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여성희-
dc.contributor.author박진-
dc.creator박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4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0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48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고등학교 국어Ⅱ 교과서에 포함되어 있는 환경제재의 환경교육 내용체계별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국어Ⅱ의 교육목표 달성을 통한 환경교육의 교육적 목적이 어떻게 달성될 수 있는가를 알아봄으로써, 국어Ⅱ 교과서의 환경 교육적 가치를 확인하여 환경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9개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Ⅱ 교과서 총 11개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두 단계로 진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국어Ⅱ 교과서 중 환경교육과 관련된 텍스트들을 선정하여, 교과서 내에 포함되어 있는 환경 영역에 대한 양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2단계에서는 선정된 텍스트들에 대한 국어과 성취기준별 특성을 살펴보고 국어교과서의 환경교육적 가치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어과 성취기준별 환경교육 텍스트의 내용특성 및 구성에 대한 분석 자료는 각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을 기준으로 하였고, 분석 자료는 양적 및 질적 접근방법을 적절히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국어교과서의 환경교육적 가치에 대해서는 내용체계, 교수학습과정,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질적인 측면에서 기술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11종 전체 제재의 약 23%가 환경 제재로 구성되어 있고, 국어과 내용 영역인 화법, 독서, 작문, 문학에 골고루 분산되어 있었다. 둘째, 교과서에 제시된 환경제재의 환경교육 내용체계는 각 영역별로 독특한 특징을 내포하고 있다. 문학 영역에서는 자연 친화적인 환경관을 보여주고, 화법과 작문은 사회적 이슈들을 이용한 사회문제 해결력 향상에 초점이 맞추고 있다. 독서 영역에서는 다양한 내용 영역의 환경소재가 사용된다. 이처럼 국어교과서 내의 환경제재는 다양한 환경교육 영역 및 분야에서 사용가능하다. 셋째, 국어과 환경제재의 성취기준은 미래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연계되어 미래의 환경교육에 활용하기 적합하다. 넷째, 교과서의 환경제재의 내용 편향성과 사회적 문제에 대한 일원적 시각을 개선한다면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환경교육이 가능하다. 이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론을 종합해 볼 때, 국어Ⅱ 교과서 내의 환경제재를 통해 인문학적 소양과 과학적 창조성, 인성을 기반으로 하는 미래 사회의 통합교육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의 주체가 되는 국어교사의 환경적 이해가 부족하므로, 바람직한 환경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 2015개정 교육과정이라는 새로운 교육과정에 따라 교육목표 및 교수학습방법의 수정이 불가피하므로, 새로운 교육과정에서의 통합 환경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볼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This research looks into the environmental subject matters included in high school's Korean Language Ⅱ textbooks and analyzes the components of the environment education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 of contents. And this research checks how to achieve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environment education through attaining the objectives of Korean Language Ⅱ textbooks and it also aims to suggest the new direction of environment education by confirming educational values of high school's Korean Language Ⅱ textbooks. To achieve the goal of research, it analyzed Korean Language Ⅱ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ook two steps of analyzing. Step 1: it analyzed the quantity of environmental categories contained in the textbooks. Step 2: i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selected texts and analyzes their environment educational values. In the process of analyzing data, it used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complementally. This is the outcome of analyzing Korean Language Ⅱ textbook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 of contents related to environment education. The environmental subject matters account for 23 percents of Korean Language Ⅱ textbooks and we can find out many environmental subject matters comparatively in all textbooks of 11 kinds. And it shows that the subject matters are distributed evenly in the contents categories of 4 kinds except the grammar category in Korean Language. This is because the categorial objectives and characteristics suggested in Korean Language are highly related to the objectives of environment education. This is the outcome of analyzing Korean Language Ⅱ textbooks according to the areas of contents related to environment education. In Literacy, you can find out many environmental subject matters in the classics, especially in poetry that help you see the ancestors' nature-friendly view on the environment. In Narration and Writing, you can find out many environmental subject matters about energy and tests on animals and this is because they focus on solving problems by using social issues in the real world.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subject matters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Korean Language Ⅱ confirms that the subject matters of the textbooks can be used in various areas and fields of environment education and based on humanities and scientific creativities, they can get to the aims of integrated education on future socie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bout using environment educational subject matters from Korean Language Ⅱ textbooks, I would offer you as follows. First, the study on diversity of the environmental subject matters printed in each category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he study for developing diverse environmental subject matters are necessary. Second, a follow-up study based on capabilities of new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Environment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necessa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문제 3 C. 용어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A. 국어과 교육과정 6 B. 환경과 교육과정 17 C. 국어교과 기반 환경교육 19 Ⅲ. 연구방법 23 A. 연구 대상 23 B. 연구 절차 23 C. 자료 수집 및 분석 25 Ⅳ. 연구결과 27 A. 국어Ⅱ 교과서내의 환경관련 제재 분석 27 B. 국어Ⅱ 교과서의 내용영역별 환경제재의 특성 분석 29 Ⅴ. 결론 및 제언 53 참고문헌 56 ABSTRACT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67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통합 환경교육을 위한 고등학교 국어Ⅱ 교과서의 환경제재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내용체계, 교수학습방법,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subject matters in high school's Korean Language Ⅱ textbooks for integrated environment education : focus on organization of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core competency-
dc.format.pagevi,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