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택-
dc.contributor.author최인숙-
dc.creator최인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2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283-
dc.description.abstract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public sector on the career prospects of female managers. Specifically, I would lik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mediated by social network on career prospects. In the era of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female participation in the labor force is a major policy issue to maintain national economic competitiveness. However, female economic participation rate in Korea is only 51.8%, well below that of male with 73.8%. The economic participation rate of highly educated female is 62%, which is much lower compared to the OECD average of 82.5%. The Korean government is pushing key policies, including the‘Affirmative Action(AA)' and ‘Female Managers in Public Institutions Objective System' to encourage female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This study focuses on females’career prospect to management positions and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public institutions on the career prospects of female managers. An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social networks' have a certain effect on the career prospects. The research therefore is as follows. First, it will examin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female managers’career prospects. Second, it will explore what kind of effect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have on social networks. Third, it will investigate what kind of influence the perception of social networks has on career prospects. Fourth, the study will empirically verify what mediation social networks have in relation to organizational culture and career prospects. Surveys and interviews of female managers in public institutions were used as a research method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 472 surveys were collected after distributing a total of 820 surveys in 62 public institutions, 456 cases were used in the actual analysis.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both in-depth interviews and through written interviews with 12 peopl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in variables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The mediating effect was investigat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Interview results were utilized to support the interpretation of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er awareness of rational culture and developmental cultur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prospects of female managers. Group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i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career prospects of female managers. Second, females,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ey belong to, appear to have a positive perception on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confirming the assumption that social network is an important factor in career development such as promotions. Thir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social network effect, the more positive effect was shown on career prospects. Fourth, social network is found to have a mediated effect in organizational culture on career prospects. Mediating effects were partly shown in rational culture and developmental culture, whereas in group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 a full-mediated effect was demonstra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one of the few empirical studies to investigate female subjects in the public sector; and that it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Female Managers in Public Institution Objective’based on the findings. It also suggests the need for an effective strategy to leverage social networks, which is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in female career prospects.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did not fully reflect comparative analysis of institutions as the research method based individuals for the unit of measure. In addition, the study is limited to a cross-sectional survey, which focused on subjective evaluations rather than objective factors such as the amount of wage and promotion opportunity as indicators for career prospects. For further research, a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 institutions and longitudinal studies could b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effect of social networks with a larger sample.;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의 조직문화가 여성관리자의 경력전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제까지 많은 선행연구들이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이나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효과에 집중되어 왔으며, 개인 차원의 경력전망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특히 공공기관에 재직하는 여성관리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공기관 여성관리자가 인식하는 조직문화가 경력전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조직문화와 경력전망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네트워크가 어떤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이 여성관리자의 경력전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둘째, 조직문화 인식이 사회적 네트워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셋째, 사회적 네트워크에 대한 인식이 경력전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넷째, 조직문화와 경력전망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네트워크가 갖는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공공기관 여성관리자에 대한 설문조사와 인터뷰조사를 병행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62개 공공기관에 총 820개를 배포하여 472부를 회수하였고, 이 가운데 456부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은 경로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인터뷰 조사 결과는 설문조사의 해석을 뒷받침하는데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업지향문화와 혁신지향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여성관리자의 경력전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관계지향과 위계지향문화는 여성관리자의 경력전망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과와 혁신 중심의 조직문화가 승진 등 경력전망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둘째, 조직문화의 특성에 관계없이 여성관리자는 사회적 네트워크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셋째, 사회적 네트워크의 효과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경력전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및 자원접근, 경력후원 등의 효과가 승진 등 경력성공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조직문화가 경력전망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네트워크는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업지향문화와 혁신지향문화에서 사회적 네트워크는 부분매개 역할을 통해 경력전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위계지향문화와 관계지향문화에서 사회적 네트워크는 경력전망에 완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여성관리자 목표제’ 시행 등 정책환경 변화에 부합하는 연구라는 데 시의성이 있으며, 실제 공공기관 여성관리자를 대상으로 조직문화와 경력전망의 간의 관계에 초점을 둔 실증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으며, 경력전망에 중요한 요인인 사회적 네트워크를 활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을 개인 단위로 측정하였기 때문에, 기관별 조직문화의 비교분석은 반영되지 못한 점이 한계로 남는다. 둘째, 경력전망의 지표를 임금, 승진 등 객관적 요인이 아닌 개인의 주관적 인식에 초점을 둔 횡단적 조사에 국한하였다는 점이 한계로 남는다. 셋째, 실질적인 사회적 네트워크 활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나 측정도구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사회적 네트워크의 효과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이 한계로 남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A. 연구배경 및 목적 1 B. 연구범위 및 방법 7 C. 논문의 구성 8 II. 이론적 배경 9 A. 조직문화 9 1. 조직문화의 개념 9 2. 조직문화의 유형 14 3. 조직문화의 특성 및 기능 19 4. 공공기관 조직문화의 유형 및 특성 22 B. 사회적 네트워크 28 1.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네트워크 28 2. 사회적 네트워크의 개념 30 3. 사회적 네트워크의 유형 32 4. 사회적 네트워크의 구조 34 5.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성 및 효과 36 C. 경력전망 40 1. 경력전망의 개념 40 2. 경력전망의 특성 43 D. 조직문화와 사회적 네트워크, 경력전망 간 관계 46 1. 조직문화와 경력전망 46 2. 조직문화와 사회적 네트워크 50 3. 사회적 네트워크와 경력전망 53 4. 조직문화와 사회적 네트워크, 경력전망 60 III. 연구설계 63 A.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63 1. 조직문화와 경력전망 관련 가설 64 2. 조직문화와 사회적 네트워크 관련 가설 65 3. 사회적 네트워크의 매개효과 66 B. 조사도구의 설계 68 1. 변수의 정의 및 측정도구 68 2. 설문지의 구성 73 C. 자료수집 방법 76 1. 설문조사 76 2. 인터뷰 조사 80 D. 분석방법 80 IV. 실증분석 82 A. 주요 변수의 차이 분석 82 1. 공공기관 조직문화에 대한 평균차 분석 82 2. 공공기관 유형별 차이 분석 86 3. 인구통계학적 변수별 차이 분석 87 B. 타당도와 신뢰도 및 상관관계 분석 97 1.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97 2.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 101 3. 변수의 기술통계량 및 상관관계 분석 104 C.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107 1. 측정모형의 적합도 107 2. 모형비교를 통한 가설검증 112 V. 결론 125 A. 연구결과 요약 125 B. 연구의 함의 127 C. 연구의 한계 131 참고문헌 133 부록1. 설문지 152 ABSTRACT 1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620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공공기관 조직문화에 대한 여성관리자의 인식이 경력전망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사회적 네트워크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nfluence of Female Manag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Career Prospects : Mediation of Social Network-
dc.creator.othernameChoi, In Sook-
dc.format.pageviii, 162 p.-
dc.contributor.examiner송희준-
dc.contributor.examiner박광국-
dc.contributor.examiner박정수-
dc.contributor.examiner이근주-
dc.contributor.examiner조택-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