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상미-
dc.contributor.author정희수-
dc.creator정희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4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1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467-
dc.description.abstract기업이 국가 및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 공공문제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행위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이라 한다. 기업은 CSR 활동을 위한 전문성과 담당인력의 부족, 정보와 이해 부족 등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행정연구원 협력관리연구단의 국가거버넌스 구축방안 연구(2009년), 기업체 종사자 600명의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의무를 보다 잘 수행하기 위해 NGO와의 새로운 협력과 파트너십 건설을 위한 대안 제시 및 다양한 모색 등의 실천적인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와 자발성은 기업과 NGO에 대한 파트너십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기업의 규모 또한 NGO와의 파트너십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의사소통의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자발성과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만 부적(-) 영향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의사소통의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질문의 내용이 기업의 자기인식에 관한 것이고, 단일문항이며, 상대방의 의사소통에 대한 생각과 인식을 알 수 없었다.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로 구분한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함의로서 신뢰와 자발성과 의사소통을 함께 연구한 내용은 거의 부재한 연구였다. 또한 파트너십 구축을 위해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주지하고, 의사소통이 파트너십 개발을 위해 중요한 기재가 됨을 제공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로서 먼저 기업 차원에서는 기업 규모에 맞는 내용과 방식, 조직을 갖추고 사회공헌에 임해야 함을 주지하였다. 또한 수요와 욕구를 파악하고, 사회공헌을 위한 대상 선정과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NGO와의 협력적 파트너십은 기업의 유효한 전략이 된다. 또한 NGO의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사회와의 연계 방식을 찾을 수 있다. 다음으로 NGO의 차원에서는 기업으로부터 재정적, 물적, 인적, 전문적 기술의 도움을 받으며 연계와 협력을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지역사회의 공공선 증진의 노력을 기업과 공동으로 경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정책적 함의로, 중소기업의 CSR 활동이 촉진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과 교육, 인센티브 등이 제공되어야 하며, 지침, 매뉴얼과 중소기업과 협력하는 NGO의 개발과 발굴을 통해 독창적인 CSR 활동이 전개될 수 있는 제반환경이 조성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앞으로도 기업과 NGO의 협력을 통한 기업 사회공헌 활동의 긍정적인 성과와 구체적인 실천과제를 도출하기 위한 더욱 다각적이고 입체적인 내용의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refers to the active participation of a corporation that take an interest in the various public issues of a nation or regional society. Corporations struggle with inadequacies such as allocating an adequate the number of employees that can be dedicated for CSR activities and also the lack of professionalism, information and the understanding etc. that are required for proper planning and execution of CSR activities. This research used data from A Study on National Governance in Korea: A Conceptual Reframing (2009) conducted by the Cooperation Management Research Institution of KIPA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also data from research material on 600 employees employed at corporations.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present an alternative to forging new cooperations and partnerships with NGOs in order to help corporations better serve the social responsibility duties of a corporation, and also to deduc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ithin various contexts etc. The main findings deriv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trust and voluntary nature of a corpor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artnerships between corporations and NGO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ize of a corporation als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artnerships with NGOs.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whether or not communication had an adjustment effect confirmed a negative (-) effect for the voluntary nature of a corporation and interac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communication, and the question asked about the self-awareness of corporations was in the form of a single question and confirmed that it was not possible to know the thoughts and perceptions of NGOs in terms of communication. The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leve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oretical implications, this was a research study almost completely absent of any combined examinations of the trustworthiness, voluntary nature and communication of a corporation. Also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hen forging partnerships was made well known, and that communication served as an important basis for developing partnerships. Second, in terms of practical implications, it was first made well known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a corporation, there is a need to participate in social contributions based on the content, method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appropriate for the size of the corporation. Also determining the demand and desire, selecting the target for social contribution and also making cooperative partnerships with NGOs that can maximize this selection become valid strategies for a corporation. Also through the networks of NGOs, methods to connect with regional societies can be discovered. Next from the perspective of NGOs, connections and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corporations must be forged while receiving support in the areas of financial backing, physical resources, human capital and professional technologies and skills. It is also expected that NGOs will be able to expand their scope beyond the regional level and execute efforts to improve public causes together with corporations. Third, in terms of policy level implications, support, education and incentives etc. on a policy level that can serve as a catalyst for the CSR activities of small and medium sized businesses must be provided in addition to guidelines and manuals, and through the development and discovery of NGO’s that cooperate with small and medium sized businesses, this research proposed that a supportive environment necessary for unique CSR activities to take place needed to be provided. There is a need for follow up research from diverse and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to deduce the specific achievement goals and positive results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at are made possible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orporations and NGO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연구의 의의 4 Ⅱ. 이론적 배경 5 A. 기업과 NGO의 파트너십 5 1. 파트너십의 개념 및 중요성 5 2. 기업과 NGO의 파트너십의 필요성 7 B. 기업의 규모와 CSR 활동 11 1. 기업의 규모의 개념과 중요성 11 2. 기업의 규모와 파트너십 13 C. 기업의 NGO에 대한 신뢰 16 1. 신뢰의 개념 16 2. 신뢰와 파트너십 19 D. 자발성의 개념과 중요성 22 E.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24 1. 의사소통의 개념 및 중요성 24 2. 의사소통의 필요성과 파트너십 27 F. 통제변인 29 1. 근속년수 29 2. 직위 30 Ⅲ. 연구 방법 32 A. 연구대상 32 B. 연구모형 33 C. 연구문제 33 D. 변수의 측정 34 E. 자료 분석방법 37 IV. 연구 결과 39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9 B. 주요 변수 특성 41 C.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42 D. 기업의 규모와 신뢰, 자발성이 파트너십에 미치는 영향 44 E. 기업의 규모와 신뢰, 자발성이 파트너십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45 V. 결론 49 A. 연구 결과의 요약 및 논의 49 1. 연구 결과의 요약 49 2. 연구 결과의 논의 50 B. 연구의 함의 54 C.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56 참고문헌 58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54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기업의 규모와 신뢰, 자발성이 NGO와의 파트너십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that the Size, Trust and Voluntary Nature of a Corporation has on its Partnerships with NGOs-
dc.format.pagevii, 76 p.-
dc.contributor.examiner노충래-
dc.contributor.examiner이승윤-
dc.contributor.examiner조상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