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오효연-
dc.creator오효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8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0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85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a physical touch play between teacher and infant on the initial adjustment to a child care center so give basic data suggesting specific measures helpful for the stable initial adjustment used at a field.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1. What effect physical touch play between teacher and infant has on infants' initial adjustment to a child care center(pro-sociality, positive feeling, ego strength, adaptation to a routine, separation anxiety, aggression)? This experimental research intends to examine the effect of a physical touch play between teacher and infant on the initial adjustment to a child care center. Research was done for 13 infants, two 0-year-old classes of H, C child care centers at a workplace located at Seoul. 7 infants at a 0-year-old class of H workplace child care center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6 infants at a 0-year-old class of C workplace child care center were positioned to a comparative group. For a research tool, it used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PAQ) developed by Jewsuwan, Luster와 Kostelnik(1993), translated by Oh Jong Eun(2001), corrected by Lee Eun Kyeong for infants and re-corrected ㆍcomplemented by Heo Jeong Suk2008) Research procedures were conducted in order of inspector training,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15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ree times a week for 5 weeks from 28th, March to 29th, April 2016. As for data collect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pre/post tests were calculated by group for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arried out for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group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It showed that physical touch play between teacher and infant has a positive effect on initial adjustment to a child care center by infants. In particular, as for 'pro-sociality, 'positive feeling', 'ego strength,' 'adaptation to a routine', 'separation anxiety', 'aggression' of sub-areas of the initial adjustment,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variance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han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it reveals that physical touch play between teacher and infant had a positive effect on infants' initial adjustment to a child care center. Such findings suggest that physical touch play may be us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activity for infants' initial adjustment to a child care center at a field.;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와 영아 간의 신체접촉놀이가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현장에서 안정적인 초기 적응에 도움이 되는 구체적인 실제 방안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와 영아 간의 신체접촉놀이가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친사회성, 긍정적 감정, 자아강도, 일과에 대한 적응, 분리불안,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교사와 영아 간의 신체접촉놀이와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된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H직장어린이집과 C직장어린이집의 만 0세반 두 학급의 영아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H직장어린이집 만 0세반 7명을 실험집단, C직장어린이집 만 0세반 6명을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Jewsuwan, Luster와 Kostelnik(1993)이 개발한 유아용 적응설문지(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aire: PAQ)를 오종은(2001)이 번안하고, 이은경(2005)이 영아용 적응설문지로 수정한 것을 허정숙(2008)이 재수정ㆍ보완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검사자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처치는 실험집단에게 2016년 3월 28일부터 4월 29일까지 5주에 걸쳐 주3회씩 총 15회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대한 사전검사, 사후검사의 집단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집단 간 차이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와 영아 간의 신체접촉놀이는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기 적응의 하위 영역인 ‘친사회성’, ‘긍정적 감정’, ‘자아강도’, ‘일과에 대한 적응’, ‘분리불안’, ‘공격성’ 모두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의 변화량 차이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교사와 영아 간의 신체접촉놀이는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접촉놀이를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효과적인 교육활동으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신체접촉놀이 4 1. 영아의 신체접촉놀이 4 2. 신체접촉놀이 유형 6 3. 신체접촉놀이와 교사의 역할 7 B. 어린이집 초기 적응 9 1. 초기 적응의 개념 및 중요성 9 2. 초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1 3. 초기 적응과 교사의 역할 12 Ⅲ. 연구방법 14 A. 연구 대상 14 B. 연구 도구 14 C. 연구 절차 16 D. 자료 분석 22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3 Ⅴ. 논의 및 결론 27 A. 논의 27 B. 결론 및 제언 29 참고문헌 31 부록1. 초기 적응 검사설문지 34 부록2. 신체접촉놀이 활동계획안 37 ABSTRACT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494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교사와 영아 간의 신체접촉놀이가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a Physical Touch Play between Teacher and Infant on the Initial Adjustment to a Child Care Center-
dc.creator.othernameOh, Hyo Yeon-
dc.format.pageiv, 53 p.-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contributor.examiner김순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