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규호-
dc.contributor.author구은정-
dc.creator구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5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1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53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이하 NCS)을 기반으로 한 재직자 대상 직업능력개발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담당자, 강사, 학습자의 인식을 통해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에 대하여 원인을 분석하고 재직자 대상 교육과정에 NCS를 성공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개선 과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담당자, 강사, 학습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NCS 적용 직업 능력 개발 교육과정의 개발·운영 단계에서의 특·장점 및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NCS 적용 직업 능력 개발 교육과정의 개발·운영 단계에서의 개선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위와 같이 설정된 연구 문제를 분석하고자 재직자 대상 교육 기관에서 종사하고 있는 5명의 교육 담당자와 3명의 강사, 3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1차 면담을 실시하였고, 기관장 워크숍에서 9명의 재직자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교육담당자 9명의 의견을 추가적으로 들었다. 면담 도구로는 NCS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인식 9개 문항과 NCS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에 있어서의 어려움에 대한 8개 문항, 개선 전략에 대한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적용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에 대한 교육담당자, 강사, 학습자의 인식 분석 결과, 교육 담당자는 NCS 훈련기준 및 NCS 교육과정 매뉴얼 덕분에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교수학습 계획서, 운영계획서, 평가계획서 등을 갖춘 제대로 된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었고 개발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내용 전문가 없이도 주도적으로 교육과정을 계획할 수 있었다. 반면 강사들은 NCS 교재 제작에 있어 이전보다 질 높은 교재를 만들어야 하는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교재로 활용할 수 있는 NCS 학습모듈에 대해서는 보완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교과 내용 수준에 대해 NCS의 5수준에 비해 낮은 수준의 학습자가 참여 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은 교과 수준이 높다고 인식하지 않았다. NCS 교육 내용 수준이 기존 교육과정보다 수준이 낮아졌으며, 내용 범위도 이전보다 더 넓어졌다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은 실습의 확대가 업무 수행에 도움이 많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 담당자, 강사 모두 실습 과정 자체가 업무 수행에 도움이 많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경력 개발에 대해서는 학습자와 교육 담당자가 경력 개발 상담에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학습자들의 체계적인 경력 개발을 위한 교육 기관들의 교육과정이 마련되지 않아, 학습자들의 경력 개발에 한계를 드러냈다. 교육 환경과 실습 장비 준비에 대해서는 NCS에 필수 장비가 교육과정에서 활용되지 않았으나 학습자들의 교육 만족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교육담당자, 강사, 학습자가 NCS 교육과정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원인을 5가지 특·장점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NCS 기반 훈련 과정 편성 매뉴얼 활용으로 인해 교육 훈련 과정 설계 시간이 단축되었다. 중·소형 교육 기관일수록 매뉴얼에 대한 만족도가 컸음을 확인했다. ② 실습 비중이 확대됨에 따라 이론적 지식과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업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했다. ③ 실습의 확대로 인해 워크북 사용의 중요성이 커졌다. ④ 교육 담당자들은 NCS 학습 모듈 활용을 통해 교재 개발비가 줄어 교육과정 개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강사들은 교재 개발 시간이 줄어 강의 준비에 시간을 더 투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⑤ NCS는 다양한 평가 방법을 소개하고 있어 교육 기관에서 목적에 맞게 평가 방법을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평가 문항 역시 NCS 표준을 활용하여 이전보다 쉽게 개발할 수 있다. 교육담당자들과 강사들은 NCS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 단계에서 다음의 여섯 가지 이유 때문에 NCS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이 어렵다고 했다. ① NCS의 직무와 산업현장의 직무에 괴리가 있어, NCS 교육 과정 개발 시 교육 수요를 반영하지 못했다. ② 교재 및 워크북 개발 시 NCS 학습모듈 개발이 덜 되어 있고, NCS 학습모듈 사용 자체가 익숙하지 않아 활용이 힘들고, 새롭게 워크북을 개발해야 하는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③ NCS 교육 여건 및 기자재 준비에 대해서는 재직자 대상 교육 기관보다 실업자 대상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소형 교육 기관에서 비용적인 문제 때문에 더 어려움을 느꼈다. ④ NCS 유관 기관과의 의사소통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아 어려움을 표시했으며, ⑤ NCS에 대한 비전문적인 교육으로 인해 NCS 교육을 받았음에도 NCS에 대한 이해가 어렵다고 하였다. ⑥ 이와 더불어 기업 자체에서도 NCS를 불편할뿐만 아니라 도입 시 NCS 준비 때문에 생산라인 가동을 멈춰야 하기 때문에 기회비용이 많이 든다고 하여 NCS 도입을 회의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NCS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도 낮았다. 셋째, NCS 적용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단계에서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장 적용을 위한 지속적인 NCS의 업데이트가 필요하며 NCS를 단계적으로 유연하게 적용해야 할 것이다. NCS 교육 전문가를 육성하고 컨설팅을 지원하며 NCS를 적용한 교육과정 운영 기관의 질 관리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NCS의 확대를 위해 기업에 적극적으로 NCS를 홍보하고, NCS의 적용에 대한 보상 시스템을 구축하여 기업에서 적극적으로 NCS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교육과정과 기존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를 위한 사례 분석 표본 수가 많지 않은 것은 한계점으로 인식되며, 향후 다양한 교육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NCS 적용 교육과정과 NCS 비적용 교육과정을 모두 수강한 학습자 선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두 과정에 대한 교육 만족도를 비교·분석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향후 연구 과제로는 실습 내용, 교육 시간 및 NCS 교육 내용의 차이에 따른 학습 효과의 차이점 분석과 실업자 대상 NCS 교육과정과 재직자 대상 NCS 교육과정의 차이에 따른 학습 효과의 차이점에 대한 연구 등을 통해 NCS 교육과정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ze the cause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f educators, instructors and students on the NCS-based in-service vocational training program, and explore improvement issues for a successful application of NCS in in-service vocational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upon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educators, instructors and students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urriculum based on NCS, educators were able to develop a better and systematic curriculum with syllabus, management plan, evaluation plan, etc. due to the NCS training standards and NCS curriculum manual as compared to previous curriculum. Moreover, the development time has shortened, and the educators were able to take the lead in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without the assistance from the subject professionals. However, instructors had the pressure to develop a higher quality instruction material for the NCS instruction material, and felt the need for a supplementation of the NCS study module to use as an instruction material. As for the level of the substance of the study, the students did not believe the level of the substance was high even though the students were at a lower level than the NCS's 5 level.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the instructors appropriately adjusted the subject level. Some students felt the level of NCS study substance was lower than the previous curriculum, and the range of substance has widened. Nonetheless, educators and instructors all believed that the practical training process assists greatly in job performance. As for career development, students and educators all have great expectations for career development. However,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 students were limited because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did not provide curriculum for a systematic career development program. As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preparation of practical training apparatus, although the NCS's requisite apparatus were not utilized, it had no impact on the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Secondly, educators, instructors and students had positive perception on the curriculum based on NCS due to the following 5 characteristics/strengths of the curriculum based on NCS. ① Time for designing education training process has been shortened. ② It contributed towards improving job performance by having more practical training. ③ The importance of using workbooks has increased. ④ Educators expected decrease in cost of developing curriculum. Instructors expected to spend more time preparing for class due to decrease in time spent on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⑤ Educational institutions could select the evaluation method fit for its specific purpose, and development of evaluating criteria becomes much easier by utilizing NCS standards. The educators and the instructors had difficulty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based on NCS due to the following 6 reasons. ① There is a gap between the NCS job duties and the job duties at the industrial sites, so the demand for education type was not reflected during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based on NCS. ② The NCS study module was not fully developed at the time of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workbooks, and it was difficult to utilize because of the unfamiliarity with the use of NCS study module. Moreover, they had a pressure to develop new workbooks. ③ The smaller educational institutions operating curriculums for unemployed workers, as compared to the larger educational institutions operating programs for the employed workers, had more difficulty with the NC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reparation of tools and materials due to the cost associated with it. ④ There was difficulty due to lack of communication with the NCS related agencies. ⑤ Understanding the NCS program is difficult even after training on the NCS program due to a non-professional training on the NCS program. ⑥ Moreover, the companies were skeptical about adopting NCS and had low demands for the curriculum based on NCS because NCS is not only inconvenient, but has a high opportunity cost due to stoppage of the production line for NCS preparation in the beginning. Thirdly, continuous update of NCS for field application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ifficulties during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tages of curriculum based on NCS, and NCS needs to be applied in stages and with flexibility. Also, it is needed to promote NCS training specialists, support consulting, and establish a system to manage the quality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urriculum based on NCS. Lastly, for the expansion of NC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NCS to businesses and to establish rewards system for applying NCS for the businesses to actively support NCS. We propose the following for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not having many case study samples for comparative study on NCS curriculum and existing curriculum is believed to be a limitation, and case study on various curriculums is needed in the future. Moreov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n both curriculums was limited due to difficulty in selecting students who had completed both curriculum based on NCS and curriculum not based on NCS. In the future, in-depth study on various elements effecting the results of education by NCS curriculum by analyzing educational efficacy due to differences in contents of practical training, time of education and contents of NCS education, and studying differences in educational efficacy due to differences in NCS curriculums for the unemployed and the workers, etc.-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5 A. 재직자 평생 직업 능력 개발 제도 5 1. 직업 능력 개발 제도 발전 과정 5 2. 직업 능력 개발 훈련 기관 9 3. 직업능력개발 훈련 과정 개발 12 B. 국가직무능력표준(NCS) 17 1.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념 17 2.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구성 18 3.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23 C. NCS 교육과정에 관한 선행 연구 31 1. NCS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NCS 문제점 개선에 관한 연구 31 2. NCS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33 3. NCS 교육과정 성과 분석에 관한 연구 36 Ⅲ. 연구 방법 40 A. 연구 설계와 연구 도구 40 B. 연구 대상 및 연구 참여자 44 1. 연구 대상 기관 44 2. 연구 참여자 45 C.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47 1. 자료 수집 및 정리 47 2. 자료의 분석 방법 48 Ⅳ. 연구 결과 49 A. NCS 적용 재직자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담당자강사학습자의 인식 49 1. NCS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인식 49 2. 교육 내용의 수준에 대한 인식 51 3. 실습의 확대를 통한 업무 수행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 53 4. 경력 개발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 54 5. 교육 환경과 실습 장비 준비도에 대한 인식 56 B. NCS 적용 재직자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의 특장점과 어려움 57 1. NCS 적용 교육과정의 특징과 장점 57 2. 교과 내용의 수준에 대한 인식 62 C. NCS 적용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단계에서의 어려움 및 개선점 70 1. 현장 적용을 위한 지속적인 NCS 수정 보완 70 2. 재직자 교육과정에 대한 NCS의 유연한 적용 71 3. NCS 교육 전문가 육성 및 컨설팅 지원 72 4. NCS 적용 교육과정 운영 기관의 질 관리 체제 구축 73 5. NCS 확대를 위한 기업 지원 73 Ⅴ. 요악 및 결론 75 A. 요약 및 논의 75 B. 제언 78 참고문헌 79 부록 83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081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적용 재직자 직업능력개발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발전방향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articipants' Perception on the NCS-Based Inservice Vocational Training Program-
dc.format.pagevii, 98 p.-
dc.contributor.examiner서경혜-
dc.contributor.examiner백남진-
dc.contributor.examiner황규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