, 초등 고학년 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 간에도 유의한 부적 상관이 보고되었다. 넷째,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은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이 개방적이고 긍정적일수록 스마트폰 중독 위험은 감소하였다. 또한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 위험은 낮아졌다. 다섯째, 초등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가지는 조절효과에 대해 분석한 결과,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에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부모와 자녀 간 의사소통이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에 영향을 주며, 자아탄력성에 따라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에 대한 조절변인을 확인함으로써 자아탄력성이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을 조절할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부모 측면과 자녀 측면에서의 상담적 개입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고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smart-phone addiction risk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risk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355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5 and 6 grade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y completed questionnaire survey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mart-phone addiction risk, and resilience. Thes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1.0. Statistical method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calculated frequencies and percentages to understand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bjects. Second, we also use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mart-phone addiction risk with resilience. Third, we identified the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resilience to smart-phone addiction risk through hierarchical analysis. Fourth, we used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to prove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dolescent 66 communica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risk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ults revealed tha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resilie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mart-phone addiction risk.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resilie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smart-phone addiction risk.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risk was moderated by resilience. Not only the relationship of father adolescent communic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risk but also the relationship of mother adolescent communication with it reported similarly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These research findings supported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to reduce smart-phone addiction risk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 it helped developing resilience training program for promoting their mental health. Utilizing moderating variable such as resilience has clear implications for prevention for vulnerable adolescents for smart-phone addiction risk. The findings also suggest the importance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s a potential target for counseling and intervention.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6 C.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9 A.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 9 1.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 개념 9 2.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녀 발달 10 B.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 12 1. 스마트폰 중독 개념 12 2. 스마트폰 중독 관련 변인 15 C. 자아탄력성 18 1. 자아탄력성의 개념 18 2. 자아탄력성의 역할 및 중요성 20 D.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 자아탄력성의 관계 22 Ⅲ. 연구방법 25 A. 연구 대상 25 B. 측정 도구 27 1.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 척도 27 2.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 척도 28 3. 자아탄력성 척도 29 C.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 31 Ⅳ. 연구결과 32 A. 연구 변인들의 기술통계 32 B. 연구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33 C.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 자아탄력성의 관계 36 D.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의 관계에서 조절변인으로서 자아탄력성의 효과 검증 37 1.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 효과 검증 37 2. 아버지 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 효과 검증 39 3. 어머니 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 효과 검증 40 Ⅴ. 논의 및 결론 42 A. 요약 및 논의 42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6 참고 문헌 50 부 록 59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66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Risk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dc.format.pagev,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