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7 Download: 0

비서의 소셜스타일과 조직문화의 상호작용이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itle
비서의 소셜스타일과 조직문화의 상호작용이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Social style, organizational culture,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A study focusing on secretaries
Authors
김유경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지현
Abstract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직무스트레스는 OECD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직무스트레스는 단순히 스트레스에 머물지 않고 조직몰입도를 떨어뜨리며 직장인의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시급하다. 특히 비서직은 업무특성상 쉽게 스트레스에 노출되며 스트레스 정도 역시 심각한 수준이어서 비서직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양한 분야에서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 개인과 조직의 상호작용이 그 해결방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개인특성 혹은 조직특성으로 양분화시킬 수 없으며, 개인의 특성과 조직의 특성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상호작용이 주요한 변수라는 점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개인과 조직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비서학 분야에서는 개인과 조직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비서의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몰입의 향상과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과제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비서의 개인특성(소셜스타일)과 조직문화의 상호작용이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비서직 종사자의 소셜스타일은 어떠한가? 둘째, 소셜스타일은 비서의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조직문화는 비서의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소셜스타일과 조직문화의 상호작용은 비서의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에 근무하는 현직 비서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SPSS (Version 21)를 사용하여 가설검증을 수행하였으며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의 소셜스타일은 주도형이 32.4%로 가장 큰 비율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표현형 28.8%, 우호형 25.9%, 분석형 12.9%로 나타났다. 주도형과 표현형은 소셜스타일의 두 가지 요인인 사고표명도와 감정표현도 중 사고표명도가 높은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연구대상자의 과반수 이상이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피력하는 사고표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스타일은 비서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영향관계가 없음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문화와 비서의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는 비서의 직무스트레스에는 개발문화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조직몰입에는 개발문화와 합의문화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넷째, 사고표명도와 감정표현도가 높은 소셜스타일은 개발문화와의 상호작용에서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보였고, 합의문화와의 상호작용에서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학 분야에 소셜스타일이라는 개인특성 측정도구를 처음 도입하여 비서직 종사자의 소셜스타일 유형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개발문화와 합의문화가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비서들을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요소를 개인적 측면과 조직적 측면뿐 아니라 그 둘의 상호작용까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비서와 조직의 인사담당자, 비서양성 교육기관 등에 소셜스타일과 조직문화,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즉, 비서직 종사자와 비서직 희망자는 이직 혹은 구직 시 본인의 소셜스타일을 토대로 직무스트레스가 비교적 낮고 조직몰입 높은 조직문화를 파악하는데 본 자료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조직의 인사담당자는 비서를 채용할 때 조직문화에 적합한 인재를 선별하는데 기초자료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서를 양성하고 재교육하는 교육기관에서는 본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취업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도 높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Stress on the job is costly and is reflected in a lower productive efficiency in the organization. Stress has been shown to reduce employee motivation and the physical ability to perform a task well. This may result in lower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s and increased errors and accidents. In addition, stress contributes to increased health care costs. Therefore, many researchers have been conducted to find the cause and solution for decreasing job stress and increas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interaction of personal factor and the organizational factor is engaged scholars’ attention in the various field because the factors which are affect to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not able to be unified or simplified. Actually, they are very complicated and various interaction of personal and organizational. Yet not a great deal is known about the relation among personal factor(social style), organizational factor(culture),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secretaries. According to previous survey, secretaries report extremely high levels of stress on their job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which had effects on the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yle and organizational culture. 99 To achieve this study goal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social style type of secretaries? Second, does the social styl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ecretarie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does the organizational cultur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ecretarie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does the interaction of social style and organizational cultur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ecretarie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8th to May 8th, 2016.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185 secretaries who are working in Korea and 170 respondents were used. The data from the survey was analyzed with SPSS 21.0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ies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four following way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river social style was the biggest portion of secretaries which is 32.4%, and the expressive style was 28.8%, the amiable style was 25.9% and analysis style was 12.9%. Driver and expressive style is high level of assertiveness, therefore, this result showed that more than 60% of secretaries were high assertiveness type. Second, the social style did not have affection on secretarie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adhocracy cul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cretarie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arket cul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cretaries’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the interaction of high assertiveness, high responsiveness, and adhocracy cul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cretaries’ job stress. Also, the interaction of high assertiveness, high responsiveness, and market cul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cretarie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implication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troduced social style as a measurement of personal factor in 100 secretarial research and figured out secretaries’ social style. Second, this study proved that adhocracy culture and market cul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ach secretarie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ike other journal’s result. Third,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not only pers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 but also the interactional factors which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cretarie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can be made full use of secretaries, HR practitioner and educational institution for secretaries. It is hopeful that this study will give more practical help to the job seeker to find the organization which is more suitable to themselves, and the organizational employment to recruit the person as well. This means fits between applicants and organizations must be considered when hiring secretaries in the organization. Finally, this study will give a practical help to educational institute as well to give a career consulting to the future secreta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