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김태진-
dc.creator김태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1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5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50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재미한글학교 학습자의 정체성 구성요인을 밝히고 요인 내 존재하는 언어정체성의 특징을 탐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재미한글학교 학습자 205명이며 연구 도구는 설문지 자료이다. 연구 방법은 SPSS 20.0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 분석이며 AMOS 18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 또한 실시하였다. 이후 상관관계분석, 회귀 분석,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여 요인 분석을 통해 도출된 요인과 해당 변인의 특색, 요인 간 상관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탐색을 하였다. 그리고 추가 질문 및 심층 면담을 통해 양적 연구를 통하여 밝히지 못한 부분을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재미동포 차세대 정체성’과 ‘재미한국어 학습자 정체성과 한국어 교육’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본격적인 분석과 논의에 들어가기에 앞서 용어의 정의를 기술하였다. 연구 문제로는 첫째, 재미한글학교 학습자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인은 무엇이며 언어정체성은 어떠한 특징을 나타내는지, 둘째, 재미한글학교 학습자 정체성 구성 요인 간 상관관계는 어떠하며 언어적 요인은 어떠한 특징을 나타내는지를 설정하고 가설 및 이를 설정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II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크게 두 주제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먼저 정체성의 개념과 형성, 분류에 대해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정체성과 언어의 관계에 대한 내용이다. 이민자 집단의 언어 사용과 정체성의 관계에 대한 관점, 언어 지위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재미한글학교 학습자의 이중언어문화와 정체성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정체성 구성요인을 밝히는 것을 시작으로 귀납적 추론과 이에 대한 검증을 지속적으로 행하는 탐색적 연구임을 밝힌 후 연구 설계 및 절차, 연구 대상 및 연구 도구, 자료 분석 등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한 정체성 구성요인에 대한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정체성 구성요인은 국가·민족·문화·언어적 차원에서 연구되었던 기존의 관점과 다르게 ‘자긍심, 공동체 참여와 소속감, 언어인지, 감정 및 언어행동, 문화행동’의 5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기존의 거시적·이론적 접근에 비해 인간의 내면과 외현을 보다 실질적으로 살필 수 있는 태도의 3요소(인지·감정·행동)를 기반으로 범주화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구성요인이 갖는 설명력은 자긍심(16.47%), 공동체 참여와 소속감(14.31%), 언어인지(13.83%), 감정 및 언어행동(13.38%), 문화행동(9.30%) 순으로 ‘자긍심’ 요인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도출된 요인 내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언어인지 요인 내 변인들만 낮은 상관관계가 있어 감정과 행동 관련 변인보다 인지적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낮았다. 이어 실시한 확인적 요인 분석에서는 언어인지 내 변인 두 개를 제외하고 모두 적합하였다. 확정된 요인들을 살펴보면 인지·감정·행동의 분리 및 통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세 가지 요소의 상이한 조합 양상을 통해 정체성의 특색을 살필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이 발견되었다. Ⅴ장에서는 정체성 구성요인 간 상관관계와 언어정체성에 대해 탐색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산점도 분석에서는 ‘감정, 인지, 행동’을 중심으로 세 가지 패턴이 도출되어 요인 간 상관관계 또한 태도 요소가 기본틀이 되었다. 각 요인 간 상관관계는 대부분 .6 이상의 상관계수를 나타내어 서로 높은 영향력을 주고받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중 ‘자긍심’ 요인과 관계된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으며, ‘언어인지’ 요인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언어인지’의 낮은 상관력을 높여주는 조절변수로 ‘언어감정 및 행동’ 요인을 가정하였으나 기각되었다. 이는 언어정체성이 두 가지의 요인으로 분리되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분산된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의 통합에 대한 교육적 처치를 필요로 한다. 이에 언어정체성의 분리에 대해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어 수업에 대한 지식·감정·행동에 대한 조사, 도구적 동기로서의 한국어, 조절효과 분석의 3가지 방법을 통한 분석을 하였다. 한국어 수업에서는 지식적 측면에서는 이해도가 높았으나 감정과 행동적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성향이 더 크게 나타났고 도구적 동기로서의 한국어 인식 또한 감정 혹은 행동이 분리되었다. 이는 영어의 절대적인 언어 지위와 함께 한국어 사용 빈도가 낮은 사회문화적 환경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언어정체성의 통합을 위한 조절효과 분석에서 ‘자긍심’ 요인이 ‘언어인지’와 ‘언어감정·행동’ 요인 간 영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절변수 역할을 하였다. 이에 자긍심 고취를 위한 교육 내용을 검토한 바, 부모의 영향에 이어 한국어 교육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국 자긍심 고취를 위해서는 언어인지·감정·행동이 통합되는 언어정체성의 완성이 요구된다. 이에 한국어를 배우는 행위에 대한 가치 교육, 한국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성취감 고조, 수요자 맞춤형 방안 모색 등 정의적 영역에 대한 면밀한 교육 설계 및 보다 완성된 태도를 위한 실천적 노력이 필요함이 입증되었다. Ⅵ장에서는 결론으로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정체성 교육의 실천적 적용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접근 방법에 있어 ‘인지·감정·행동’을 기본 관점으로 하는 실용적 틀을 발견하였다. 둘째, 언어정체성이 ‘인지’와 ‘감정·행동’으로 양분되어 정체성에 대한 영향력이 낮으므로 한국어를 배우는 행동에 대한 가치 교육 및 감정적 애착과 자긍심 고취를 위한 면밀한 교육적 설계가 필요함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성과는 앞으로 재미한글학교 학습자 정체성 교육의 본질에 맞는 체계와 내용을 갖추고 이를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설계를 함에 있어 현장 교육에 실질적인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is to find the composing factors of identity and to inquire into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identity existent within the identities of Korean School learners in the U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05 Korean school learners residing in the US. Data analysis focused on drawing the composing factors of learners’ identity, examining specific features within the factors, and finding correlations within them. Subsequently, the quantitative data were supported by follow-up questions and in-depth interviews to inquire about issues that were not made clear through the quantitative data. Primaril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employed using SPSS 20.0, and Amos 18 was also utilized to conduc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factors drawn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regression, and moderating effect analyses were also implemented and correlation within the factors were drawn from factor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applicable variables were also exhaustively investigated. This study is composed as follows: In Chapter I,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first outlined, and regarding preceding studies pertaining to it, the identity of the next generation Korean Americans, Korean education and learner’s identity in the US are reviewed. The chapter concludes with a listing of terminology definitions. The research questions that this study aspired to answer were as follow: 1) What are the factors composing the identities of Korean school learners in the U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anguage identities?, 2) How do the composing factors correlate and what are the features of language-specific factors? With these questions, hypotheses and rationale were establish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is reviewed in chapter two. The first part of the chapter looks at the concept of identity, how it is formed, and how it is specifically classified. The second part deals with the relationship of identity and language, notably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usage of immigrant groups, identity, and language status, and scholarly discussions on the bilingual culture of Korean school learners in the US and their identity. Chapter Ⅲ explains the methodology that was employed for the present research. As an exploratory study, the study is described to begin with an exploration of the factors that comprise identity through a continuous process of inductive inference and verification. Subsequently the design and procedures of the research,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ools, and data analysis are described. In Chapter Ⅳ, the research findings drawn from exploratory and the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re presented. Unlike previous research in which identity factors were analyzed from the levels of nation, ethnicity, culture and language, the present study found the composing factors of identity to consist of pride, community affection and participation, language cognition, affection and language behavior, and cultural behavior. This finding is significant in that, compared to previous research that focuses on a macro and theoretical approach, it makes possible a realistic examination into the human mind and appearances with the three factors of cognition, affection and behavior in mind. The following factors and their level of influence were identified as follow: pride(16.47%), community affection and participation(14.31%), language cognition(13.83%), affection and language behavior(13.38%), cultural behavior(9.30%). Among the five factors, pride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ithin the drawn factors, as the variables within the language cognition factors showed a lower correlation, they were found to have a lower interactional effect in terms of cognitive variables compared to variables pertaining to affection and behavior. The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that followed found that all factors, with the exception of two variables within language cognition, were appropriate. An exploration of the determined factors reveals a new perspective into looking at the features of identity through the dissimilar combination aspects of ‘cognition, affection, and behavior,’ centering around a process of separation and unity of the three elements of attitude. In Chapter Ⅴ, findings found from the explora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mposing factors of identity and language identity are presented. Since the correlation viewed by scatter plot was drawn by three patterns centered on affection, cognition, and behavior, the correlation of attitude factors within factors became the basic frame. It was found that, as most correlations between factors were measured to be highly correlated at higher than .6, the composing factors of identity were found to be mutually influential. In the analysis centered 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elated to the pride factor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nd the language cognition factor the lowest. Although language affection and behavior was hypothesized as an adjusting variable which amplifies the low correlation of language cognition, this hypothesis was denied because language identity was found to be divided into two factors and the influence was found to be relatively scattered. Therefore, educational measures about uniting them are strongly called for. The qualitative part of this study on the separation of language identity was conducted in three ways: first, an inquiry concerning knowledge, affection, and behavior of Korean classes, second,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imagined communities’, cited in Norton (2000)), and third, moderating effect analysis. In the Korean classes, the understanding is high in respect of knowledge, but in respect of affection and behavior, the negative inclination is slightly high, and in the theory of imagined communities, the separation of affection and cognition or behavior is displayed in view of learning Korean language based on instrumental motivation. These findings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higher language status of English, and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which Korean is used in lower frequency. Lastly, in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for the conformity of language identity, the “pride” factor was found to serve as a variable for improving the level of influence of language cognition, affection, and behavior. These findings reveal that, along with the influence of learners’ parents or caregivers, the influe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lso significant.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for more research and an educational effort for helping students develop a language identity that unifies the three elements of language cognition, affection and behavior, in order to instill a sense of pride in Korean school learners. Therefore, an effort to accomplish a meticulous educational design that focuses on the affective domain is strongly called for, such as affective education in learning Korean, the enhancement of heightening interest and sense of accomplishment in learning Korean. In Chapter Ⅵ, as a conclusion, arrang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o far, I reveal the limit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make some suggestions of a succeeding researches. The fruition of this study can be recapitulated in two standpoints. Firstly, in the approach of Korean education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identity education, the practical frame that is based on cognition, affection, and behavior, which are basic standpoints, was discovered. Secondly, It is proved that a meticulously educational project is necessitated for the enhancement of pride, value education, and emotional attachment regarding the action of learning Korean, since language identity that is divided into cognition and affection and behavior has a low influence on identity. Such the attainments and significance have a lot of meanings for providing an on-spot education with a basic and practical foothold in implementing efficiently a system and contents of identity education proper to the essence of it for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4 1. 재미동포 차세대 정체성에 대한 연구 5 2. 재미동포 한국어 학습과 정체성에 대한 연구 11 C. 용어의 정의 23 D. 연구 문제 및 가설 28 Ⅱ. 이론적 배경 33 A. 정체성의 특성과 유형 33 1. 정체성의 개념과 특성 34 2. 정체성의 형성 36 3. 정체성의 분류와 특징 45 B. 정체성과 언어의 관계 54 1. 이민자 집단의 언어와 정체성 55 2. 재미한글학교 학습자 이중언어문화와 정체성 66 Ⅲ. 연구 방법 77 A. 연구 설계 및 절차 77 B. 연구 대상 79 C. 연구 도구 및 자료 수집 82 D. 분석 방법 90 1. 탐색적 요인 분석 91 2. 확인적 요인 분석 93 3. 추가 질문 및 심층 면담 97 Ⅳ. 재미한글학교 학습자 정체성 구성요인 101 A.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한 정체성 구성요인 105 1. 자긍심 109 2. 공동체 참여와 소속감 112 3. 언어인지 114 4. 감정 및 언어행동 115 5. 문화행동 118 B.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한 정체성 구성요인 검증 119 C. 정체성 구성요인에 대한 논의 125 Ⅴ. 재미한글학교 학습자 정체성 구성요인 간 상관관계와 언어정체성 133 A. 정체성 구성요인 간 상관관계 134 1. 산점도 분석 135 2. 상관관계 분석 139 3. 조절효과 분석 142 B. 언어정체성의 분리와 통합 144 1. 한국어 학습과 언어정체성 145 2. 상상적 공동체와 언어정체성 150 3. 자긍심과 언어정체성 154 C. 정체성 구성요인 간 상관관계와 언어정체성에 대한 논의 156 Ⅵ. 결론 163 A. 연구 결과의 요약 164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166 참고문헌 169 부록 1. 재미한글학교 학습자 정체성 구성요인에 관한 설문지 184 부록 2. 한국어와 한국문화 인식에 관한 질문지 187 ABSTRACT 1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023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재미한글학교 학습자 정체성 구성요인과 언어정체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Composing the Identity and the Language Identity of Korean School Learners in the US-
dc.creator.othernameKim, Tae Jin-
dc.format.pagex, 194 p.-
dc.contributor.examiner김영규-
dc.contributor.examiner박선희-
dc.contributor.examiner김정숙-
dc.contributor.examiner강승혜-
dc.contributor.examiner이해영-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