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함정혜-
dc.contributor.author김나리-
dc.creator김나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0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04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이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이 학교적응향상에 기여하는 바를 파악하고, 아동에게 보다 적합한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여, 체계적인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S초등학교 5학년 두 학급 총 50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및 학교적응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동질성 검증과 성비를 살펴보았으며 1반 25명을 실험집단으로, 2반 25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2016년 3월 16일부터 4월 20일까지 주 2회 50분씩 총 10회에 걸쳐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교육과정상의 체육수업이 이루어졌다.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 실시한 후 집단 간 스트레스와 학교적응 사전-사후 검사와 실험집단의 성별에 따른 사전-사후 검사결과를 통해 차이를 검증하였고, 스트레스와 학교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카이스케어 검정과 t-test, paired t-test,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전체 스트레스 점수가 감소되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하위요인 중 개인문제와 사회문제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므로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전체 학교적응 점수가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하위요인 중 교우관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므로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셋째,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학생의 전체 스트레스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하위요인인 개인문제와 가정문제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의 전체 스트레스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개인문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남학생의 전체 학교적응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하위요인인 교우관계와 학교수업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의 전체 학교적응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교사-학생관계와 교우관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무용동작프로그램을 통한 스트레스 감소와 학교적응 향상 효과는 실질적으로 여학생이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 수업이 스트레스와 학교적응간의 부적상관 결과가 나타났다.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개인문제가 학교적응의 하위요인 중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생활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이 본 연구의 대상인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트레스 감소와 학교적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들의 스트레스 감소와 학교적응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앞으로 다양한 연령과 지역을 대상으로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활용한다면 아동들의 건강한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기여하리라 사료된다.;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to deal with stressful situations that upper elementary school were actually experiencing through a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and give them a chance to do an actual movement so 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dance movement therapy on stress reduction and on adapting to school. It also tried to identify the contribution of a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adapting to school and suggested basic materials of the program more suitable for children while providing a systematic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5th graders of two classes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Ansan-si, Gyeonggi-do, Korea. The author conducted a pre-test to examine the subjects ‘stress and their level of adapting to school and homogeneity test. The author also identified sex ratio and composed 25 subjects from the first class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subjects of the second class as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for 10 times (twice a week, 50 minutes for each program) from March 16, 2016 to April 20, 2016, and the control group had physical education classes on training courses. After conducting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s, the differences were verified through pre and post tests of stress level and the level of adapting to school between the groups and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depending on sex.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the level of adapting to school was identifi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WIN 21.0 statistic package program and the author carried out Chi-Square Test, t-test, paired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that had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s showed reduced stress level,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al problems and social problem factors among sub-factors, suggesting that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stress of elementary schoolchild. Second, the group that had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s had improved results in terms of the level of adapting to school,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y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riendship factor among sub factors, suggesting that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child to school. Third, when it comes to differences of the group that had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s depending on sex, the overall stress level of male studen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ough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 problems and family problem factors, which were sub factors. The overall stress level of female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al problems, a sub factor. The overall adaptation of male studen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ough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er relationships and school classes, sub factors. The overall adaptation of female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factor, sub factors. The effects of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s on the reduction of stress and the improvement of adaptation to school had a more positive impact on female students. Fourth, there has been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stress, and adaptation to school. Among sub factors of stress, personal proble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o peer-relationship, school class, and school life, which were sub factors of adaptation to school. Through the results above, it was discovered that the dance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reducing stress of and improving adaptation to school for fifth graders. These results had meanings as a basis for stress reduction and enhanced adaptation of school children. Therefore, if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was further studied for various ages and regions, it could contribute to healthy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연구의 제한점 6 D. 용어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8 A. 무용동작치료 8 1. 무용동작치료의 개념 및 정의 8 2. 무용동작치료 방법론 및 치료요인 10 3. 무용동작치료와 아동 14 4. 무용동작치료의 효과 15 B. 스트레스 17 1. 스트레스의 개념 및 정의 17 2.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요인 18 3. 아동의 스트레스 현황 21 4. 무용동작치료와 스트레스와의 관계 23 C. 학교적응 25 1. 학교적응의 개념 및 정의 25 2. 학교적응의 구성요인 26 3. 아동의 학교생활만족도 현황 28 4. 무용동작치료와 학교적응과의 관계 30 Ⅲ. 연구방법 32 A. 연구대상 32 1. 동질성 검증 32 B. 연구도구 34 1. 스트레스 지각 검사 34 2. 학교적응 검사 35 C. 연구절차 36 D. 자료분석 37 E.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 38 1.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의 목표 38 2.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 수업 구조 39 3.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 내용 40 4. 차시별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 41 Ⅳ. 연구결과 및 논의 44 A. 연구결과 44 B. 논의 55 Ⅴ. 결론 및 제언 59 A. 결론 59 B. 제언 61 참고문헌 62 부록 71 ABSTRACT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66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on stress and adoption to upper elementary students-
dc.format.pagevi, 113 p.-
dc.contributor.examiner김경숙-
dc.contributor.examiner홍은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