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0 Download: 0

사진 과제분석을 이용한 시각적 지원이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제과·제빵 기술의 독립적 수행률 및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Title
사진 과제분석을 이용한 시각적 지원이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제과·제빵 기술의 독립적 수행률 및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visual support based on picture task analysis on the independent performance and quantity of bread and confectionery skills among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uthors
유가민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직업을 갖고 이를 유지하는 것은 독립적인 성인으로 살아가는데 가장 기본적이고, 삶의 질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직업을 갖는다는 것은 비장애인에게도 많은 노력과 인내가 있어야 하며, 장애인은 더 많은 지속적인 지원을 필요로 한다.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은 그들이 가지는 독특한 특성으로 인해 직업 생활을 유지하기 어렵고, 직업을 가지게 되는 경우는 단순 노무직이나 낮은 가치의 일을 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직업 기술 습득 및 직업 생활을 지원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위한 중재의 대부분은 교사나 다른 타인의 주도하에 실행되는 전략이 대부분으로 습득된 행동을 일반화 및 유지시키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이들이 직업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독립적으로 행동해야 하는 여건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외부의 감독이나 지원이 없어도 스스로 행동을 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사진이나 그림 같은 시각적 단서는 선행 자극을 제공하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과제 수행이 가능하여 복잡한 기술의 일반화와 유지를 촉진하고,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독특한 특성인 시각적 정보처리에 강점을 보이는 점에서 아주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시각적 단서를 뒷받침 해주는 전략으로 과제분석을 들 수 있으며 직업 기술을 교수함에 있어 기초적인 전략이다. 과제분석은 자폐 범주성 장애인에게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직업 기술을 세분화해서 분석해 줌으로써 이들이 체계적으로 기술을 습득하도록 도와주는 전략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업 기술을 과제분석하고 시각적 지원 중에서 사진을 활용하여 과제분석한 내용을 사진 단서로 제작하여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이 직업 기술 중 제과·제빵 기술에서 독립적 수행률 및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의정부시 소재의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 중인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직업실인 제과·제빵실에서 진행하였다. 실험은 2015년 9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총 18주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실험을 시작하기 전 대상학생 선정 및 사전 검사를 하여 제과·제빵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및 도구 다루는 것에 대한 선수 기술 정도를 파악하였다. 작업 과제를 선정하기 위하여 제8차 특수학교 제과·제빵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실기 제품 중에서 선정하였고, 선정한 제품을 과제분석하여 사진 수첩으로 제작하였다. 대상학생 세 명에 대한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관찰은 기초선-중재-일반화-유지의 순서로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되었고, 유지 검사는 중재가 종료되고 4주가 지난 후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진 과제분석을 이용한 시각적 지원을 사용하였을 때,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제과·제빵 기술의 독립적 수행률이 향상되었고, 향상된 독립적 수행률이 일반화 및 유지되었다. 둘째, 사진 과제분석을 이용한 시각적 지원을 사용하였을 때,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제과·제빵 기술의 생산량이 증가되었고, 증가된 생산량이 일반화 및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사진 과제분석을 이용한 시각적 지원의 사용은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제과·제빵 기술의 독립적 수행률 및 생산량을 향상시켰으며, 이러한 향상은 대상 일반화되고, 중재 종료 4주 후에도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직업 기술 중에서 물품의 포장 조립이나 청소 및 세차하기 등의 단순한 기술 영역에서 제과·제빵과 같이 복잡한 공정과 작업을 필요로 하는 기술 영역으로 확대 가능성을 넓혀 주었고, 제과·제빵과 관련된 구체적인 교수 전략이나 중재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가운데, 본 연구는 제과·제빵 영역에 대해 교수 전략을 제공하여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이 장차 이 영역에 취업 가능한 가능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ual support based on picture task analysis on the independent performance and quantity of bread and confectionery skills among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y conducting a task analysis of vocational skills and turning the task analysis results of picture as part of visual support into picture cues. This study included three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ttending a special school in Uijeongbu City, Gyeonggi Province and taking a specialized cours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bread and confectionery room at the school for a total of 18 weeks. Before doing the experiment, the investigator selected subjects and carried out a pre-test to figure out their basic bread and confectionery knowledge, and their prerequisite skills of handing the bread and confectionary utensils. Tasks were chosen among the practice products in the teachers' manual for bread and confectionery based on the eighth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selected products were turned into photo books through task analysis. The inter-subject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employed for the three subjects, who were observed under the same conditions in the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maintenance. To examine whether the intervention effect was maintained, the maintenance itself was measured after 4 weeks of the intervention termina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dependent performance of bread and confectionery skills were able to improve among the three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hen visual support based on picture task analysis was used. Second, the improved level of independent performance through visual support based on picture task analysis was generalized among all the three participants, even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 Third, the improved level of independent performance through visual support based on photograph task analysis was maintained among all the three participants, even four weeks after the end of intervention. Fourth, the quantity of bread and confectionery skills increased among the three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hen visual support based on picture task analysis was used. Fifth, the increased level of quantity through visual support based on photograph task analysis was generalized among all the three participants, even after the end of intervention. Finally, the increased level of quantity through visual support based on picture task analysis was maintained among all the three participants even four weeks after the end of interven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use of visual support based on picture task analysis enhanced the independent performance and quantity of bread and confectionery skills among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hat their enhancements were generalized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 and maintained even four weeks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 The present study broadened the performance possibilitie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rom the old areas of vocational skills, including product packaging and assembly, cleaning, and car washing, to new ones requiring complex processes and work including bread and confectionery. At a time when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efforts to examine specific teaching strategies and intervention approaches related to bread and confectionery, the present study claims its significance by proposing teaching strategies for bread and confectionery, and opening the possibilitie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of getting jobs in the areas of bread and confectione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