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8 Download: 0

예술고등학교 무용교사의 지도행동유형이 무용전공학생의 내적동기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예술고등학교 무용교사의 지도행동유형이 무용전공학생의 내적동기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Instruction Types of Dance Educators in High School for Arts on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of dance major students
Authors
장안리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mpirical effects of instruction types of dance educators in high school for arts on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of dance major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of dance major students. 400 dance major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high school for arts around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of the research survey. Excluding thirty questionnaires with undependable answers, 37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ctual analysis. The survey selected questions for personal characteristics as the background variable, questions for instruction types of dance educator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questions for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of dance major students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4 questions for general characteristic factor, 31 questions for instruction type, 18 questions for intrinsic motivation and 12 questions for creativity.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 First, the differences in the instruction types of dance educat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 factors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sex of students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social behavior type and democratic behavior type, and the age of students indicates that authoritative behavior type and democratic type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The length of dance education of the students was not affected from instruction types,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There is statistical significance from the differences of general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students, and also from the differences of ages in interest/enjoyment.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s in the sex, the age, the major, and the length of dance education of the students from creativity such as creative motivation, creative attitude and creative ability. For data processing to verify research question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WIN 21.0 program. Secondly, considering the correlations between instruction types,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the intrinsic motivation of dance major students has high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instruction types in order of positive compensation behavior type, training and directive behavior type, democratic behavior type and social behavior type. Specifically, intrinsic motivations like interest/enjoyment and effort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training and directive behavior type, social behavior type, democratic behavior type and positive compensation behavior type. On the other hand, intrinsic motivations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authoritative behavior type, and especially, tension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authoritative behavior type and democratic behavior type. Thirdly, it was verified that the instruction types of dance educators significantly affect intrinsic motivation of dance major students in order of positive compensation behavior type and authoritative behavior type. In other words, the more dance major students perceive positive compensation behavior type of the educator, the more students have intrinsic motivation. Fourthly, it was verified that the instruction types of dance educators significantly affect creativity of dance major students. The instruction types affect creativity of dance major students in order of authoritative behavior type and democratic behavior type. It means that the more students perceive authoritative behavior type and democratic behavior type, the more students have creativity. Fifthly, it was identified that the intrinsic motivation of dance major students has statistical influence on students’ creativity in order of capability, interest, enjoyment. It means that the more dance major students have intrinsic motivation, the more students have creativity.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the instruction types of dance educators in high schools for arts make effect in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creativity of dance major students. Consequently, dance educators should lead their classes with analytic and systematic instruction types. Furthermore, dance educators should also constantly study their teaching methods to develop interest, attention, intrinsic motivation of students.;본 연구는 예술고등학교 무용교사의 지도행동유형이 무용전공학생의 내적동기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예술고등학교 무용교사의 효과적인 지도행동유형과 무용전공 학생들의 내적동기 및 창의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2016년 4월 8일부터 4월 30일까지 서울·경기도 소재의 예술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학생들 400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조사내용이 일부 누락·이중 기입된 설문지 30부를 제외한 총 370부의 자료가 실제 분석에 활용되었다. 배경변인으로는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을 묻는 문항, 독립 변인으로는 예술고등학교 무용교사의 지도유형을 묻는 문항, 종속변인으로는 무용전공학생의 내적동기와 창의성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무용 교사의 지도유형 측정도구로는 Chlladurai and Saleh(1978)가 개발한 스포츠지도자 행동검사지(ledership scale for sports: LSS)를 김병헌(1990)이 한글로 번안하고, 윤현정(2004)이‘무용교사의 교수방법이 무용전공 학생의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내적동기를 알아보는 측정도구로는 Mcauley, Duncan, Tammen(1989)이 개발하고 국내의 엄성호와 김병준(2003)이 번안하여 사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창의성 측정도구로는 Zhou & George(2001)가 개발한 측정도구를 토대로 이춘종(2006), 최웅철(2013)이 번안한 척도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대상에 부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4문항, 지도행동 유형 31문항, 내적동기 18문항, 창의성 12문항으로 총 6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무용전공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Scheffe의 다중범위 검정(Scheffe's multiple range test)과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 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무용교사의 지도행동유형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성별에 따라서는 사회적 행동형과 민주적 행동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무용전공 학생들의 학년에 따라서는 권위적 행동형과 민주적 행동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무용전공 학생들의 전공에 따른 긍정적 보상 행동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무용전공 학생들의 무용경력에 따른 차이는 무용교사의 지도행동유형, 내적동기, 창의성 모두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전공 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내적동기의 차이에서는 성별에 따라서 흥미/즐거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년의 차이에 따라서는 흥미/즐거움과 긴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창의성인 창의적 동기, 창의적 태도, 창의적 능력에서는 성별, 학년, 전공, 무용경력에서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교사의 지도행동유형과 무용전공 학생들의 내적동기, 창의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무용전공 학생들의 내적동기는 무용교사의 지도행동유형의 긍정적 보상행동형, 훈련 및 지시행동형, 민주적 행동형, 사회적 행동형 순으로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내적동기의 흥미/즐거움과 노력이 무용교사의 지도행동유형의 훈련 및 지시행동형, 사회적 행동형, 민주적 행동형, 긍정적 보상행동형과는 정(+)의 상관이 있었고, 권위적 행동형과는 부(-)의 상관이 있었으며, 긴장은 권위적 행동형과 민주적 행동형에서 부(-)의 상관이 있었다. 무용전공 학생들의 창의성은 무용교사 지도행동유형의 민주적 행동형, 사회적 행동형, 긍정적 보상행동형, 훈련 및 지시 행동형, 권위적 행동형의 순으로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창의성의 창의적 동기, 창의적 태도, 창의적 능력 모두가 무용교사의 지도행동유형과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전공 학생들의 창의성은 내적동기에서 유능성, 흥미/즐거움, 노력, 순으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세부적으로는 창의성의 동기, 창의적 태도, 창의적 능력 모두 내적동기의 흥미/즐거움, 유능성, 노력과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교사의 지도행동유형이 무용전공 학생들의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보상행동형과 권위적 행동형 순으로 내적동기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무용교사의 긍정적 보상행동형을 높게 인식할수록, 권위적 행동형을 낮게 인식할수록 무용전공 학생들의 내적동기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무용교사의 지도행동유형이 무용전공 학생들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위적 행동형과 민주적 행동형 순으로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무용교사의 권위적 행동형과 민주적 행동형을 높게 인식할수록 무용전공 학생들의 창의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무용전공 학생들의 내적동기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능성, 흥미/즐거움 순으로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무용전공 학생들의 유능성과 흥미/즐거움이 높을수록 창의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예술고등학교 무용교사의 지도행동유형이 무용전공학생의 내적동기와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예술고등학교 무용교사는 분석적이고 체계적인 지도행동유형을 통해 효율적으로 수업을 이끌어 가며, 무용전공학생의 흥미와 관심, 내적동기 유발을 통하여 잠재적인 능력을 이끌어낼 수 있게 끊임없이 연구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