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현-
dc.contributor.author우현주-
dc.creator우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4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9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40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achronic and developmental transformation of Park Wanseo's literature by analyzing the hospitality modes in her novels. It also suggests a new ethics in her novels, which has never appeared in previous studies. The hospitality is the ethics of community, which produces a responsibility of the subject on the boundary between the subject's responsibility for it and other's right for it. In the existing novel history, the discussion on the hospitality has been limited to the research searching out a method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subject's or other's epistemological identity issue and ethics. In Korean modern novel history, the real discussions on it began through representation, communication and association after 2000s when the 'multiculture' increasingly attracted atten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political power and authority which force an individual into other's situations, and other's active right for hospitality, who is coping with a hostile reality. This study establishes the hospitality layers of testimony, empathy and difference, by diachronically considering Park Wanseo's novels, and clarifies other's identity, who comes and goes across the boundaries of nation, city and family community. The hospitality of testimony means that the other's memory which has been excluded in the huge discourse of 'history' awakens the community which has forgot and been uninterested in it, through the partage. It focuses on the postwar novels with the background of Korean War among Park Wanseo's novels. An individual is isolated as the other by a neighborhood and nation's ideology changes and placed in an ex-position where he/she becomes a stranger by nation in the war where the hostility is routinized. The subject who has experienced the disorganization of his/her identity since 1970s internalizes the anti-Communist ideology, in order to be incorporated into the community. Individuals' disinterests along with the end of cold war ideology, who did not experience the war are violent for people who experienced it. In the hospitality of testimony, the identity of a witness crosses over from the other of experience to the subject of speech and involves the dualism of the object of hospitality and the subject of act. This study categorizes the Muselman character symbolizing a brother representation into the object of direct hospitality, and names his/her family excluded by nation's authority and common neighborhood, as the indirect hospitality. Damaged bodies and nonverbal speeches of characters, the objects of direct hospitality are the reports of 'inability to speak', which reveal an ethical abyss of the war. The objects of indirect hospitality are degraded into the others of the community in the rear of war, and divided into both characters that experienced the war and did not in their childhood. Some accidents covered along with repetitions of memory and oblivion return and dominate routines of the subject and impose the responsibility of memory on characters of the indirect hospitality. Here, the potentiality of memory brings about physical pains and psychological guilt and drive the hospitality of testimony while remaining as a sign of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ty. In addition, the others as objects of direct hospitality call for his/her memory in the moment of death and mourning, and attempt to speak the Sense of Resolution of Grievance. Their testimonies are the proof of human exist, who has been suppressed, and the partage of memories of accidents in the community. The hospitality of empathy is the ethics of selection, which means that the routine subject accepts and is sincerely responsible for coexisting with the mysterious other who he/she encounters. Park Wanseo's novels set the hierarchy of space derived from urban development and the conflicts of class division around cities created from capitalism and industrialization, as their backgrounds. The restless subject in the middle class, who exists in the urban community, recognizes an opportunity for his/her status elevation toward the upper class and the amassing a big fortune(致富) as losses. The competitive differentiation of the neo-liberal micro power marketizes all routines including education, dwelling and marriage, while intensively suppressing the subject. The society which promotes the competition attributes the contradiction of a system to selection and responsibility of individuals. In everyday life, the subject is turned to the sense of 'shame' for his/her worldly life. An individual who is confronted with his/her inner other through the shame, cracks the idle routine and has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authenticity due to the neighbor other. In the Park Wanseo's novels of manners, the others have been pushed from cities to satellites since 1970s, indicating that they have been relocated on the boundary space. They are placed in the wartime of capital, by mammonism and a sense of incongruity of the localized space. The individual who was the natives in the urban space before the development of it was relegated to the urban poor characterized by inferiority, complaints, immorality, insanity and abnormality, by invaders who became the settler in the space. The subjects who have lived as snobs while feeling languor and anxiety in their fixed routines, come to reflect their authenticity by encountering foreignness of the neighbor others. The fidelity of the subjects who are unconditionally responsible for the others by involving in the situation triggers the construction of community with a plural universality as well as an ethics of the hospitality of empathy which coexists with individual singularity. Moreover, as the anamorphic reality comes up to the surface, the others with sublimity of fascination and fear try to communicate and associate with another others and actively create the hospitality of empathy, in order to overcome the hostility. For the hospitality of difference, as a host of hospitality is relegated to the inner others and should behave according to the common sense, an interval occurs in the existing discourses and routines.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in individuals who attempts to re-regulate their identity through a dissonance based on equality discloses the possibility of hospitality containing the 'difference'. In the Park Wanseo's novels, although the old people are placed in the inside of family community, they experience the ex-timacy, as the inner others in the community, through a shift in generation due to their physical decline and economic loss. In addition, daughters or daughters-in-law, the subjects of care are also suppressed by patriarchal filial piety ideology, indicating that even female supports experience the ex-timacy in the family community. For the hospitality, as support subjects, females' emotional reciprocality, such as care for the others, emotional sensitivity and pity are more important than difficulty of care. It requires the self-awareness of equality which recognizes that old age is an inevitable human dependant stage. In the modern society, the old people are regarded as the nonsexual being whose economic/actual ability is exhausted in a public area and whose productivity is interrupted in a private area. They are the others with bodies which are evaluated as sterility of reproduction. In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the family community categorizes them as non-sexual or abnormality of excessive sexuality. They identify the pathos of body including revival of healthy life, disturbance of sexuality and discovery of sentiments, as a coping mechanism for the hostility. The old characters that objectify themselves in a critical condition of the hospitality stare at negativity of reality being hostile to old people and suggest multi-modes of the others. In the Park Wanseo's novel, as the base space in which the subject gives hospitality to the other is transferred from nation, through city, to family, the absoluteness of hospitality is increased, and furthermore, leading to even the hospitality toward the otherness of him/herself. Park Wanseo shows not only forceful and external conditions of reality, but also insight of routine hospitality even in the absolute area of death. In the diachronicity of her novels, the mode of hospitality goes beyond the coexistence with a plural University, and then, proceeds into deeper and wider thoughts in which present routines are re-divided and coexistence with a dissonance is contemplated. Park Wanseo's has an implication in a continuity of hospitality literature.;본 연구는 박완서 소설의 환대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박완서 문학의 통시적이고 발전적인 변모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한국현대소설사 내에서 환대의 본질을 탐색하고 본격적인 환대 문학의 연속성을 재고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기존 소설사에서 ‘환대(hospitality)’에 대한 논의는 주체 혹은 타자의 인식론적인 정체성 문제나 상호 간에 윤리를 통한 소통의 방법을 모색하는 연구에 편중되어 있다. 한국현대소설사에서 본격적인 타자의 환대 논의는 ‘다문화’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고찰되는 2000년대 이후 연구에서 타자의 재현, 소통, 연대 등을 통해 진전된다. 환대는 주체의 환대 의무와 타자의 환대(받을) 권리가 상충하는 그 경계에서 주체의 책임을 산출시키는 공동체의 윤리이다. 박완서 소설에서 적대와 환대가 각축하는 일상 공간은 공동체의 시대감각과 병행하여 구축된다. 박완서 소설은 일상의 미시화된 폭력으로 예외이자 틈으로 존재하는 타자와 이웃으로서 그를 환대하기 위한 주체의 간극을 밀도 있게 재현한다. 본 연구는 개인을 타자적 상황으로 유도하는 정치적인 힘, 권력의 문제를 고찰하고 적대의 현실에 대응하는 타자의 능동적인 환대 권리를 모색한다. 이런 문제제기는 본 연구가 박완서 소설의 통시적 고찰을 통해 정초한 증언, 공감, 차이의 환대 층위에서 국가, 도시, 가족 공동체의 경계를 오가는 타자의 정체성을 규명하고 존재의 다양태를 수용하는 주체의 수행 윤리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탐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대 주체와 타자의 인식론적인 정체성 연구에서 벗어나 주체, 타자, 공동체의 복합적인 연관성 안에서 환대의 공동체적 윤리를 정립하고 환대의 다양한 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통합적인 연구를 진행했다. 증언의 환대는 ‘역사’의 거대 담론 속에 배제되었던 타자의 기억이 분유하면서 망각과 무관심의 공동체를 각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개인의 기억과 망각을 획책하는 정치의 길항 관계 안에서 기억의 서사화를 통한 사건의 윤리는 증언의 환대를 가능하게 한다. 박완서 소설에서 증언의 환대는 한국 전쟁을 배경으로 한 전후 소설을 주로 대상으로 한다. 한국 전쟁의 폭력성으로 국가 이데올로기에 의한 억압과 생존 지향의 일상 공동체에 의해 누구나 타자로 소외되고 배제되는 불분명한 공동체의 외부에 놓인다. 적대가 일상화된 전쟁의 현실에서 이데올로기적 국가 주체의 변화에 따라 개인은 국가 공동체에 외존하는 이방인이 된다. 1970년대 이후 소설에서 정체성의 분열을 겪은 주체는 공동체 편입을 위해 반공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면서 기억의 망각을 강요하는 내부 폭력을 겪는다. 냉전 이데올로기의 종식과 더불어 전쟁을 미체험한 개인에 의한 무관심의 망각은 전쟁을 체험한 인물에게 폭력으로 남게 된다. 박완서 전쟁 소설에서 증언자의 정체성은 경험의 타자에서 발언의 주체로의 교차성과 환대의 대상이자 행위 주체의 두 가지 정체성을 포괄하는 이중성을 내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오빠 표상으로 상징되는 무젤만적인 인물을 직접환대 대상으로 분류하고 그의 가족으로 국가 권력과 일상의 이웃 공동체로부터 배제되는 인물을 간접환대 대상으로 명명했다. 직접환대 인물들의 훼손된 신체와 비언어적 발화는 ‘말할 수 없음’의 보고로 전쟁의 윤리적 심연을 노출한다. 전쟁의 후방에서 일상의 타자로 분류된 간접환대 대상은 공동체의 타자로 전락하고 유소년기 전쟁체험 인물과 전쟁 미체험 인물로 분화된다. 1980년대 이후 소설에서는 이들의 세대교체로 주체와 타자의 경계가 점차 무화되는데 전자의 인물은 증언의 주체와 정체성이 중첩된다. 기억과 망각의 반복 속에 은폐한 사건은 회귀하여 주체의 일상을 장악하며 주체에게 기억의 책무를 발현시킨다. 증언자에게 내포된 기억의 잠재태는 육체적 통증과 심리적 죄의식으로 변주되어 공동체와 소통의 징후로 남아 증언의 환대를 추동한다. 또한 직접환대 대상으로서 타자는 죽음과 애도의 절대 조건 앞에서 기억을 호명하며 해원의 발화를 시도한다. 그들의 증언은 당대에 억압되었던 인간의 존재 증명이자 사건의 기억을 공동체와 분유하면서 응답을 유도한다. 주체와 타자에 의해 분유되는 기억은 사건을 사후 복원하여 증언의 불가능한 환대를 공동체의 가능한 환대 윤리로 요청한다. 공감의 환대는 일상의 주체가 우연히 마주한 불가해한 타자와의 공존을 수용하고 충실히 책임지는 선택의 윤리 속에서 공동체의 현존을 사유할 계기가 된다. 박완서 소설은 자본주의 산업화로 탄생한 도시를 중심으로 도시개발에 따른 공간의 위계와 계급 분화의 갈등을 배경으로 한다. 도시 공동체에 내존하는 중산층의 주체는 상류층의 편입을 향한 신분상승의 기회와 치부(致富)의 결여를 상실로 여기는 불안의 주체이다. 신자유주의적 미시권력의 경쟁적 분화로 교육, 주거, 결혼에 이르는 모든 일상은 시장화되어 주체를 집중 억압한다. 경쟁을 부추기는 사회는 체제의 모순을 개인의 선택과 책임으로 전가한다. 생존을 위한 대결과 획일화된 일상에서 주체는 욕, 구역질, 알코올 중독, 잦은 외출 등의 반복 강박을 보이며 속물적인 삶에 대해 ‘부끄러움’의 감각으로 전회한다. 부끄러움을 통해 자신의 내부 타자와 대면한 개인은 안일한 일상에 균열을 내고 이웃 타자에 의해 진정성을 탐구할 계기를 맞는다. 1970년대 이후 박완서 세태 소설의 타자는 도시에서 외곽으로 밀려나 경계 공간에 재배치된다. 그들은 로컬리티적 공간의 위화감과 배금주의 사상에 의해 자본의 전시 상태에 놓이며 심리적 로컬화의 대상이 된다. 도시 개발 이전, 공간의 토착민이었던 개인은 거주자로 정착하는 유입자들에 의해 불량, 불만, 부도덕, 비위생, 비정상의 도시 빈민으로 전락한다. 박완서 소설에서 가난은 개인에게 한정된 문제가 아닌 경제적 공간의 위상변화와 맞물려 집단의 문제로 변모하며 계급 분화, 에토스적 정서, 주체와 타자의 가계 내력에 따른 수용력, 상호 소통에 기반한 희생의 환대 등 다기한 정조를 내포한다. 일상에서 가난을 감각하는 타자는 몸의 불구성, 잉여적 정체성, 이물성, 소문 등에 의해 현실에서 적대되면서도 주체의 배금주의적 시혜성과 관용의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그대로 반향한다. 타자적 정체성을 향해 인정투쟁을 벌이며 적대적 공간의 특성을 가시화하는 비판적 타자는 주체의 강압적 배제와 자의식적인 거리두기가 동시에 진행되는 상호작용을 재현한다. 결국 타성적인 일상에서 권태와 불안의 속물로 살아가던 주체는 이웃 타자의 이물성과 우연히 마주하며 자신의 진정성을 성찰하게 된다. 그 상황에 개입하여 타자를 무조건적으로 책임지는 주체의 충실성은 각자의 단독성(singularity)이 공존하는 공감의 환대 윤리이자 복수 보편의 공동체 구성을 촉발한다. 아울러 왜상적 현실의 표면화로 공포와 매혹의 숭고성을 지닌 타자는 적대의 극복을 위해 다른 타자와의 소통과 연대를 시도하며 능동적으로 공감의 환대를 창출한다. 공감의 환대는 숭고적 타자의 이해 불가능성을 포기하지 않고 절대적으로 환대하려는 주체의 선택 윤리와 적대 속에서도 다른 타자와의 연대로 공감력을 확장하는 타자의 공존에서 시작된다. 차이의 환대는 환대의 주인이 공동체 내부 타자로 전락하고 공통의 감각으로 취합되던 상식의 수행과정에서 기존 담론과 일상의 간극으로 발생한다. 평등에 기반한 불협화음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재규정하려는 개인의 감각의 분할로 ‘차이’를 내장한 환대 가능성이 노정된다. 박완서 소설의 노년은 가족 공동체의 내부에 자리하지만 육체적 쇠락과 경제력 상실로 세대교체하면서 공동체의 내부타자로서 내-외존한다. 또한 돌봄의 주체인 며느리나 딸 역시 가부장적인 효 이데올로기에 의해 억압당하면서 가족 공동체 내에서 여성 부양자도 내-외존한다. 또 다른 환대 주체인 남성은 부양의 의무를 여성에게 전가한 채 부양자의 권위만을 누리며 피부양자인 노년조차 화목한 가정의 관상용 돌봄 대상이 되는 기형적 가부장성을 구성한다. 추체험적인 노년의 돌봄이 가부장적인 효부 이데올로기를 극복하는 계기는 주체의 각성에 있다. 차이의 환대는 돌봄의 물리적 강도보다 부양 주체인 여성의 타인에 대한 배려와 정서적 민감성, 연민 등 감정적 교호를 통해 생물학적으로 노년이 불가피한 인간 의존의 단계임을 깨닫는 평등의 자각을 필요로 한다. 현대 사회에서 노년은 공적 영역에서 경제적․ 현실적 능력의 소진과 사적 영역에서 생산이 중단된 무성적 존재로 취급되면서 재생산의 불모로 평가되는 몸의 타자이다. 가부장성에 익숙한 노년 세대와 일상의 노년에 대한 상식의 낙차는 가족 관계를 단절한다. 소통의 부재 속에 가족 공동체는 노년을 무성 혹은 과도한 성욕의 비정상으로 분류한다. 노년은 건강한 생명의 부활, 섹슈얼리티의 교란, 정념의 발견 등 몸의 파토스를 적대의 대응 기제로 선택한다. 노년 타자의 섬세한 생의 감각은 제도 권력의 미의식, 소비 능력 위주의 현실관, 사회적 능력의 가치를 우선하는 기존 담론을 재분할하며 역능성을 보인다. 한편 돌봄과 경제적인 문제에서 자유로운 노년 인물은 노년의 정체성 재정립에 관심을 갖는다. 가족 중심의 대표적인 중산층의 삶을 영위하던 노년은 점차 타자에 대한 존재론적이며 철학적인 사유의 지평을 넓히면서 환대의 범주를 확장한다. 죄, 자유, 문명, 삶, 죽음 등 추상적인 개념을 일상에서 고찰하면서 노년 인물은 타자의 개별적인 상황에 감응하고 존재론적 탐구를 통해 가족 안위 중심의 한계를 극복한다. 환대의 경계에서 노년 스스로를 대상화하는 노년 인물은 노년을 적대하는 현실의 부정성을 직시하고 타자의 다양태를 제시한다. 그들은 주어진 현실을 모방적으로 수행하면서 기존 담론을 오염시킨다. 박완서 소설에서는 분열과 갈등의 시간을 지나 삶과 죽음의 임계적 상태를 고찰하고 노년의 존재론적 성찰을 추구하는 노년 인물과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각성하며 노년을 객관화하는 주체의 공생이 시도된다. 작가는 공동체에 의해 상식으로 규정된 비정상적 성, 전근대성, 비합리성 등의 적대적 노년상을 노년의 일상적 다양태로 대응하면서 불평등 구조에 평등의 윤리로 개입하여 차이를 환대한다. 환대의 양상은 결과론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닌 여러 관계망 속에서 변화되고 견지되는 과정 중에 구성된다. 박완서 소설은 주체가 타자를 환대하는 거점 공간이 국가, 도시, 가족으로 전이될수록 환대의 절대성은 커지며 그 너머에 주체 자신의 타자성을 향한 환대로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흐름은 인간의 존재론적 본질에 대한 사유가 절대적인 환대의 본질에 대한 탐구로 이어지는 작가의식의 발로에 기인한다. 박완서는 현실의 강압적인 외적 조건만이 아니라 죽음의 절대영역까지 일상에서 환대하는 통찰을 보인다. 박완서 소설의 통시성 속에서 환대의 양상은 복수 보편의 공존을 넘어 현재적인 일상을 재분할하며 불협화음의 공생을 관조하는 더 넓고 깊은 사유로 나아간다. 본 연구는 박완서 소설의 환대 양상을 연구함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볼 수 없던 박완서 소설의 새로운 윤리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1970년대부터 환대의 아젠다를 내장한 박완서 소설을 통해 환대 문학의 연속성 차원에서 그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박완서 소설은 당대의 일상을 재현함으로써 현재의 일상에 투사하는 문학이며 공동체의 이타적 윤리를 지향해 가는 환대의 문학으로서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연구사 검토 1 B. 연구 방법론 및 연구 대상 19 Ⅱ. 국가 공동체의 분유와 증언의 환대 40 A. 주체의 외존과 정체성의 분열 41 1. 이방의 배제와 적대의 일상화 41 2. 주체의 결핍과 은폐된 사건의 재귀 48 B. 전쟁의 폭력과 타자의 예외성 58 1. 반공 이데올로기의 내면화와 기억의 공모 58 2. 실어적 타자의 발화와 전쟁 체험의 편재 66 C. 기억의 환기와 사건의 윤리 80 1. 기억 책무의 주체와 소통의 징후 81 2. 기억 호명의 타자와 해원(解寃)의 발화 89 Ⅲ. 도시 공동체의 책임과 공감의 환대 97 A. 주체의 내존과 계층의 불안 98 1. 미시권력의 경쟁적 분화와 집중적 억압 98 2. 주체의 환멸과 부끄러움의 전회 114 B. 자본의 전시와 타자의 경계성 135 1. 로컬리티의 차별과 배금주의 137 2. 비판적 타자의 반향과 정체성 교란 149 C. 복수 보편성의 공존과 선택의 윤리 172 1. 주체의 개입과 진정성의 회복 174 2. 이물성의 수용과 숭고적 타자 연대 184 Ⅳ. 가족 공동체의 수행과 차이의 환대 193 A. 주체의 내-외존과 생명의 돌봄 194 1. 추체험적 미래와 관습의 거부 195 2. 주체의 각성과 일상의 균열 213 B. 노년의 소외와 타자의 역능성 225 1. 가부장의 실추와 관계의 단절 226 2. 감각적 타자의 몸과 정념의 재생 233 C. 일상의 재분할과 평등의 윤리 251 1. 임계적 일상과 관조적 주체의 공생 251 2. 타자의 부정성 직시와 전복적 모방 263 Ⅴ. 결론 271 참고문헌 281 Abstract 2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678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박완서 소설의 환대 양상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Hospitality Mode in Park Wanseo's Novels-
dc.creator.othernameWoo, Hyun Ju-
dc.format.pagevi, 301 p.-
dc.contributor.examiner정우숙-
dc.contributor.examiner신수정-
dc.contributor.examiner차미령-
dc.contributor.examiner연남경-
dc.contributor.examiner김미현-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