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4 Download: 0

괴롭힘 상황에서 자기주장성과 주변인의 행동유형의 관계

Title
괴롭힘 상황에서 자기주장성과 주변인의 행동유형의 관계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between self-assertiveness and Bystander's Behavioral Reaction in Bullying Situaions
Authors
오승연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일화
Abstract
For young people,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becomes a foundation of healthy growth by giving posi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However, bullying situations in a variety of ranges, such as school violence negatively affect the adaption to school life of young people. Such bullying problems also affect the majority of people who directly and indirectly witness or hear bullying situations as well as their victims and perpetrators. In this regard, the majority of people with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from the bullying problems are called bystanders. Bystanders can take actions of participating in bullying situations, neglecting the scenes, or helping the victims. The behavioral types of bystanders, such as reinforcer, outsider, defenders are highly important since the associated behaviors can prevent or aggravate bullying situ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of bystanders’ behavioral types in bullying situa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self-assertiveness as a personal variable and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as environmental variable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relations among self-assertiveness, bystander’s behavioral types, peer relationships,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econd, do self-assertiveness, peer relationships,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bystander’s behavioral types? Third, do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have mediating effects on self-assertiveness and bystanders’ behavioral typ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a survey was conducted for total 454 male and female students in 4 middle schools located in Chungcheong-do. The survey was comprised of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self-assertiveness scale, bystander’s behavioral type scal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and demographic questions. Afterwards, the research was performed for 293 students who were classified as bystanders. For th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mong each variab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ree-stage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1986) were performed.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fenders showed higher correlations in self-assertiveness,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than outsiders and assistants, which implicated that the variables of self-assertiveness,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can play significant roles in bystanders’ defending actions in bullying situations. Outside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ssistants, and defende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outsiders. It can be interpreted that outsiders can be potential assistants and defenders as well.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elf-assertiveness,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re all significant variables according to bystanders’ behavioral types. As the score as defenders was higher, the scores of self-assertiveness,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were noticeably higher compared to assistants or outsiders. In other words, it was assumed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defended the victims in bullying situations were more self-assertive and had good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compared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neglected or assisted the predators. Third, it was identified that peer relationship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part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elf-assertiveness and bystanders’ behavioral types. It is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self-assertiveness, an action of expressing individual opinions, thoughts, feelings in hones and straight ways without violating or offending other’s rights does not only affect the defending behaviors of bystanders in direct bullying situations but also indirectly has influences through the mediation of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ince self-assertiveness exerts in individual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 problem-solving methods, it can be assumed that it has power of explanation by mediating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when predicting bystander’s actions. The research findings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an empirical material to comprehend bystanders’ actions in bullying situa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verifies that self-assertiveness,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has influences on bystanders’ behaviors in bullying situations, and self-assertiveness can affect bystanders’ behaviors by partly mediating peer relationship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two implications: it explored the influences of peer relationship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which have been frequently investigated in terms of bullying bystanders. It also confirmed the fact that self-assertiveness with relatively insufficient existing studies affects bystanders’ behaviors.;청소년들에게 있어서 학교생활에의 적응은 중요하다. 이 때 또래관계와 교사와의 관계는 학교생활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반면, 학교폭력과 같이 크거나 작은 또래 괴롭힘 상황은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괴롭힘 문제는 가해자와 피해자뿐만이 아니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괴롭힘 상황을 보거나 들은 다수의 청소년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이렇게 괴롭힘 상황에서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은 다수의 사람들을 주변인이라고 하며, 주변인은 괴롭힘에 동조하거나, 방관하거나, 피해자를 도와 방어하는 등의 행동을 할 수 있다. 주변인들은 또래 괴롭힘 현상의 지속여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데 특히 피해자에 대한 주변인의 방어행동은 괴롭힘 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후에 피해자가 심리적으로 적응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중요하다. 따라서 괴롭힘 상황에서 청소년의 참여행동의 방향을 결정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간의 관계, 구체적으로 각 요인들이 어떠한 상호작용을 통해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들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개인적 변인으로 자기주장성, 환경적 변인으로 또래 관계와 학생-교사 관계를 통해 괴롭힘 상황에서 중학생 주변인의 행동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장성, 주변인의 행동유형, 또래 관계, 학생-교사 관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자기주장성, 또래 관계, 학생-교사 관계는 주변인의 행동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기주장성과 주변인의 행동유형의 관계를 또래 관계와 학생-교사 관계가 매개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충청 지역의 4개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중학생 총 4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자기주장성 척도, 주변인의 행동유형 척도, 또래 관계 척도, 학생-교사 관계 척도 및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한 자기보고식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주변인으로 분류된 29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여 각 변인간의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어자는 자기주장성, 또래관계, 학생-교사 관계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이때 방관자, 동조자 보다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는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의 방어자 행동유형에 자기주장성, 또래 관계, 학생-교사 관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방관자는 동조자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방어자는 방관자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괴롭힘 상황에서 방관자가 잠재적인 동조자도 방어자도 될 수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둘째, 자기주장성, 또래관계, 학생-교사 관계 모두 주변인의 행동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방어자일수록 동조자나 방관자에 비해 자기주장성, 또래관계, 학생-교사 관계의 점수가 현저하게 높았다. 즉, 괴롭힘 상황에서 피해자를 방어하는 중학생들은 괴롭힘 상황을 방관하거나 가해자를 동조하는 중학생들에 비해 자기주장적이며 또래나 교사와의 관계가 좋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자기주장성과 주변인의 행동유형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와 학생-교사 관계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대방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쾌하게 하지 않으면서도 자기의 의견이나 생각, 느낌을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나타내는 행동을 의미 하는 자기주장성이 직접적으로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의 방어자 행동유형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또래관계와 학생-교사와의 관계라는 매개를 거쳐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뜻한다. 자기주장성은 개인의 대인관계나 문제해결방식 같은 사회성과 관련이 있으므로, 주변인의 행동유형을 예측할 때 사회적 관계인 또래관계와 학생-교사 관계를 매개하는 것이 설명력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괴롭힘 상황에서 중학생의 자기주장성, 또래관계, 학생-교사 관계는 주변인의 행동유형에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과, 자기주장성이 또래관계와 학생-교사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여 주변인의 행동유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을 대상으로 빈번히 연구되어 왔던 또래관계, 학생-교사 관계의 영향력을 파악한 것과 함께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비하였던 자기주장성도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 행동유형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괴롭힘 상황에서 주변인의 행동유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경험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