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2 Download: 0

수원 화성의 효과적인 현장체험학습에 관한 연구

Title
수원 화성의 효과적인 현장체험학습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effective field experience learning of Hwaseong Fortress in Suwon
Authors
박연주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영찬
Abstract
본 연구는 역사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져 가고 있고, 2009년 개정교육과정에서 체험학습이 강조되고 있는 것을 보면서 학생들에게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역사 현장체험학습과 답사지를 활용한 역사 현장체험학습의 비교 수업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상이한 방식의 두 체험학습의 결과를 분석하여, 앞으로의 역사 수업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현장체험학습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스마트교육에 대한 이해와 기존 교육과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수원과 화성 인근의 중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수원 화성 건설의 역사적 배경과 가치를 이해한다는 수업의 목표아래 수원 화성을 탐방했다. 그리고 수업을 위해 기존 답사지와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업지도안을 만들어 보았다. 그리고 수업지도안을 토대로 실험 체험학습을 진행한 후 설문지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역사에 대한 흥미도가 향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학생들과 함께한 현장체험학습 활동을 통해 답사지를 활용한 현장체험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현장체험의 장단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답사지를 활용하는 현장체험학습이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현장체험학습보다 시각적인 면이나 흥미도에서 부족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외부현장에서의 여러 변수나 어플리케이션의 활용도에 따른 학생들의 개인차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에 대한 사전교육에 대한 부담감 등을 고려하였을 때 어플리케이션보다는 답사지를 이용한 현장체험학습이 단체 수업에는 용이할 것 같았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을 사전학습 활동으로 사용하면 다양한 사진이나 내용으로 현장에서의 낯설음도 줄여주고 학습의 동기부여가 될 것 같다. 이처럼 두 가지를 적절히 역사수업에 활용한다면 실내수업의 한계도 극복하고, 현장에서의 수업을 진행할 때도 그 효과가 배가 될 것이라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This study intended to implement comparison classes between historical field experience learning using applications of smart phones and historical field experience learning exploring historical sites as seeing that importance of history education gets higher and field experience learning has been emphasized since 2009 revised curriculums. Then, by analyzing the result of two experience classes in different ways, effective teaching-learning plans for history classes were to be presented. For this, meanings and necessity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were examined. Understating of smart education and difference with existing education were investigated. Also, targeting 20 middle schoolers near Suwon and Hwaseong, under the goal of classes to comprehend historical background and worth of the construction of Hwaseong Fortress in Suwon, we explored Hwaseong Fortress. And, for classes, teaching plans using existing exploration sites and apps of smart phones were made. On the basis of the teaching plans, after carrying out experimental experience classes, from analyzing questionnaires, whether the level of interest of learners in history increased or not was examined. Through activates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with students, strong and weak points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between using exploration sites and using apps of smart phones could be known. Plus, field experience learning using exploration sites lacks in visual aspects or the level of interest rather than classes using applications. However, considering various variables at external sites, individual difference of students according to utilization of apps, and feeling of burden on pre-education about the use of apps, field experience learning using exploration sites looked to be easier in group classes than learning using apps. In addition, when apps are used for activities of pre-learning, unfamiliarity at fields can be lessened owing to diverse photos and contents and also motivation of learning seems to be realized. Like these, if two methods are properly used in historical classes, limit of indoor classes can be overcome and the effect can be multiplied even in processing classes at fields. Namely, the advantages are intended to be proposed via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