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지혜-
dc.contributor.author이혜원-
dc.creator이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68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6875-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중학교의 뮤지컬 활동이 정서조절 및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뮤지컬 교육이 갖는 교육적 의의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뮤지컬 활동을 시작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활동 이전과 이후의 정서조절 및 대인관계 능력 변화를 검사하였으며 뮤지컬 활동을 참여한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 참여 동기)에 따른 정서조절 및 대인관계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 각각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경기도 K시에 소재한 H중학교의 뮤지컬 부 신입단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조사연구로 사전·사후 연구 설계로 진행하였다. 이상의 연구 대상과 방법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컬 활동을 경험한 중학생의 정서조절능력의 변화를 검증한 결과 뮤지컬 활동 이전에 비해 뮤지컬 활동 이후에 전반적인 정서조절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서조절능력의 하위 요소인 자기정서조절 및 타인정서조절 능력의 변화도 뮤지컬을 경험하기 이전에 비해 이후가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둘째, 뮤지컬 활동을 참여한 중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뮤지컬을 경험하기 전 보다 이 후에 긍정적인 향상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대인관계능력의 하위 요소인 만족감, 의사소통, 신뢰감, 친근감, 민감성, 개방성, 이해성 또한 뮤지컬 활동 이전에 비해 뮤지컬을 경험한 이후에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뮤지컬 활동 참여한 후 중학생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 참여 동기)에 따른 정서조절능력의 차이는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하위 요소인 자기정서조절 및 타인정서조절 능력도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여학생이 민감하게 정서조절능력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참여 동기에 따른 정서조절능력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뮤지컬 활동을 자신이 원해서 경험한 학생이 타의에 의해 참여한 학생보다 정서조절능력과 자기정서조절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긍정적인 향상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뮤지컬 교육을 경험한 후 중학생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 참여 동기)에 따른 대인관계능력 및 하위요소의 변화는 성별에 따른 차이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대인관계능력 뿐만 아니라 모든 하위 요소인 만족감, 의사소통, 신뢰감, 친근감, 민감성, 개방성, 이해성 모두 여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긍정적인 향상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예민하고 민감하게 대인관계능력의 향상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뮤지컬 활동을 참여한 후 중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전체 정서조절능력은 만족감, 의사소통, 신뢰감, 친근감, 민감성, 개방성, 이해성과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즉, 정서조절능력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뮤지컬 활동이 정서조절능력의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대인관계능력 또한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낸다는 가능성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뮤지컬 활동이 중학생의 정서조절 및 대인관계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뮤지컬 활동의 필요성 및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는 뮤지컬 부서가 있는 특정 중학교 내에서 이루어진 연구이므로 일반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연구 대상을 더 확대하고 구체화하여 뮤지컬 활동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및 실질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많은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 뮤지컬 교육의 장점을 강조하고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해야 한다. 둘째, 이 연구에서 밝힌 변인 외에도 뮤지컬 활동을 통해 영향을 받는 더 다양한 변인들의 탐색이 필요하며 단기적인 연구보다 장기적인 연구로 뮤지컬 활동의 다양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뮤지컬 교육의 효과적이고 장기적인 발전을 위하여 뮤지컬 수업 시설, 다양한 뮤지컬 프로그램, 뮤지컬 강사 모집 시스템 및 교육 등에 대한 보다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뮤지컬 활동의 긍정적 기능이 학교 교육을 통해 실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더 발전되고 확대된 음악교육 환경에서 더 많은 학생들이 뮤지컬 교육을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됨으로써 정서적 조화와 대인관계를 이루어나가며 건강한 청소년 생활을 영위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This research is purposed to identify educational significance in musical education through looking into effects on emotional control and interpersonal ability of musical activities in middle schools. Emotional control and interpersonal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began musical activities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musical activities to see changes in emotional control and interpersonal ability according to their general qualities (gender, year, motivation) as well as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control and interpersonal ability. Students in a musical club in H middle school located in Gyounggi-d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this research was based on a questionnaire investigation study that questionnaires were produced before and after musical activities.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based on the methodology above is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identifying changes in emotional control of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musical activities,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at overall emotional control was improved after musical activities. Moreover, self-emotional control and ability of controlling others’ emotions were improved comparing to before experiencing musical activities. Secondly, as a result of identifying changes in interpersonal ability of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musical activities, it was possible to see positive improvement after musical activities. Satisfaction, communication, trust, intimacy, openness and understanding were also improved after experiencing musical activities. Thirdly, female participants were identified comparatively higher than male participants in emotional control according to their general quality and also female participants’ self-emotional control and ability of controlling others’ emot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male participants’. Through this result, it was possible to verify that musical activities more sensitively affect emotional control of female participants.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in emotional control according to their motivation and a positive improvement in emotional control and self-emotional control from those who participated musical activities willingly. Fourthly, there was only gender difference amongst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musical activities with regard to interpersonal ability and its sub factors of those. Female participants’ scores of Interpersonal ability and all sub factors; satisfaction, communication, trust, intimacy, sensitivity, openness and understanding were higher than male participants and there was a positive improvement across all participants. Through the result it was possible to verify that female participants’ interpersonal ability is more sensitively improve from musical activities. Lastly,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ticipants’ emotional control and interpersonal ability. More specifically, whole emotional control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tisfaction, communication, trust, intimacy, sensitivity, openness and understanding. In other words, a person with a high level of emotional control has a high level of interpersonal ability. Therefore, musical activities should purpose to improve emotional control so it may result in a positive change in interpersonal ability. This research result has verified that there are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control and interpersonal ability of students who experience musical activities and according to this conclusion there are a few proposals for further research and in need of musical activities. Firstly, this research was preceded within one middle school 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se the conclusion drawn. Therefore, popula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should be expanded and specified to study further on how musical activities affect students in further studies to claim strengths of musical education alongside with significance of music education. Secondly, there is a need for more variable factors that may be acquired through musical activities other than those variable factors mentioned in this study and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in a long term to identify various effects from musical activities. Lastly, for effective and long-term development of musical education state-wise supports such as facility for musical lessons, various musical programs, musical teacher recruit and education system are urgently required and once these supports and development needs are resolved, then it should be actualized in school education curriculum to bring up positive impacts of musical activities. It is expected to see teenagers to manage a constructive life by participating actively in musical education in more developed and extended music curriculum and thus making an emotional harmony with personal rel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정서조절의 정의 및 중요성 6 B. 대인관계의 정의 및 중요성 10 C. 뮤지컬의 정의 및 교육적 가치 17 D. 선행논문 고찰 31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36 A. 연구 대상 36 B. 연구 설계 39 C. 연구 절차 39 D. 측정 도구 45 E. 자료 처리 및 분석 절차 47 F. 연구 윤리에 대한 고려 48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49 A. 정서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49 B. 정서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 사후 검사 차이 비교 58 C. 정서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64 Ⅴ. 결론 및 제언 66 참고문헌 70 부록 79 부록 Ⅰ. 검사 안내문 80 부록 Ⅱ. 중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 81 부록 Ⅲ. 정서조절능력 검사 82 부록 Ⅳ. 대인관계능력 검사 83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80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중학생의 뮤지컬 활동이 정서조절 및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mpact of Middle School Students’ Musical activities on Emotional Control and Interpersonal Ability-
dc.format.pagevi,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