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2 Download: 0

조선후기 백자 주자(注子)의 발달배경과 양식

Title
조선후기 백자 주자(注子)의 발달배경과 양식
Other Titles
Development Background and Style of white Porcelain Ewer(注子, Juja) of Late Joseon Dynasty
Authors
최성지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 백자 주자를 대상으로 개념과 연원, 명칭과 용례, 백자 주자의 발달 배경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양식을 분석하여 제작 요인에 대한 규명을 시도한 글이다. ‘注子’는 술 또는 차와 같은 액체의 보관과 함께 따르는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물이다. 일반적으로 동체에 注口와 손잡이가 부착된 것을 주자로 규정하며, 뚜껑 및 承盤은 그 有無가 다양하다. 주자의 재질은 청자·분청사기·백자 등의 磁器製와 금·은·유기 등의 金屬製 그리고 漆器·木器·玉器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후기 백자 주자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주자의 시원적인 형태는 신석기시대 등장한 盉에서 찾을 수 있다. 삼국시대 말기에 제작되기 시작한 鷄頭壺는 자기제 주자와 가장 유사한 조형을 가지며 唐代 출현한 주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자의 기능적 목적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有孔廣口小壺를 주자의 원류로 보았다.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면 주구와 손잡이를 갖춘 완전한 형태의 도기 주자가 등장하며 고려시대에는 자기제 주자가 제작되기 시작한다. 백자 주자는 조선후기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생산되는데 이는 국내에 유입되었던 중국 주자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명칭도 중국으로부터 받아들여 注子, 酒注(子), 執壺, 茶甁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명칭들은 기능, 기형, 용도 등에서 유래하였으며, 그 용도를 주기용, 다기용, 약탕기용, 완상용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의례용 및 국가 간의 교신물로 사용되어 주자가 가치 있는 기물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조선후기 백자 주자의 발달 요인은 차와 술과 관련한 식문화사적인 측면에서 찾을 수 있었다. 조선후기 飮茶文化가 이전에 비해 두드러지게 그 위상이 높아지면서 다기의 수요가 증가하였다. 이때 제작된 백자 주자의 조형은 飮茶法이 點茶法에서 泡茶法으로 이행하면서 나타난 것으로 보았다. 이는 사행무역과 사상무역 또는 표류민에 의해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주자와 음다법의 영향으로 파악하였다. 한편 동시기 증류주가 대중적인 술로 자리 잡고 1876년 일본의 강제 개항에 의해 조선에 본격적으로 외국주류가 유입되면서 주류의 다양화는 백자 주자의 효용성을 증대시켰을 것으로 보았다. 또한 조선말기에는 선술집, 내외주점, 기방, 요리옥 등이 성업하여 백자 주자의 사용이 저변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국내외 박물관과 미술관에 소장된 전세품을 중심으로 조선 백자 주자의 양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백자 주자의 기형은 크게 7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주자는 일차적으로 동체부의 형태에 기준으로 Ⅰ유형은 圓筒形, Ⅱ유형은 甁形, Ⅲ유형은 球形, Ⅳ유형은 壺形, Ⅴ유형은 角形, Ⅵ유형은 象形으로 나누었다. 기타유형은 수량이 적어 유형으로 나눌 수 없는 것들을 분류하였다. 이들 유형은 손잡이의 위치, 몸체의 형태 등에 따라 13가지 형식으로 세분된다. Ⅰ유형과 Ⅱ유형은 조선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 외 나머지 유형은 조선후기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유형 중 Ⅲ유형은 전세품이 가장 많이 남아있었으며 동시기 중국과 일본에서도 가장 많이 확인 되는 유형으로 동양 삼국에서 공유되어져 온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Ⅵ유형는 중국 의흥요와 덕화요에서 만들어진 주자와 기형적 유사성을 보여 중국 주자의 영향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기타유형은 외래적인 요소가 짙게 밴 기물들이 많은데 이는 19세기 후반 활발하게 유입된 일본과 서구 문물의 영향으로 보인다. 특이할 점은 당시 유행하는 다른 기종을 차용하여 주자를 제작한 경우가 있으며, 금속기와 목기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을 모방하여 주자의 장식요소로 사용하였다. 문양은 모란문, 매화문, 국화문 등이 나타나는데 대체로 조선후기 백자에 유행하던 문양이 시문되었다. 양식 분석을 통해 백자 주자의 제작은 늦어도 15세기 3/4분기에는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며, 18세기 후반부터는 새로운 조형의 백자 주자가 생산되기 시작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토대로 백자 주자의 성격과 의의를 5가지로 정리하면, 첫째, 백자 주자는 음다·음주문화와 같은 식문화의 발달과 궤를 같이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조선이 국제 조류의 흐름을 같이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셋째, 외래 자기의 영향을 받았지만 이를 조선의 독자적인 형태로 발전시켜 나갔다. 넷째, 타기종의 백자뿐만 아니라 금속기·목기 등과 같은 다른 재질의 기물과도 상호연관성을 지니는 기물이다. 다섯째, 조선후기 여가문화 및 유흥문화가 흥기하면서 이에 발맞춰 새로운 조형이 등장하고 그 수요가 증가하였다는 점에서 소비문화를 대표하는 기종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조선후기 백자 주자를 공예사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식문화사의 연관성 속에서 고찰함으로써 백자 주자의 제작과 발달배경을 밝혀내는데 어느 정도 근거를 제시하였다고 생각한다.;This study looked closely into the concept, origin, name and usage of Joseon Dynasty’s white porcelain Ewer(注子, Juja), and by studying the development background of white porcelain ewer, analyzed the style and attempted to discover the cause of its creation. ‘Ewer’ is a type of pottery made to store liquid such as liquor or tea and to pour its contents. Generally speaking, an ewer is defined as a container with a spout and a handle attached to the body, and the existence of lid and/or saucer can differ. The material of an ewer can be porcelain, such as blue porcelain, grayish-blue-powdered celadon, or white porcelain; metal, including gold, silver or brass; lacquer, wood, jade, etc. This paper focused on white porcelain ewer of late Joseon Dynasty. The origin of ewer’s shape was found in he(盉) that appeared in the Neolithic Era. The chicken head ewer(鷄頭壺) that begun to be made at the end of the Era of Three Countries resembles the porcelain ewer the most in shape, and is presumed to have had a direct impact on ewer that appeared in the Tang Dynasty. In Korea, the pottery jar with wide mouth and a hole (有孔廣口小壺) was seen as ewer’s origin as it had the same functional purpose. In the Unified Silla Era, earthen ewer in a complete form with a spout and a handle appears, and in Goryeo Dynasty, porcelain ewer starts being produced. The white porcelain ewer is produced in full sca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 is presumed that it was influenced by the domestic inflow of Chinese ewers. Its name also came from China, and had various versions such as Juja (注子) Juju(ja) (酒注(子)), Jibho (執壺), and Dabyeong (茶甁). The names originated from its function, shape, and usage, and it was discovered that the ewer was used for pouring liquor, pouring tea, boiling medicines, and artistic appreciation. In particular, as it was also used for ceremonies and gifts between countries, it can be assumed that the ewer was quite valuable. The cause of development of the white porcela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uld be found in food culture related to tea and liquor. The status of food culture grew significantly in late Joseon Dynasty compared to before, increasing the demand for tea ware. The shape of white culture ewer that was created at this period can be attributed to the change in ways of drinking tea – from preparing tea from powder to brewing tea from tea leaves. This could have been influenced by the domestic influx of ewer from China through envoy trade, merchant trade and nomadic people, and by change in ways of drinking tea. Meanwhile, as distilled liquor became popular at that time, and as foreign liquor made its way into Joseon as a result of coerced opening of the ports by colonial Japan in 1876, liquor became diversified, which in turn could have increased the efficacy of white porcelain ewer. Also, the thriving business of pubs, bars, brothels, and fancy restaurants in late Joseon is thought to have led way to more widespread use of white porcelain ewer. Next, the Joseon white porcelain ewer collection of museums and galleries home and abroad were analyzed for its style. As a result, the shape of white porcelain ewer could be categorized into broadly 7 types: based on the shape of the body, (Ⅰ) barrel type, (Ⅱ) bottle type, (Ⅲ) sphere type, (Ⅳ) jar type, (Ⅴ) angulate type, (Ⅵ) pictorial type, and others. ‘Others’ comprised of ewer shapes that cannot be categorized individually because they were too few in number. These types again can be categorized into 13 types based on its handle location, body shape, etc. Type Ⅰ and Ⅱ is presumed to be created in early Joseon Dynasty, and other types to be appeared mostly in late Joseon Dynasty. Among various types, type Ⅲ had the most artifacts in number, and as they are identified the most in China and Japan in the same period, it can be judged that the type was shared in the three countries of the East. Especially, Type Ⅵ showed the most similarity in form with ewers made in Yixingyao(宜興窯) and Dehuayao(德化窯) of China, showing clearly the influence of Chinese ewer. ‘Others’ had many pieces with foreign elements deeply embedded in them, and this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active inflow of Japanese and Western artifacts. One thing to note is that there were ewers created using popular styles of other types of pottery at that time, and those imitating decorative elements with features only exhibited in metal ware and wooden ware. For design, there were peony, plum blossom and chrysanthemum, which were popular designs of ewer in the late Joseon era. Based on the style analysis, it is presumed that the creation of white porcelain ewer begun in the third quarter of the fifteenth century at the latest, and from the eighteenth century, new styles of white porcelain ewer started to be produced.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white porcelain ewer based on the research until now: (1) the development of white porcelain ewer coincided with food culture such as drinking tea and liquor; (2) the style of Joseon conformed to the international flow; (3) although influenced by foreign porcelain ware, Joseon developed its independent style; (4) it shares interconnectivity with other pottery – not just different white porcelain ware but thos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such as metal and wood; (5) As leisure and nightlife culture thriv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new shapes appeared and its demand increase, making the white porcelain ewer the type of pottery that represents the consumption culture. I believe that this paper has presented a certain amount of evidence to not only the craft history of white porcelain ewer of the late Joseon, which has barely been studied until now, but also to the production and development background of white porcelain ewer by considering the aspect of food culture histo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