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석선-
dc.contributor.author김혜숙-
dc.creator김혜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69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7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697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effects of psychodrama on military life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transcendence,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58 military personnel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ample was comprised of a total of 58 military personnel(2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the in control group) in the Korean army of k-do province.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90-minute psychodrama session, held twice a week for 4 weeks. Instruments used to measur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f mental health i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s are as follows: Military Life Stress Scale(Park, 2001), Relationship Change Scale(RCS; Schlein et al., 1971), Self-Transcendence Scale(STS; Reed, 1991),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Spielberger, 1970), Centers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Radloff, 1977).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 test for homogeneit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l group was analyzed prior to the study using χ2-test, Fisher ’s Exact test, t-test, and the difference found between the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ared using ANCOVA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homogeneity test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ge of experimental (mean 21.04, SD 1.26) and controlled(mean 21.20, SD 1.06) groups, and period of military service in months of the experiemental(mean 9.71, SD 6.04) and controlled(mean 11.77, SD 6.00) groups. At the baseline,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two groups, indicating that groups were sufficiently homogeneous. 2.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military life stress(t=4.383, p=.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s(t=-3.828, p=.001), state anxiety(t=4.277, p=.001), trait anxiety(t=4.179, p=.001), and depression(t=4.694, p=.001) as opposed to self-transcendence(t=-1.907, p=.062). For this reason,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using ANCOVA to prevent the pretest scores from influencing the differences in posttest scores of two groups. 3. The effects of psychodrama in the experimental group ware found in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9.792, p=.003), self-transcendence(=11.212, p=.006) and lower state anxiety(=9.184, p=.004), trait anxiety(=9.600, p=.003) and depression(=8.09, p=.006)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effects were repor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military life stress. This indicates that intervening psychodrama to military personnel had affecte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transcendence, anxiety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sychodrama wa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and anxiety, and in strengthen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transcendence of military personnel. The psychodrama sessions provided in this study we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theatrical performance to represent situations in a variety of ways. Military personnel were able to understand their problems and others cognitively, and learned a way to safely and desirably express their feelings emotionally through verbally expressing the conflict they have experienced with the assistance of interaction within a group in a therapeutic environment. Furthermore, a positive effect was shown on improving the mental health of military personnel through enhancing the ability to cope with a situation in the future as well as obtaining self-understanding and insight via reenacting a situation regardless of space and time from the past, present or future. Given these results, future research may examine the use of psychodrama sessions as an intervention method for a variety of groups with mental health vulnerabilities. Notably, a repeated research regarding the type of military forces, base location, rank, and sex may be implemented to examine the effect.;본 연구는 군인을 대상으로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군 생활 스트레스, 대인관계, 자기초월감, 불안,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유사 실험 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k도 육군에 군 복무중인 군인으로, 실험군 28명, 대조군 30명, 총 58명으로 실험군에게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을 총 8회기, 주 2회, 1회기 당 90분씩, 4주 동안 제공하였다. 프로그램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정신건강에 관련된 점수를 측정한 연구도구로는 군 생활 스트레스(박현철, 2001), 대인관계(RCS; Schlei et al., 1971), 자기초월감(STS; Reed, 1991), 불안척도(STAI; Spielberger, 1970), 우울척도(CES-D; Radloff, 1977)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χ2-test, Fisher ’s Exact test, t-test로 분석하고, 프로그램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종속변수의 차이는 ANC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은 평균 연령이 실험군 21.04±1.26세, 대조군 21.20±1.06세, 복무기간이 실험군 9.71±6.04개월, 대조군 11.77±6.00개월 이었다. 실험군, 대조군간의 일반적 특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동질한 집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연구의 주요 변수인 자기초월감(t=-1.907, p=.06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동질한 집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군 생활 스트레스(t=4.383, p=.001), 대인관계(t=-3.828, p=.001), 상태불안(t=4.277, p=.001), 특성불안(t=4.179, p=.001), 우울(t=4.694 , p=.001)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동질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값의 차이가 사후 점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사전값을 공변수로 통제한 ANCOVA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3.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대인관계(=9.792, p=.003), 자기초월감(=11.212, p=.006)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불안의 하부요인에 상태불안(=9.184, p=.004), 특성불안(=9.600, p=.003)과 우울(=8.309, p=.006)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실험군의 군 생활 스트레스(=3.305, p=.075)는 대조군보다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은 군인에게 대인관계, 자기초월감, 불안, 우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은 군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불안을 낮추며 대인관계와 자기초월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공된 사이코드라마 중재프로그램은 연극적인 방식으로 상황을 다양한 극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군인들은 치료적인 환경 안에서 집단내의 상호 작용을 통해 자신이 겪는 갈등을 언어로 표현하고, 역할놀이를 통하여 자신 및 타인의 문제를 인지적으로 이해할 뿐 아니라 정서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안전하고 바람직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운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과거, 현재, 미래 등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상황을 재연함으로써 깊은 자기이해와 통찰력을 갖게 될 뿐 아니라,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군인의 정신건강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을 정신건강에 취약한 다양한 집단의 중재 방안으로도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특히, 군별, 부대위치, 신분별, 성별 등 다양한 대상자에게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연구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필요성 1 B. 연구 목적 4 C. 연구 가설 5 D. 용어 정의 6 Ⅱ. 문헌고찰 9 A. 군인의 정신건강 9 B. 군인 정신건강 중재 프로그램 11 C. 사이코드라마의 효과 15 Ⅲ. 연구 방법 21 A. 연구 설계 21 B. 연구 대상자 22 C. 자료수집 및 절차 23 D. 연구 도구 32 E. 자료 분석 35 F. 연구의 제한점 36 G. 윤리적 고려 37 Ⅳ. 연구 결과 38 A. 집단간의 동질성 검증 38 B.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42 C.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결과 54 Ⅴ. 논의 57 Ⅵ. 결론 및 제언 62 A. 결론 62 B. 제언 64 참고문헌 65 부록 72 ABSTRACT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54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군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iveness of psychodrama on improving mental health among military personnel-
dc.format.pagev, 98 p.-
dc.contributor.examiner정덕유-
dc.contributor.examiner김경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