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7 Download: 0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유니버설디자인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유니버설디자인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fine arts program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model on creative expression ability targeting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유한미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현대사회는 교과서를 기반으로 지식을 습득했던 과거와 대조적으로 일방적인 지식습득 방법으로는 인간의 지적욕구를 완벽하게 충족시키기 어렵다. 지식정보화 시대를 맞이하며 정보의 양은 방대해지며 지식의 깊이는 더욱 깊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를 맞이하여 교육자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융통성, 유연성 등이 학생들에게 우선적으로 가르쳐야할 요소가 되었다. 따라서 현재 창의성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창의적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학습방법으로 문제중심학습이 강조되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학생의 핵심역량으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창의융합형 인재’를 미래교육의 인재상으로 제시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미술 교육에서도 학생의 창의력과 창의적 표현력 증진을 위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미술 교육과정 변화의 흐름에 맞게 창의적 표현력을 증진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창의적 표현력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중학교 1학년 유니버설디자인수업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고 문제중심학습이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표현력과 문제중심학습에 대하여 탐색하고 유니버설디자인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2009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해 유니버설디자인 수업의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유니버설디자인 수업을 설계하였다. 셋째,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중학교 유니버설디자인 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로웬펠드(Lowenfeld, 1993)가 제시한 창의성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기준으로 로웬펠드의 창의성요소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용재현, 2009년 조화영, 2015년 강다원의 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 목적에 맞게 변형 및 재구성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동질성이 검증된 중학교 1학년 중 2개 학습을 선정한 후 각각 하나의 학습을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2인의 현직 미술교사와 본 연구자를 포함하여 총 3인이 평가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자기평가 설문을 통해 학습자의 성취도와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처리는 SPSS(S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0.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문제중심학습을 유니버설디자인 수업에 활용한 결과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력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문제중심학습이 기존의 전통적인 미술 수업보다 창의적 표현능력 향상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문제중심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문제를 만나는 과정에서 문제 상황에 이입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집단 구성원간의 충분한 교류와 토론과정을 통해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을 촉진시켰다. 결과적으로 실험집단의 디자인 결과물 분석을 통해 문제중심학습이 창의적 표현력의 증진을 가져다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유니버설디자인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의 활용이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modern era education, contrastively past era those who learned by old textbooks, can not provide us satisfaction of our desire for knowledge. Also,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getting complicated time after time. In this modern era,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daptability and flexibility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to educate for students. Therefore, recent researches on creativity education are being introduced with public attentions. Futhermore, A problem-based learning is the one of the education methods which improves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In 2009 education curriculum revision represent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s students' core ability. Also in 2015 education curriculum revision indicates ‘creative and merged-HR’as talented student in future education. The number of researches about creativity and creative-expression ability are introduced ac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se education curriculum changes. In this study, to satisfy the needs of education curriculum changes, represents to apply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arts and design classes to promote creative expression ability. That is to say, the universal design with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are design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which affected by problem-based learning. To reach purpose of this study, the method of universal design program with problem-based learning are as follows: First, search about creative expression ability and problem-based learning. Then the necessity of universal design education is considered. Second, universal design class combined with problem-based learning process are scheduled in reference to 2009 education curriculum revision of middle school fine arts textbooks. Third to verify the effects on the creative expression ability, the completion level which represented by Lowenfeld(1993) and 2009 education curriculum revision by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Furthermore, this study is modified from the previous studies; J-, H-. Yong (2008), H-.Y-. Cho (2009) and D-.W-. Kang (2015). The universal design program in this study are progressed in two middle school classes each homogeneity was verified. One of the class was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as controlled group. The results are appraised by 3 appraisers; consisted of one researcher(in person) and two present instructors. End of this study, th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from this classes was recorded from learner survey. This survey was treated from statical package tool SPSS(S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0.0. The stat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1st grade in middle school universal design program, the results represents meaningful creative expression ability increasement when the problem-based learning is utilized in program. As a results, problem-based learning education is able to confirm that giving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creative-expression ability compared with traditional design program. Problem-based learning education promote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facing given problem situation and discussing with each classmate. Consequentially, the results indicates development of creative expression ability. Finally, Utilizing problem-based learning in 1st grade of middle school universal design program could affect positive effects in creative expression 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