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74 Download: 0

췌십이지장절제술 환자의 식사섭취 및 영양상태 평가

Title
췌십이지장절제술 환자의 식사섭취 및 영양상태 평가
Other Titles
Dietary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of Pancreaticoduodenectomy Patients : Assessing the Need for Improved Postoperative Nutrition
Authors
강지민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수
Abstract
Dietary intake is poor after surgery, and the nutritional status of postoperative patients also tends to be poo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 operative dietary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of patients. The study subjects were 15 male and 16 female patients who had undergone pancreaticoduodenectomy from December 2014 to June 2015. We collected data on general characteristics, clinical parameters, dietary intake, and nutrition impact symptoms before and after surgery. Nutritional status was assessed by body weight, body mass index, Nutritional Risk Index (NRI) and Malnutrition Universal Screening Tool (MUST) before and after surgery. Body weight and body mass index were decreased by 0.6kg and 0.9 kg/m2 , respectively, after surgery. Similarly, the median body mass index was decreased from 22.9 kg/m2 before surgery to 22 kg/m2 after surgery. Before surgery, malnutrition was diagnosed in 45.1% (14/31) and 28.9% (9/31) by NRI and MUST method, respectively, which was increased to 87% (27/31) and 86.6% (26/31) at discharge. After surgery, C-reactive protein levels increased, while hemoglobin, total protein, albumin, cholesterol and total 66 bilirubin levels were decreased. The median daily oral intake for energy, carbohydrates, fat and protein was 588.1 kcal, 96.0 g, 11.8 g and 27.0 g,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in energy and nutrient intake regardless of malnutrition, operation, diagnosis or the application of parenteral nutrition. The total oral energy intake was increased from 554.0 kcal to 596.8 kcal with time, while that of parenteral nutrition intake was decreased from 1082.2 kcal to 19.5 kcal. Most patients (n = 20, 64.5%) experienced two or more of nutrition impact symptoms such as anorexia, abdominal bloating and early satiety.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reactive protein levels and the intake of food energy, proteins, fats, and zinc. The intake of all nutrien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white blood cell and neutrophil counts. The intake of food energy, carbohydrate and zinc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ymphocyte counts. The results of our study clearly indicate that pancreaticoduodenectomy patients has poor dietary intake and higher rates of malnutrition, and the condition was worse in patients with BMI less than 23 kg/m2 . The number of white blood cells and lymphocytes was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nutrient intake. Further researchs are needed to find way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of patients with pancreaticoduodenectomy.;수술 후 환자들의 식사섭취는 저조하고 영양상태 또한 불량해지기 쉽다. 췌십이지장절제술은 소화기관을 포함한 여러 장기의 절제를 동반함으로 인해 수술 후 환자들의 소화기능 및 영양상태의 장애를 가져오며 이는 수술 후 식 사섭취와 영양상태를 불량하게 한다. 본 연구는 췌십이지장절제술 (예, Pylor us preserving pancreaticoduodenectomy, PPPD 혹은 Distal pancreatectomy, DP) 환자의 영양상태와 수술 후 식사섭취량 및 식사관련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췌십이지장절제술 후 식사 개선의 근거자료로 사용하고자 시행되었다. 전체 31명의 췌십이지장절제술 환자(남자 15명, 여자 16명)를 대상으로 연령, 과거력, 수술명, 수술 후 재원일수 등의 일반사항과 함께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혈액성분검사를 조사하였고 식사 섭취 시작 후 퇴원 일까지 (median; 7day)의 정맥영양을 포함한 구강섭취량과 식사관련 문제점을 조사하 였다. 본 연구는 2014년 12월부터 2015년 6월 동안에 시행되었다. 영양상태는 체중,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 그리고 영양위험지표(the nutritional risk index, NRI)와 영양불량검색도구 (the malnutrition universal screening tool, MUST)로 평가하였다. NRI는 수술 전에 비해 퇴원 시 영양불량인 군 (Mild/Moderate/Severe risk)이 14명 (45.1%)에서 27명 (87.0%)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2) MUST는 영양불량인 군 (Medium /High risk)이 9명 (28.9%)에서 26명 (86.6%)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 0.0004) 체중은 60.7 kg에서 60.1 kg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BMI는 22.9 kg/m2에서 22 kg/m2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혈액성분검사 결과, C-반응성 단백질 (C-Reactive Prote in, CRP)는 수술 전보다 수술 후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1), 헤모글로빈 (Hemoglobin, Hb), 총 단백질 (Total Protein, TP), 알부민 (Albumin, Alb), 콜레스테롤 (Cholesterol, Chol), 총 빌리루빈 (Total bilirubin,T.bil)은 수술 전보다 수술 후에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1). 한편, 환자들의 수술 후 퇴원 시까지의 식사섭취량을 조사한 결과, 중앙값 구강섭취량은 에너지 588.1 kcal, 탄수화물 96.0 g, 지방 11.8 g, 단백질 27.0 g이었고 영양불량, 수술법, 진단명, 정맥영양 적용에 따른 구강섭취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대상자들의 구강섭취일수의 중앙값은 7일로, 식사섭취시작일에 전체 에너지 구강섭취량은 중앙값 554.0 kcal에서 7일째 되는 날은 중앙값 596.8 kcal로 증가하였다. 반면 순수 정맥영양 섭취량은 식사섭취 시작일에 중앙값 1082.2 kcal에서 7일째 되는 날은 중앙값 19.5 kcal으로 감소하였다. 식사섭취 장애요인은 대부분의 환자(n=20명, 64.5%)에서 2가지 이상의 식사섭취 장애요인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욕부진이 12명 (38.7%)으로 가장 많았고 복부팽만감 (11명,35.4%), 조기포만감 (10명,32.2%) 순이었다. 영양관련지표와 정맥영양을 포함한 섭취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에너지, 단백질, 지방, 아연 섭취량은 CRP 변화량과 유의적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모든 영양소와 백혈구 수 (White Blood cell, WBC) 변화량과 호중구 수 (Neutrophil) 변화량과는 유의적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에너지, 탄수화물, 아연 섭취량은 림프구 수 (Lymphocyte) 변화량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췌십이지장절제술 환자들은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12일간의 짧은 기간에도 체중감소를 비롯한 영양불량이 증가하고 수술 후 식사섭취량의 감소가 나타났다. 특히 수술 전 BMI가 23 kg/m2미만에서 영양불량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정맥영양을 포함한 섭취량과 체중, BMI, CRP와 WBC, 호중구 수, 림프구 수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향후 이를 근거로 섭취량 증가를 위한 식사개선의 필요성이 있음이 시사된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