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숙정-
dc.contributor.author심재인-
dc.creator심재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6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7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650-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is a descriptive investigation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ttitude, problem, and practice about breastfeeding in mothers of twin and prepare a mediation basis to promote breastfeeding for twin. Research target was 151 mothers of twin 2 to 12 months-old, who are the members of on-line mothers of multiples community cafe,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line from November 15, 2015 to February 29, 2016. As the research tool, this research utilized a tool amended·complemented by Son (2007), which had been developed by Lee (1997) in respect of breastfeeding knowledge, and utilized a tool developed by Jeong (1997) based on Cohler (1976)'s MAS (Maternal Attitude Scale) measurement tool in respect of breastfeeding attitude. In respect of problem of breastfeeding, the researcher amended problem factor question of premature baby breastfeeding developed by Kim (2003) proper for the breastfeeding situation of twin. Practice of breastfeeding means whether of practice of 2 months-olds' breastfeeding, and I, II stages were considered as breastfeeding practice among the 5 stages (Helsing, 1985) of infant classification system in breastfeeding type suggested by WHO.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Welch-Aspin, Welch test, Chi-square test,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statistics 23 program.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1. Breastfeeding knowledge, attitude, and problem of research target and practice Breastfeeding knowledge of research target appeared average 18.34±4.63, breastfeeding attitude, 3.61±0.51, and problem, average 13.35±1.08. Breastfeeding practice appeared 27.8% in breastfeeding group in 2 months-olds' breastfeeding type. 2. Difference in breastfeed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along with general characteristic and breastfeeding characteristic Breastfeeding knowledge level of research targe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long with whether of having a job or not (t=-2.76, p=.009), number of children(t=-2.53, p=.014), whether of having help of postnatal care center with postnatal care(t=-3.06, p=.003), and current number of month after birth(F=4.88, p=.010). Breastfeeding attitude of research targe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long with number of weeks of birth (t=2.06, p=.042), proper breastfeeding period (F=3.40, p=.036) and breastfeeding determination time(F=5.75, p=.007). Practice of breastfeeding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long with the number of children of research target. (p < .05) 3. Factors that influence breastfeeding practice Probability to belong to breastfeeding practice became significantly higher by 2.432 times (p< .05) when breastfeeding attitude of research target increased higher by 1. When the age got higher by 1, probability of practice of breastfeeding became significantly lower by 0.866 times(p< .01). When the number of children was over 3, probability of practice of breastfeeding became significantly higher by 4.836(p< .01) compared to the number of children 2. In conclusion, the average of breastfeeding knowledge of mothers of twins appeared similar to the measured value of other researches that used the same tool, while the average of breastfeeding attitude was relatively low. Problem of breastfeeding of mothers of twin was insufficient mother's milk and difficulty of simultaneous breastfeeding. Also, the age, number of children, and breastfeeding attitude of research target appeare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breastfeeding practice. Therefore, the researcher considers institutional mediation and multilateral approach are necessary to enable them to choose breastfeeding practice by developing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of twins that can positively change their breastfeeding attitude, composing breastfeeding support system composed of the experts, and spreading positive awareness on breastfeeding.;본 연구는 쌍태아 어머니의 모유수유 지식, 태도, 장애요인 및 실천에 대해 알아보고, 쌍태아의 모유수유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온라인의 다태아 어머니 커뮤니티 모임에 가입되어 있는 생후 2개월에서 12개월의 쌍태아 어머니 151명이며, 자료수집은 2015년 11월15일부터 2016년 2월 29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졌다. 모유수유 지식은 이은주(1997)가 개발하고 손인아(2007)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모유수유 태도는 정금희(1997)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모유수유 장애요인은 김미순(2003)이 개발한 미숙아의 모유수유 장애요인 문항을 쌍태아의 모유수유 상황에 맞게 연구자가 수정하였다. 모유수유 실천은 생후 2개월의 모유수유 실천여부를 의미한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Levene’s test, Welch-Aspin, Welch test, Chi-square test,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모유수유 지식, 태도, 장애요인 및 실천 대상자의 모유수유 지식은 28점 만점에 평균 18.34±4.63점, 모유수유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1±0.51점, 모유수유 장애요인은 17점 만점에 평균 13.35±1.08 점으로 각각 측정되었다. 또한 가장 많이 호소하는 장애요인은 모유량 부족, 동시수유의 어려움, 아기의 부족한 수유력이었다. 생후 2개월의 모유수유 실천율은 27.8%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 수유특성에 따른 모유수유 지식, 태도, 실천의 차이 대상자의 모유수유 지식은 직업이 있는 경우(t=-2.76, p=.009), 현재 자녀의수가 3명이상(t=-2.53, p=.014), 산후조리 도움을 산후도우미에게 받은 경우(t=-3.06, p =.003), 현재 영아의 개월 수가 어릴수록(F=4.88, p=.010)모유수유 점수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모유수유 태도는 출생 주수가 35주 미만(t=2.06, p=.042), 대상자가 생각하는 적절한 모유수유 기간이 길수록(F=3.40, p=.036), 모유수유 결정 을 임신 전(F=5.75, p =.007)에 할수록 모유수유 태도 점수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모유수유 실천은 대상자의 현재 자녀의 수가 3명 이상일 경우에 모유 수유를 실천율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020) 3. 모유수유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상자의 모유수유 태도가 1점 높아질 때마다 모유수유 실천에 해당될 확률이 2.432배로 유의하게 더 높아졌다(p=.028). 나이가 1세 높아질 때마다 모유수유 실천에 해당될 확률이 0.866배로 유의하게 더 낮아졌다(p=.008). 현재자녀수가, 2명일 때에 보다 3명 이상일 때 모유수유 실천에 해당될 확률은 4.836배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쌍태아 어머니의 모유수유 지식수준은 다른 연구의 대상자들과 비슷했으며, 모유수유 태도는 비교적 낮았다. 쌍태아 어머니의 모유수유 장애요인은 아기의 수유능력, 모유량 부족, 동시 수유의 어려움이었다. 쌍태아 어머니의 나이, 현재 자녀의 수, 모유수유 태도가 모유수유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쌍태아의 모유수유 증진을 위해서는 모유수유의 주체가 되는 쌍태아 어머니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바꾸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쌍태아 어머니를 위한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전문가로 구성된 모유수유 지지체계를 구성하고, 모유수유를 실천할 수 있는 제도적 중재와 다각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고찰 9 A. 다태아의 모유수유 9 B. 모유수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2 Ⅲ. 연구방법 16 A. 연구설계 16 B. 연구대상 16 C. 연구도구 18 D. 자료수집방법 22 E. 자료분석방법 23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24 G. 연구의 제한점 25 Ⅳ. 연구결과 및 논의 26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수유관련 특성 26 B. 대상자의 모유수유지식, 태도, 장애요인, 실천 34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수유관련특성에 따른 모유수유지식, 태도, 실천의 차이 46 D. 모유수유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7 Ⅴ. 결론 및 제언 60 A. 결론 및 논의 60 B. 제언 63 참고문헌 64 부록1. 대상자모집문건 72 부록2. 연구참여설명동의안내문 74 부록3. 설문지 77 부록4. IRB 심의 결과 통보서 85 부록6. IRB동의서면화 면제 확인서 88 ABSTRACT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966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쌍태아 어머니의 모유수유 지식, 태도, 장애요인 및 실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knowledge, attitude, problem and practice about breastfeeding in mothers of twin-
dc.format.pagevi, 94 p.-
dc.contributor.examiner김미영-
dc.contributor.examiner차지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