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숙-
dc.contributor.author현혜선-
dc.creator현혜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3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33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STEAM 교육에 기반한 창작무용 수업이 중학교 1학년 여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더 나아가 융합형인재 양성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J중학교 1학년 여학생 총 4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각 20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집단 간의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STEAM 교육에 기반한 창작무용 수업을 블록타임제로 90분씩 총 8차시로 하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일반 체육 수업을 블록타임제로 90분씩 총 8차시로 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학습지도안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백윤수 외(2012)에 의해 개발된‘STEAM 교육 수업 기획 및 설계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측정 도구로는 김아영, 박인영(2002)이 개발하고 타당성이 검증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개발된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하위요인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SPSS/WIN 프로그램(ver 22.0)의 차이 검증(t-test)을 사용하여 두 집단의 유의도를 검증하고 분석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STEAM 교육에 기반한 창작무용수업 프로그램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학교 교사경력 5년 이상의 교사 4명으로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STEAM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비교적 높은 타당도 평가를 받았다. 둘째, STEAM 교육에 기반한 창작무용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더 유의한 향상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 -8.73, p<.001). 셋째, STEAM 교육에 기반한 창작무용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 요인 중 자기조절효능감(t= -5.760, p<.001), 자신감(t= -4.710, p<.01), 과제난이도선호(t= -4.960, p<.01) 에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체육교과에서도 학생들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폭넓은 사고를 함양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서 STEAM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대상으로 선정된 중학교 시기는 신체의 성장과 사고의 변화가 많은 시기이며 사회성 및 정서적 발달이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학교 체육교과에서 STEAM 교육에 의한 교육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STEAM 교육에 기반한 창작무용수업 프로그램은 융합형인재 양성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더불어 체육교과와 STEAM 교육방법을 접목한 창작 프로그램과 교수-학습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e thesis seeks to explain how creative dance classes based on STEAM approach affect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first grad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it intend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on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nurturing STEAM talents. 40 students were selected from a female middle school in Gyeonggi Province and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with 20 subjects assigned to each group. The experimental class was taught using the STEAM approach and the comparison one taught using the traditional approach. The research then examined through a pretest­posttest design whether the experiment could produc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Check­list for projecting and designing STEAM approach classes’, a form invented by Yoon-soo Baek and others(2012)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methods, was used as an assessing tool to evaluate how classes based on STEAM approach affect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students. To measure academic self­efficacy, the research utilized the‘index of academic self­efficacy’of Ah­young Kim, In­young Park(2002).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ased on STEAM approach was tested through analyzing the data, and t­test was applied to examine the differential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its components between the two groups. Lastly, the research used the SPSS/WIN program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collected data.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figure the expert groups as a teacher four people five or more years of school teaching experience for the validation of creative dance classes based on the STEAM education developed in this research program using the 'STEAM checklist was relatively high validity assessmen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had received the creative dance class based on STEAM approach showed higher academic self­ efficacy than the comparison group(t=-8.73, p<.001).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had received the creative dance class based on STEAM approach showed higher self­regulatory self­efficacy(t=-5.760, p<.001), self­confidence(t=-4.710, p<.01),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than the comparison group, than the comparison group(t=-4.960, p<.01). this is a component of academic self-effica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highly required to adopt the STEAM approach in physical­education classes for recognizing the diversity of the students and broadening the scope of their thinking. Students face rapid changes in thinking and body growth during middle school, and developing social and emotional aspects is crucial during this period. Therefore, creative dance program based on STEAM approach could provide an important preliminary data for nurturing STEAM talents. Hopefully, researchers will keep working on creative programs which applies the STEAM approach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proposing a variety of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creativ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C. 연구의 제한점 6 D. 용어의 정의 7 II. 이론적 배경 10 A. STEAM 교육 10 1. STEAM 교육의 개념 10 2. STEAM 교육에서 예술(Art)의 역할 16 3. STEAM 교육 체크리스트 18 4. STEAM 교육 실행을 위한 이론적 모형 21 5. STEAM 교육 수업 프로그램 설계 절차 모형 23 B. 창작무용 26 1. 창작무용의 개념 26 2. 창작무용의 교육적 가치 27 3. 중학생의 창작무용 29 C. 학업적 자기효능감 30 1. 자기효능감의 개념 30 2.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개념 및 특성 31 III.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4 A. 연구 대상 34 B. 연구 절차 34 C. 연구 도구 36 1. STEAM교육에 기반한 창작무용 수업 프로그램 개발 36 2. 수업지도안 타당도 검사 48 3. 자기효능감 검사 50 D. 자료 처리 51 IV. 연구결과 및 논의 52 A. 연구 결과 52 B. 논의 61 Ⅴ. 결론 및 제언 64 A. 결론 64 B. 제언 66 참고문헌 67 부록 76 ABSTRACT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017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STEAM 교육에 기반한 창작무용수업이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reative Dance Classes Based on STEAM Approach affect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first Grad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Hyun, Hye Seon-
dc.format.pagevii, 93 p.-
dc.contributor.examiner신은경-
dc.contributor.examiner안혜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