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경옥-
dc.contributor.author정옥-
dc.creator정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2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28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underlying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turn out level for experienced dancers. Subjects were 30 women in their 20s.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group included 15 experienced dancers, and the other group included 15 unexperienced dancers. For the measurement tool, the angle measuring instrument (Goniometer PVC, Korea) and plummet were used.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research was the angle of turn out during standard. The angle between the two feet was set to 120 degrees, 135 degrees, 150 degrees, and the individual's best angle. The dependent variable was set to the knee angle and shinbone able according to angle as well as the height of the scaphoid of the feet.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enced group and unexperienced group, the non-parametric independent variable difference test (Mann Whitney U Test) of SPSS 23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All non-parametric statistics set significance level to p<05 for test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A. Shinbone Angle The shinbone angle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experienced dancer group for 120 degrees turn out. This was because the experienced group used coxarthria in contrast to the unexperienced. B. Knee Angle The knee angle was significant in all turn out angles, and it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experienced group. This means that the unexperienced group usually used twist of the kneecap and shinbone to complete turn out rather than the coxarthria. C. Height of Feet Scaphoid The change in height of the feet scaphoi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height in the two groups showed a tendency of continuously reducing. Thus, during the turn out motion, it can be seen that the dispersion of weight supported by the feet is focused to the inner part of the feet with no relations to the training level. Having to say that the dispersion of the weight was focused on the inner part shows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as flat feet. D. 'Operating Range of Joint' The shinbone and knee angle exceeded the working range of the active knee joint in all angles regardless of experience. Based on the test results, there is only difference in the level according to how big the turn out angle becomes. Regardless of the experience level, there was change in the underlying awrrangement. However, for the knees, the experienc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 angle change. This means that the twist of the lower part is less because of the outer rotation of the coxarthria in the experienced group which means that there is less twist in the underlying arrangement due to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and knee extensor muscle. Thus, there is the need for outer rotation training from the coxarthria rather than using the inner part of the feet or twist of shinbone during turn out. The result on the qualitative information about the change of underlying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turn out level will be useful as basic data for safe turnout training and prevention of injuries by proving the negative affect to the feet. Furthermore, this study can be provided as the base data of future studies that need external version angle ranges of hip joints and other joints according to turn out level. Also, based on this study, future assesment should require research on the differnce of dispersion for the pressure of the feet according to the turn out level.;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 경험유무별 턴 아웃 각도에 따른 하지정렬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대 여성 30명으로 유경험자 집단 15명과 무경험자 집단 15명으로 구분하였으며, 측정 도구는 측각기(Goniometer PVC, Korea)와 추선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 변인은 정자세를 기준으로 했을 때 턴 아웃의 각도로, 두 발 사이의 각도를 120도, 135도, 150도, 개인 최고각으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인은 각도에 따른 무릎각도와 경골각도, 발 주상골의 높이로 설정하였다. 유경험자 집단과 무경험자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위해 SPSS 23 통계처리 프로그램의 비모수 독립변인 차검정(Mann Whitney U 검사)을 사용하였다. 모든 비모수 통계는 유의수준을 p<.05로 설정하여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경골각도 경골각도는 120도의 턴 아웃에서 유경험자 집단이 유의하게 작았다(Z=-2.08, p<.05). 이는 유경험자 집단이 고관절을 더 많이 사용해 턴 아웃하여 발목관절의 비틀림이 작았기 때문이다(Z=-2.29, p<.05). B. 무릎각도 무릎각도는 모든 턴 아웃 각도에서 유경험자 집단이 유의하게 작았다(Z=-2.56,-2.16,-2.05,-2.63, p<.05). 이는 무경험자의 경우 고관절 보다 무릎관절을 비틀어 턴 아웃을 완성하려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C. 발 주상골의 높이 발 주상골의 높이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두 집단 모두 근소하나마 높이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므로 턴 아웃 동작 시 숙련 정도에 관계없이 발이 지지하는 체중의 분포가 발의 내측에 집중된다고 볼 수 있다. 체중의 분포가 내측에 집중해 있다고 하는 것은 편평족으로의 변형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새끼발가락을 포함한 발과 하지의 외측부 근육강화훈련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D. 하지정렬과 가동범위 발목관절은 모든 턴 아웃 각도에서 20도 이내의 외회전 가동범위를 보였다. 발목관절은 외반이 동반될 때 최대 20도의 가동범위를 지니며 단독적인 외회전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피험자가 안정된 지지를 위해 발의 외반에 저항하는 만큼 발목에 수동적 외회전이 부하되었고 볼 수 있다. 무릎관절은 능동적인 외회전이 불가능하나 모든 턴 아웃 각도에서 20도 이내의 수동적인 외회전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턴 아웃 각도가 커짐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무용 숙련정도와 관계없이 하지정렬에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무릎의 경우 무경험자 집단에 비해 유경험자 집단이 유의하게 작은 각도 변화를 보였다. 이는 같은 턴 아웃을 취하더라도 유경험자 집단이 경험유무를 효과적으로 외회전 하고, 경골의 외회전에 저항하는 측부인대와 무릎신근이 강하기 때문에 하지정렬의 뒤틀림이 적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턴 아웃시 경골의 비틀림이나 발의 내측을 이용하기 보다는 고관절에서부터 외회전 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턴 아웃 각도에 따라 무릎 이하의 하지정렬의 변화에 대해 양적 분석한 결과, 불완전한 턴 아웃 동작이 무릎관절과 발목관절, 발에 주는 부정적 영향을 실증하여 상해 예방과 안전한 턴 아웃 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또한 턴 아웃 각도에 따른 고관절 이하 관절들의 외회전 각도 범위를 필요로 하는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턴 아웃 각도에 따른 발의 압력 분포 차이에 관한 연구와 고관절의 효과적인 턴 아웃을 비롯한 발과 하지의 외측부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은 추후 과제로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연구가설 5 D. 용어의 정의 5 E. 연구의 제한점 7 Ⅱ. 이론적 배경 8 A. 올바른 하지정렬 8 B. 턴 아웃 동작의 정의와 구조적 특징 9 C. 관절의 가동범위 11 D. 잘못된 턴 아웃으로 인한 무용 상해 16 Ⅲ. 연구방법 20 A. 연구대상 20 B. 연구변인 21 C. 연구설계 23 D. 측정도구 24 E. 실험방법 24 F. 자료처리 29 Ⅳ. 연구 결과 30 A. 턴 아웃 각도에 따른 하지관절각의 차이 30 B. 관절 가동범위의 차이 38 Ⅴ. 논의 42 A. 경골각도 42 B. 무릎각도 42 C. 주상골 높이 43 D. 관절 가동범위 43 Ⅵ. 결론 및 제언 46 참 고 문 헌 49 ABSTRACT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913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무용경험유무별 턴 아웃(Turn-out)각도에 따른 하지정렬의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ifference of Underlying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Turn Out Angle by Experience-
dc.format.pageviii, 54 p.-
dc.contributor.examiner김경숙-
dc.contributor.examiner홍은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