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2 Download: 0

미국과 한국의 클럽 패션 분석 및 디자인 개발

Title
미국과 한국의 클럽 패션 분석 및 디자인 개발
Other Titles
An Analysis and Design Development of Club Fashion in the US and Korea
Authors
배선유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인성
Abstract
음지문화, 하위문화 등 비주류적인 문화로 인식되던 국내 클럽 문화는 최근 보편화․대중화되면서 그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 클럽은 클럽 문화가 일찍부터 발달한 다른 국가들의 클럽과 대등하게 경쟁할 만큼 발전하면서 대중문화로서의 가치를 새롭게 평가 받으며 하나의 문화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클럽 패션은 클럽 문화의 한 요소로서 개성 표현을 중요시하는 클러버들에게 자유로운 감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는 해외의 경우와는 달리 클럽 전문 패션 스타일 및 관련 산업 시장이 소수의 인터넷 쇼핑몰에 국한되어 있거나 해외 SPA브랜드의 일부 품목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클럽 패션의 학문적 개념을 정립하고 이와 함께 클러버들을 위한 디자인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는 선행 연구, 신문 자료, 국내ㆍ외 관련 서적과 패션 정보 사이트, 트렌드 보고서, 인터넷 자료 등을 바탕으로 클럽의 개념 및 발생 배경과 특징, 클럽 문화의 개념과 유형 및 특징, 클럽 패션의 개념 및 특징과 변천 과정을 고찰하였다. 실증적 연구는 매년 세계 클럽의 순위를 매기는 전문 웹사이트에서 2013년∼2015년까지 3년간의 클럽 순위표를 참고하여 미국과 한국 클럽 중 상위에 랭크된 클럽 3곳을 각각 선정하였으며 사례 분석용 사진은 2014년∼2016년까지 최근 3년간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사진은 선행 연구와 전문가 그룹의 자문을 토대로 패션 스타일을 구분하였다. 또한 아이템, 컬러, 소재, 디테일 및 트리밍을 분석 기준으로 선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미국과 한국의 클럽 패션 스타일의 디자인 특징을 정량적으로 비교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클럽 문화가 대중문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클럽 문화를 즐기고 소비하는 클러버는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부상하였고 그에 따라 클럽 패션 스타일에 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면서 관련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미국과 한국 클러버들이 선호하는 패션 스타일을 분석한 결과 미국에서는 클럽 패션이 정착되어 클럽 드레스코드와 함께 섹시하고 타이트한 의상이 주를 이루어 섹시 룩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포멀 룩, 캐주얼 룩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의 경우 편하고 활동성이 있는 캐주얼 룩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다음으로 섹시 룩, 포멀 룩 순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한국의 클럽 패션 스타일은 클럽 문화, 노출에 대한 인식 그리고 패션 스타일에 대한 개념의 차이로 인하여 컬러, 소재, 디테일 및 트리밍, 아이템이 다르게 사용되고 있었다. 이렇듯 국내에서는 국내 클러버들의 독자적인 스타일이 구축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니즈가 증가하는데 반해 관련된 전문 브랜드가 부족한 실정으로 국내 클러버들만의 스타일을 고려한 차별화된 클럽 패션 브랜드 및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Wild Angel’이라는 컨셉 아래, 미국과 한국의 클럽 패션 디자인에서 나타난 상위 세 가지 스타일인 섹시 룩, 포멀 룩, 캐주얼 룩과 국내 클러버를 위한 캐주얼 + 섹시 룩, 포멀 + 섹시 룩의 총 다섯 가지 디자인을 2016 S/S 트렌드를 반영하여 섹시하면서도 페미닌한 스타일을 베이스로 현대적이며 과감한 클럽 스타일을 기획하여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최근 보편화․대중화 된 클럽 문화와 클러버들이 대중문화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알 수 있었으며, 미국과 한국의 클럽 패션 스타일을 비교․분석하여 디자인적 특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국내 클러버들을 위한 차별화된 클럽 패션 스타일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보다 차별화된 클럽 패션의 다양화․세분화를 위한 디자인 지침을 제공하여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클럽 관련 산업에 패션 브랜드가 진출함에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하며 동시에 국내 내수시장의 니치마켓을 발굴하여 클럽 패션이 산업적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성장하고 있는 중국 문화권 등 다양한 국가의 클럽 스타일 비교 및 관련 분야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The awareness on Korea’s clubbing culture which has been perceived as a fringe culture, shady culture, or subculture is increasing due to clubbing recently becoming generalized and popularized. Korea’s clubs have developed to a level capable of competing with clubs of other countries where the clubbing culture has developed earlier on, and its value as a popular culture is being appraised and is growing as an independent culture industry. Especially clubbing fashion, as a factor of clubbing culture, is a method of free expression for clubbers who consider expressing personality to be very important and its demand is growing. However, different from cases overseas, Korea’s clubbing fashion styles and related industry market is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internet shopping malls or is reliant on some of the items of SPA brands oversea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need for studies of designs for clubbers along with establishing an academic concept of clubbing fashion. This study carried out both a textual and an empirical research. As for the textual research, the concept, background of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club, concept,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lubbing culture, and concept,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clubbing fashion were looked at based on existing studies, newspapers, Korean and overseas books and fashion information websites, trend reports, internet research, etc. As for the empirical research, 3 clubs in Korea and US each ranked to be on the top of a ranking list for 3 years from 2013 to 2015 at a website devoted to rank clubs annually all over the world were selected and pictures from 2014 to 2016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pictures we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fashion styles based on consultation by a group of experts and preceding studies. Also, the picture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color, material, detail and trimming, item and then a quantitative comparis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lubbing fashion styles of the US and Korea.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irst of all, as the influence of the clubbing culture on popular culture grows, clubbers who enjoy and consume club culture are rising as a new consumer group and accordingly, as the interests and demands of clubbing fashion styles increase, it was found out that the potential of growth of related markets is increasing as well.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shion styles preferred by US and Korean clubbers, clubbing fashion has settled down in the US where along with clubbing dress codes sexy and tight clothes are mainstream and showed sexy looks to be most frequently shown followed by formal and casual looks. On the other hand, in Korea, comfortable and active casual looks were the most frequently shown followed by sexy and formal looks. Clubbing fashion styles in the US and Korea showed different uses of colors, materials, details, trimming, and items due to differences in concepts of clubbing culture, perception on exposure, and fashion styles. As indicated above, an independent style of Korea clubbers is forming and although the needs is increasing, there is a lack of devoted brands which showed a need for differentiated clubbing fashion brands and designs considering the styles of Korean clubb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nder the concept ‘Wild Angel’, a total of five designs including the top three styles shown in clubbing fashion of the US and Korea, sexy look, formal look, and casual look and styles for Korean clubbers, a casual+sexy look and formal + sexy look, reflecting 2016 S/S trends were used as a basis for designing a modern and aggressive clubbing style based on a sexy and feminie style. In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influence of the recently generalized and popularized clubbing culture and clubbers on popular culture were found out about, and a design characteristic was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clubbing fashion styles of the US and Korea.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a differentiated clubbing fashion style for Korean clubbers was presented. Accordingly, in terms of fashion brands entering clubbing related industries which has great potential of future growth, this study intends to be of assistance by presenting a design guideline for diversity and segmentation of a differentiated clubbing fashion, and at the same time has meaning in providing a direction for the clubbing fashion industry by finding a niche market of the domestic market. Comparison of clubbing styles of a variety of countries including the growing Chinese cultural areas and researches on related fields are expected to continue in future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