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만길-
dc.contributor.author공세옥-
dc.creator공세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4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445-
dc.description.abstractOur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has been changed depending on the emphasis on the value of Korean regime and the relationship of the regime and North Korea situation. Those changes in this situation reunification with North Korea problem in our society makes a political issue and exhausted debates in the education field. This study is the purpose to suggest whether there is a unified educational feasibility and preparing the way of the objective and reasonable unification education while becoming change of unified educational emphasis on the value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age in what circumstances. And German reunification education practices were considered as a case that present a desirable improvement direction because they had similar history as compared with our situation. When viewed through the German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goal of unification education, we need be oriented uniform ahead as to have a forward-looking unification perspective and balanced perspective for North korea. On top of that, we should highlight a priority t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participation awareness of the unity and create a detailed targets unification education guidelines prescribed for accordingly, and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main objective to have citizenship education, peace education and national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o give the chance to create opportunities for understanding and objective criticism of North Korea. In addition, in order to train students with a true unified commitment and ability to learn, it is also important ways of unification education. This requires diverse and reliable unified textbooks should provide sufficien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tudent-led participation theoretical or valuable practical learning through a variety of experiential learning outside the education process of normative center enforcement and needs a unified education through a variety of media that can lead to students' interests rather than the teacher, instructor-led unification education center operated. In other words, the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is to help to foster the reunification commitment to the students and achieve a democratic and peaceful reunification. I hope to continue further research on the unification because it is the basis on objective understanding and judgment on unification with North korea.;우리 학교통일교육은 정권의 가치와 북한의 관계 상황에 따라 통일교육의 중점 가치가 변화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따른 변화는 우리 사회에서 통일과 북한 문제는 자주 정치적인 쟁점이 될 뿐만 아니라 교육현장에서도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시대 상황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의 통일교육 중점 가치가 변화되는 것은 남북통일의 길을 준비하는데 일관성이 없음으로 무엇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이며 실현가능성이 있는 통일 교육인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와 유사한 분단의 역사를 가진 독일의 통일교육 사례를 고찰해 봄으로써 우리 통일교육의 현주소와 비교해 보면서 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독일의 학교통일교육을 통해서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볼 때 우리가 지향해야할 통일교육의 목표는 현재와 같이 미래지향적 통일관, 균형있는 북한관을 갖게 하는 것에 앞서서 통일은 우리의 목표임을 분명히 하여 통일에 대한 당위성을 인식함으로 학생들에게 통일의식과 의지를 고취하여 통일에 대한 책임의식과 참여의식을 갖게 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강조하면서 이에 따른 세부목표를 정하여 통일교육지침서를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지침에 기초하여, 통일교육의 방향은 민주시민교육, 평화교육, 그리고 민족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되 북한사회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와 비판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고 요약할 수 있다. 즉, 학교통일교육은 학생들에게 민족 통일 의지를 함양하여 민주적이고 평화적인 통일을 이룩할 수 있도록 책임의식을 갖게 하는 것이고 통일 문제에 대한 객관적 이해와 판단 능력의 기준이 되는 것임으로 앞으로도 건설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있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2 Ⅱ. 남북통일의 성격과 통일교육 4 A. 한반도 통일 문제의 성격 4 B. 분단의 원인과 통일을 위한 당위성 5 C. 학교통일교육의 변화 9 1. 반공교육에서 통일안보교육으로 9 2. 통일안보교육에서 통일교육으로 12 3. 평화공존에 기초한 통일교육 14 D. 현행 학교통일교육의 실태와 문제 16 1. 학교통일교육의 근거 16 2. 학교통일교육의 분야별 지도 방향 17 3. 현행 학교통일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 18 Ⅲ. 독일 통일의 교훈과 통일교육 22 A. 독일 통일 배경과 교훈 22 1. 독일 통일의 배경 22 2. 독일 통일이 남북한 통일에 주는 교훈 25 B. 통일 전 서독의 통일교육 28 1. 통일 전 서독의 민주시민(정치)교육 29 2. 통일 전 서독의 학교통일교육 31 3. 서독 학교통일교육의 목적과 내용 42 C. 독일 통일교육이 주는 시사점 47 1. 학교통일교육의 목적 48 2. 학교통일교육 기본지침 48 3. 학교통일교육의 내용 49 4. 학교통일교육의 방법 51 Ⅳ. 학교통일교육의 개선 방안 53 A. 학교통일교육의 개선을 위한 논의 53 B. 학교통일교육 방향의 제언 54 1. 민주시민의 자질 육성 54 2. 평화능력의 함양 56 3. 열린 민족공동체 의식의 형성 57 4. 북한사회에 대한 이해와 비판 59 C. 학교통일교육 방법의 제언 60 1. 다양하고 신뢰성 있는 통일교재 60 2. 개방적이고 민주적인 토의식 통일교육 62 3. 체험 학습을 통한 통일교육 63 4. 다양한 매체를 통한 통일교육 64 Ⅴ. 결론 66 참고문헌 70 ABSTRACT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94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독일의 통일교육 교훈을 통한 학교통일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ducational direction for national unification in school through unification education of Germany-
dc.format.pageiv, 73 p.-
dc.contributor.examiner조경원-
dc.contributor.examiner이지애-
dc.contributor.examiner한만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