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석선-
dc.contributor.author이현정-
dc.creator이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69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6993-
dc.description.abstract알코올중독은 우리나라 남성 5명 중 1명이 평생에 한번이상 경험하는 정신질환으로, 의료비의 지속적 상승 및 음주상태의 사건 발생 증가와 생산성 감소로 사회·경제적 소실비용이 매우 높은 만성질병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알코올중독자의 음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알코올중독을 예방하고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6년 3월 30일부터 4월 30일까지 S시, K시 및 K도에 소재한 6곳의 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게 알코올중독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중인 19세 이상의 성인 남자 223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로 알코올중독자의 음주정도는 WHO에서 개발한 척도(AUDIT; Saunders, Aasland, Babor, De la Fuente, & Grant, 1993), 외상 후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증상의 심각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PSS-I; Foa, 1993), 애착은 친밀관계경험척도(ECR-R; Fraley, Brennan, & Waller, 2000), 음주동기는 한국판 음주동기척도(신행우, 한성열, 1998)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hi-squre, ANOVA, Scheffe test, Pes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음주정도를 측정하는 평균점수는 23.39±8.51(0-40점)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의존이 147명(65.9%)으로 가장 많았으며, 위험음주가 61명(27.4%), 정상음주가 15명(6.7%)의 순서로 나타났다. 애착 평균점수는 애착불안 3.03±0.96, 애착회피 3.89±0.78(1-7점)이었다. 외상 후 스트레스 평균점수는 12.5±10.10으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 영역별 평균점수는 재경험증상 3.21±3.27, 회피증상 5.40±4.76, 과각성증상 3.93±3.40이었다. 음주동기 평균점수는 대처동기 3.35±0.93, 사교동기 3.03±0.98, 고양동기 2.75±0.93, 동조동기 2.17±0.84로 나타났다. 2. 알코올중독자의 음주정도에 따른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연령(χ²= 26.502, p<.001), 의료보장형태(χ²=9.759, p=.045)가, 알코올관련특성에서는 첫 음주 연령(χ²=13.472, p=.009), 알코올중독의 인식(χ²=41.539,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3. 애착에서 애착불안(F=9.701, p<.001), 외상 후 스트레스(F=5.948, p=.003), 외상 후 스트레스의 하위영역인 회피증상(F=5.628, p=.004), 과각성증상(F=5.631, p=.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음주동기에서 대처동기(F=18.617, p<.001), 사교동기(F=5.472, p=.005), 고양동기(F=14.189, p<.001), 동조동기(F=10.752,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음주정도와 애착에서 애착불안(r=.336, p<.001)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 후 스트레스(r=.335, p<.001), 외상 후 스트레스의 3가지 하위영역인 재경험증상(r=.252, p<.001), 회피증상(r=.336, p<.001), 과각성증상(r=.284 p<.001)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동기에서 대처동기(r=.454, p<.001), 사교동기(r=.223, p=.001), 고양동기(r=.311, p<.001), 동조동기(r=.320, p<.001)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입원중인 남성 알코올중독자의 음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단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ModelⅠ에서 애착의 애착불안, 애착회피 변수를 분석하였을 때, 애착불안(ß=2.945, p<.001)이 알코올중독자의 음주에 통계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6%의 설명력을 보였다. ModelⅡ에서는 애착에 외상 후 스트레스의 3가지 하위영역 재경험증상, 회피증상, 과각성증상을 추가하였고, 애착불안(ß=2.115, p=.001)과, 외상 후 스트레스의 회피증상(ß=.441, p=.011)이 통계적으로 알코올중자의 음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odelⅠ에 비하여 약 4%증가된 14.3%의 설명력을 보였다. ModelⅢ에서는 애착, 외상 후 스트레스의 3가지 하위영역에 4가지 음주동기인 대처동기, 사교동기, 고양동기, 동조동기의 변수를 추가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음주동기의 대처동기 (ß=3.296 p<.001), 외상 후 스트레스의 회피증상(ß=.346, p=.036)이 알코올중독자의 음주에 통계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ModelⅡ에 비하여 약 9% 증가 된 23.6%의 설명력을 보였다. 그러나 음주동기가 추가된 ModeⅢ에서 애착불안은 알코올중독자의 음주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입원중인 남성 알코올중독자의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음주동기의 대처동기와 외상 후 스트레스의 회피 증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알코올중독자의 음주정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대처동기와 회피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e correlational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drinking motives on alcohol consumption among hospitalized male patients with alcohol intoxication. A sample consisting of 223 patients diagnosed with alcohol intoxication was recruited from 6 mental hospitals throughout S city, K city and K province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30, 2016 to April 30, 2016. The measures for this study were alcohol consumption of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AUDIT; Saunders, Aasland, Babor,De la Fuente, & Grant, 1993),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of the Posttraumatic Symptom Scale-Interview (PSS-I; Foa et al, 1993), attachment of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Revised(ECR-R; Fraley, Brennan, & Waller, 2000) and drinking motiv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rinking Motives Scale(Sin, Hang-woo, 1998).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mean and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test, ANOVA, Scheffe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alcohol consumption of the sample was scored 23.39(SD=8.51).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the alcohol intoxication group(n=147, 65.9%), with only 61(27.4%) of them as a risk user group and 15(6.7%) as a general user group. The mean score of the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was 3.03(SD=0.96) and 3.89(SD=0.78), respectively. The mean score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was 12.5((SD=10.10) and the three sub-scales, re-experience 3.21(SD=3.27), avoidance 5.40(SD=4.76), and hyperarousal symptoms 3.93(SD=3.40). The mean score of coping, social, enhancement and conformity motives were3.35(SD=0.93), 3.03(SD=0.98), 2.75(SD=0.93) and 2.17(SD=0.84) respectively. 2. With regard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lcohol intoxication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χ²=26.502, p<.001) and type of medical assurance(χ²=9.759, p=.045), and also in age of first drinking experience (χ²=13.472, p=.009) and awareness of alcohol intoxication(χ²=41.539, p<.001), which were the alcohol-related properties.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cohol intoxication group in attachment anxiety(F=9.701, p<.001),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F=5.948, p=.003) and sub-scales including avoidance(F=5.628, p=.004) and hyper-arousal symptoms(F=5.631, p=.004). In the additional post-hoc tes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ttachment anxiet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among alcohol intoxication groups in coping motives(F=18.617, p<.001), social motives(F=5.472, p=.005), enhancement motives(F=14.189, p<.001) and conformity motives(F=10.752, p<.001). 4.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lcohol intoxication and attachment anxiety(r=.336, p<.001) and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r=.335, p<.001), re-experience (r=.252, p<.001), avoidance(r=0.336, p<.001), and hyper-arousal (r=.284 p<.001) and between coping motives(r=.454, p<.001), social motives (r=.223, p=.001), enhancement motives(r=.311, p<.001) and conformity motives (r=.320, p<.001). 5.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predictive factors on alcohol consumption in alcoholic male inpatients. The attachment subscales of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were included in all three models. Model I showed that attachment anxiety(ß=2.945, p<.001) predicted patients' alcohol intoxication, accounting for 10.6% of the variance. The addition of the thre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subscales of re-experience, avoidance, and hyperarousal symptoms in Model II revealed that attachment anxiety(ß=2.115, p=.001) and avoidance symptoms(ß=.441, p=.011) predicted patients' alcohol intoxication, explaining 14.3% of the variance increased by 4% in comparison to Model I. In Model III, the four drinking motives of coping, social, enhancement and conformity motives were included with the predictors in Model II. The model indicated that coping motives(ß=3.296 p<.001) and avoidance symptoms(ß=.346, p=.036) predicted patients' alcohol intoxication, explaining 23.6% of the variance, a 9% increase when compared to Model II. However, attachment anxiety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alcoholic patients' alcohol drinking in Model III. The results indicate that coping motives and avoidance symptom were highly associated with alcohol consumption in alcoholic inpatients. Given this, implementing nursing interventions to decrease coping motives and avoidance symptoms can be suggested in order to reduce alcohol drinking in inpatients with alcohol intoxi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목적 3 C. 용어 정의 4 Ⅱ. 문헌 고찰 6 A. 알코올중독자의 음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6 Ⅲ. 연구 방법 11 A. 연구 설계 11 B. 연구 대상 12 C. 연구 도구 13 D. 자료 수집 16 E. 자료 분석 17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18 G. 연구의 제한점 19 Ⅳ. 연구 결과 20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0 B. 음주정도와 애착, 외상 후 스트레스, 음주동기 23 C. 음주정도에 따른 애착, 외상 후 스트레스, 음주동기 25 D. 음주정도와 애착, 외상 후 스트레스, 음주동기의 상관관계 31 E. 알코올중독자의 음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33 Ⅴ. 논의 36 Ⅵ. 결론 및 제언 40 A. 결론 40 B. 제언 42 참고문헌 44 부록 52 ABSTRACT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13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알코올중독자의 음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redi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alcohol drinking among patients with alcohol intoxication-
dc.format.pagevi, 68 p.-
dc.contributor.examiner정덕유-
dc.contributor.examiner김경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