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7 Download: 0

서울 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수업 및 학교생활 실태 분석

Title
서울 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수업 및 학교생활 실태 분석
Other Titles
The realities analysis of instruction and school-life of students belonging to special education class in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uthors
조성지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희
Abstract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는 고등학교에서의 양질의 통합교육과 성공적인 성인기로의 전환을 준비하기 위한 전환교육에 있다. 이를 위한 고등학교 특수교육은 이들이 속한 고등학교 내에서의 수업과 수업 외의 학교생활을 포함한 학교 내 모든 일과 속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특수학급 학생들이 이 두 장면에서 이들의 교육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 고등학교의 문화와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의 개인적 및 교육적 특징으로 인해 고등학교에서의 특수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데 어려움이 있다. 우선 입시위주의 교육풍토가 만연한 고등학교에서 통합수업에 참여하는 특수학급 학생들의 학력의 제한점으로 인해 교육과정적 통합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현실이다. 그리고 통합수업을 위한 일반학급 수업 참여와 직업 및 진로교육, 수준별 교육을 위한 특수학급 수업 참여 간의 균형을 이루는 문제도 쟁점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지역 특수학급이 설치된 고등학교의 특수학급 학생을 위한 수업과 학교생활의 실제를 조사하여 현재 총체적인 관점에서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을 위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5년 11월 기준 서울 지역 고등학교 84개교의 특수학급 교사 244명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였고, 최종적으로 회수된 181부에 대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분석한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 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및 특수교사의 배경정보에는 (1) 서울 지역 특수학급이 설치된 배경정보, (2) 서울 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전체 현황, (3) 응답자의 담당 고등학교 특수학급 배경정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특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서울 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수업 실태에 대해서는 (1)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수업 실태와 (2)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통합교육 지원 실태를 분석하였다. 넷째, 서울 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수업 외 학교생활 실태는 (1)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문제행동대처 및 급식지도와 (2)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과 비장애학생의 교과 수업 외 통합 실태 및 지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고등학교 특수학급 현황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특수학급이 법정인원인 7명을 초과한 과밀학급이 많으므로 특수학급을 신․증설하여 이를 해소하고 이미 존재하는 고등학교의 자원을 잘 활용할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그리고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양적성장과 더불어 질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보조인력을 적절하게 활용하고, 통합교육과 전환교육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고등학교에서의 통합교육을 지지하지 않는 비율이 중학교 특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지지도에 비해 높은 경향이 있었고 여러 가지 쟁점으로 인하여 통합교육을 지원하는데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이에 반해 통합교육과 관련된 연수에 참여한 비율은 저조한 경향을 보였다. 고등학교 통합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일선 현장에서 일하는 고등학교 특수교사들의 의지와 노력이 필요하고, 이와 더불어 통합교육 관련 연수나 기타 통합교율 실행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행․재정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수업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을 위한 IEP 또는 ITP 내용이 특수학급 수업과 직업영역에만 초점을 맞춘 경향이 있는데,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협력하여 통합수업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특수학급 수업 역시 직업 교과에 많이 집중되어 있는데 다른 교과 간 수업이 균형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수업을 실시하고 평가함에 있어 특수교사 개인의 역량에 주로 의존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체제 마련이 필요하다. 고등학교 특수교사는 고등학교에서의 통합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다양한 요소들에서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의 통합교육을 위하여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연수를 강화하고, 일반교사와의 다양한 영역에서의 협력을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넷째,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수업 외 학교생활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의 문제행동은 교육적, 사회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는 이들의 통합교육 실행을 위하여 중요하다. 이에 고등학교 특수교사들은 대부분 긍정적인 방법으로 문제행동에 대해 대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등학교에서의 급식시간, 조회시간, 종례시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은 특수학급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통합되어 활동할 수 있는 시간이다. 따라서 많은 경우 특수학급 학생들이 일반학생들과 통합되어 활동하도록 하였고, 그 중 동아리활동의 경우 역통합으로 진행하기도 하였다. 이 시간들이 단순하게 특수학급 학생들의 물리적인 통합만 이루어지지 않고 더 발전되어 특수학급 학생과 일반학생과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고등학교에서의 중간․기말고사는 시험의 특성상 통합만을 주장하기가 어렵기는 하나, 이 역시 통합교육의 한 과정으로 여기고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에게도 의미 있는 과정이 되도록 하는 연구와 실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재 서울 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수업과 학교생활 실태 전반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의 전체 학교 일과와 고등학교 통합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전체적으로 조망해 본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향후 더 나은 고등학교 통합교육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ransition education for successfully transitioning students into adults and good quality inclusive education is key to the educational needs of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students. Special education programs for such students consists of inclusive education and transition education within the entire course including ordinary instructional courses and extracurricular school activities. Therefore, support must be made to the students belonging to special classes so that they can achieve the educational goals in these two aspects. However, due to the culture of Korean high schools and the individual and educational features of students that belong to special classes, special education in high schools. First, given the intellectual limitations of the special class students, integrating educational curriculum within high schools where education is mostly focused on college entrance is difficult to achieve. Further more, maintaining the balance between participating in class room courses and career education courses run in general classes, and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classes is also an issu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courses and school life of students belonging to special education class in high schools with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and provide an overall view of how education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is conducte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44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84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in November, 2015 and a statistical analysis on the 181 questionnaires returned was conducted. The issues analyzed are as follows. First, on the back ground information of the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 rooms and teachers is (1) information on special education class rooms in Seoul, (2) general status of special education class rooms in Seoul (3) information on the respondent's special education class room. Second, on the view of inclusive education in high schoo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high school. Third, on the condition and reality of curriculum implemented in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 room, (1) the condition of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 room and (2) the condition of the support made to promote inclusive education in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 rooms. Fourth, on the condition of extracurricular school life of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students (1) the condition on coping with problematic behavior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school lunch training (2) and on condition and support on the integra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non-disabled students. The discussion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ur folds as follows. First, the discussion on the current condition of high school special classrooms is as follows. The number of students in many classrooms exceed the statutory number of 7 so a means to increase the number of special classrooms and efficiently manage existing high school resources must be devised. In addition, appropriate use of assistants to enhance not only quantitative development but qualitative development must be sought and a balance between inclusive education and transitional education must be reached. Second, research results on the perspectives held by high school special teachers suggest that the percentage of negative views on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in high school was higher than the percentage of positive views on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and expressed difficulties in inclusive education support due to various issues. On the other hand, participation in inclusive education related training was low. This shows that for the development of high school inclusive education, the will and efforts of high school special teachers working on the field and furthermore, variou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effort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related training and to fully implement inclusive education is necessary. Third, the discussion on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 is as below. IEP or ITP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tends to focus on the curriculum and job sector, whereas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collaborate on including programs related to various sectors in inclusive education. Also, special class room courses tend to focus on the job sector whereas a balance with other subjects need to be maintained. In addition, because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special education class room courses tended to be dependant on the individual abilitie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past, a systematic approach to implement a systematic education is required. Man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high schools referred to th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s in high schools. Means to enhance training programs afforde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operate with general teachers in various sectors is necessary. Fourth, discussion on the extracurricular school life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is as follows. Appropriate response to the problematic behavior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is imperative, given the soci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 of such behavior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most of the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implement positive means to respond to problematic behaviors. Lunch time, morning and closing assemblies,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times are when special education students can naturally blend in with other students. Thus, in many cases, special education students were instructed to participate in inclusive activities and in case of club activities, reverse inclusion activities were performed. Further means to proceed beyond mere physical integration and increase natural interactions between normal students and special education students is required. In case of mid-term and final exams, integration is futile due to the nature of exams, but further research and implementation of means to perceive exams as a part of inclusive education and to provide a meaningful curriculum to special education students is also necessary. This meaning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nvestigation on the overall condition and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ourses and school life in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to provide an overall view on the entire school curriculum for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on how inclusive and transition education is conducted in high schools. This study can be used to provide a basis on devising a master scheme for improving high school inclusive and transition education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