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1 Download: 0

혁신학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Title
혁신학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The Recognition of Innovative School Teachers on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Authors
곽예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the recognition of teachers, in innovative schools, towards ACE and to seek strategies for ACE improvement in school. The research was conducted under in-depth interviews with 4 Head Research Director teachers and a Master teacher in a Seoul-type innovative middle school. The result of the research, engaged through a face-to-face talk on the importance, value, level and reality of ACE, showed a clarification of Function and creativity, Cultural literacy, and Aesthetic centered ACE. The limitation of ACE the teachers recognized consisted of teacher's teaching ability, coordination difficulties for its integration, and the support. Lastly, the researchers proposed an idea of national and regional supports, such as a job training to strengthen teacher competency, ongoing cooperation with external ACE educator and equipment, and a conference call with designated studen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ACE must take a change in perception that Cultural literacy centered ACE and Aesthetic centered ACE may multi-laterally link to one another, rather than seeing it as Function and creativity centered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ACE, as educational innovation, were proposed. This presented a plan for the expanded perspective on ACE as three implications. First of all, job training must be conducted. Secondarily,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hrough various ACE is required in connection with the reorganization of joint curriculum. Lastly, active collaboration of external ACE educators and a regional ACE support hub that provides the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and materials are highly needed. Executed on the basis of various points of views linked to each other, the ACE can achieve its educational goal when one understands him or herself and others with communicative, reflexive, intellectual, and creative competences and as communitarian cultural figures, enabling the development of a human being with the subjectivity of life. Proving that ACE can ever escape from the traditional perception that its limitations have forced the school in terms of non-educational activities, in that they could see the importance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for organic and cooperative relations for this study was quite meaningful to provide the future development plan of the ACE.;이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혁신학교 교사의 인식을 확인하여 학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화예술교육에 대하여 교사들은 학생들의 인성적인 측면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지만 학교라는 장소 특성 상 적극적으로 수업에서 이루어지기에는 한계를 가진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학교 교육의 혁신 일환으로 교육과정 및 수업의 개선, 지역사회와의 공동체 문화 활성화를 강조하고 있는 혁신학교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에 높은 관심을 보여주며, 학교 안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혁신학교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학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의 실태를 확인하고 그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 교사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혁신학교 교사는 문화예술교육을 교육현장에 어떻게 적용하고 있고, 적용하는 데 있어 한계점은 무엇인가? 셋째, 교사가 생각하는 문화예술교육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문화예술교육의 의의를 수업을 이끌어가는 데 있어서 학생들의 흥미와 적극성을 가져오기 위한 교육방법, 또는 지식위주의 수업에서 벗어나 다양한 체험과 활동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로는 예술적 감수성의 함양과 함께 자유로운 감정과 신체표현을 포함하는 미적역량의 함양, 배려·협력·조화·공감의 경험을 통한 소통역량의 함양, 융합적인 사고를 통한 창의적 역량의 함양 그리고 성찰과 공감, 끈기, 성취감을 통한 자기주도적 역량의 함양에 기여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문화예술교육 수준으로는 전문성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지속성과 연계성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와의 문화예술교육경험에 대한 면담분석을 통해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유형을 기능⋅창작활동 중심 문화예술교육, 문화적 문해 중심 문화예술교육, 마지막으로 심미적 탐구 중심 문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첫 번째 유형인 기능⋅창작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은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공연형태로 마무리 하는 형태로 이어지고 있었다. 이에 교사들은 학생들이 힘들어하던 과정을 이겨내고 무대에서 배우고 준비한 것들을 표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대견하고 자랑스러워하고 있었다. 교사의 수업 내에서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하여 교과 수업에서의 적극성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으나 교사는 예술분야에 대해 전문적인 가르침이 없는 수업이라는 점에서 STEAM이나 문화예술교육이라고 볼 수 있는지에 대해 혼란스러워 하였다. 두 번째 유형인 문화적 문해 중심 문화예술교육은 혁신학교의 주요과제인‘돌봄’을 위해 지역여건 상 다양한 문화예술의 감상·관람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가능한 범위 내에서 많이 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교사들은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예술을 경험하기는 하지만 교육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 교과에서 다루어지는 다른 나라에 대한 문화적 특성과 생활문화에 대하여 교과서에 있는 내용을 넘어 문화예술교육적 수업을 한 경험을 언급하면서도 이런 인문학적인 교육내용이 문화예술교육의 한 부분일지는 확신하기 어려워하였고, 난이도가 높아 관련 연수를 받고 수업에서 적용하기가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 심미적 교육을 강조하는 교사들은 정확한 기준을 가지고 과정에 대해 자신과 팀을 성찰하고 결과물에 대해 비평하는 과정을 중요하게 여기고 이를 수행평가로 적극 반영하고 있었다.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예술분야에 대한 전문성 부족과 낯선 대중문화로 인한 어려움, 둘째, 외부 문화예술교육자와의 협력을 위한 예산 부족 문제와 업무 부담감 및 시간표운영의 유연성과 진도가 다른 부분에 대한 협조의 어려움, 셋째, 외적보상적인 평가가 옳은 건지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넷째로, 외부 문화예술교육자들의 학교와 학생에 대한 이해의 부족, 문화예술 관람·감상을 위한 장소와 작품 선정의 어려움, 그리고 고가의 기자재들에 대한 부담 등도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가 생각하는 문화예술교육 개선방안은 첫째, 교사의 자체적인 인식변화를 위한 연수, 또, 직접해보고 아이디어를 배울 수 있는 연수 등을 통한 교사역량 강화, 둘째, 지속적인 외부 문화예술교육자와의 협력과 기자재 및 학생들의 발표회 기회를 주는 등의 국가적·지역적 지원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혁신교육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을 기능·창작활동 중심으로 보는 관점에서 보다 확장되어 문화적 문해 중심 문화예술교육, 심미 중심 문화예술교육이 다각적으로 연계될 수 있다는 인식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관점 확장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하기 위한 역량개발 및 교사 간 아이디어 공유를 위한 직무연수가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이 연계되어 공동교육과정을 통한 재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외부 문화예술교육가들과 적극적인 협력을 가능하게 하고 문화예술 컨텐츠와 기자재를 제공해 주는 지역거점의 문화예술교육 지원기관이 필요하다. 학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 활동을 넘어 교육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이 기능·창작활동을 중심으로 한 관점과 더불어 문화적 문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과 심미적 문화예술교육이 서로 연계되어 실행될 때 소통적 역량, 성찰적 역량, 미적역량, 창의적 역량을 함양하여 자신의 삶을 이해하고, 타인의 삶의 이해, 더 나아가 공동체적인 문화인으로의 성장을 통해 삶의 주체성을 가진 인간으로의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교육적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 이제까지 문화예술교육이 교육적이지 않은 활동이라는 점에서 학교에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는 기존의 인식에서 벗어나 문화예술교육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위해 교사들의 유기적이고 협력적인 관계발전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보여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