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현정-
dc.contributor.author김정하-
dc.creator김정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1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7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189-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2011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음악중점고등학교의 음악중점반 학생들의 학교만족도와 전공만족도를 예술고등학교 음악전공 학생들과 비교함으로써 현 음악중점고등학교의 교육환경 개선과 학생들의 전공발전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두 학교 학생들의 학교만족도와 전공만족도를 측정 및 비교하였고, 그에 따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강원과 충남 소재의 음악중점고등학교 학생 224명과 예술고등학교 학생 293명, 총 5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크게 일반적 특성, 학교만족도, 전공만족도, 학교개선점에 관한 개방형 질문 4가지 부분으로 구성하였고 수집한 설문지는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 Duncan 사후검정, Pearson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를 통한 음악중점고등학교 음악중점반 학생들의 학교만족도와 전공만족도는 5점 만점에 3.46점, 3.72점으로 보통을 상회하는 수준을 보였다. 빈도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학교만족도와 전공만족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반적 특성 요인 중 성별, 학년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학교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낮았으며, 학년에 따른 전공만족도는 3학년이 1학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통계를 통한 예술고등학교 음악전공학생들의 학교만족도와 전공만족도는 5점 만점에 3.55점, 4.02점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빈도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학교만족도와 전공만족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반적 특성 요인 중 학년, 진학동기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에 따른 학교만족도는 1학년이 3학년 보다 높았으며, 진학동기에 따른 전공만족도는 본인희망으로 진학한 학생이 타의로 진학한 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술고와의 집단 간 차이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음악중점고등학교 음악중점반 학생들의 전체적 학교생활만족도는 비교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학교만족도의 구성요인 중 학교행사와 학교친구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음악중점고등학교 음악중점반 학생들의 전공만족도 또한 전체적으로 예술고등학교 음악전공 학생들보다 낮은 결과를 나타냈고, 전공만족도의 모든 구성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도출한 학교생활만족도와 전공만족도의 관련성과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한 학교생활만족도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기반으로 살펴본 결과, 학교만족도의 독립변수인 학교행사, 학교수업, 학교친구 요인의 만족도가 종속변인인 전공만족도와 비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만족도와 전공만족도의 비례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학교만족도 하위요인의 만족도 향상을 통한 전공만족도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음악중점고등학교 음악중점반 학생들의 전공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근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음악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만족도 하위영역 중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학교행사와 학교친구 만족도 개선을 위해 학교 측의 주의 깊은 배려와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실태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음악중점고등학교는 다양하고 질 높은 연주경험 기회의 제공과 종합적인 입시전형 도입을 통해 학교행사 만족도를 높이고 학생들 간의 음악적 수준차이에서 발생하는 괴리감을 완화시켜 학교친구 만족도의 향상 또한 이끌어내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전공을 위한 분아별 전문 실기교사의 보충과 이를 통한 지원으로 음악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에 대한 갈증을 해소시켜 전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의 증진을 이끌어줘야 한다. 이와 같은 개선방안들을 통한 학교 측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으로 인해 음악중점고등학교 음악중점반 학생들이 예술고등학교 학생들과 비슷한 교육환경아래 전공발전에 힘쓸 수 있고 다양하고 지속적인 교육혜택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in the music-specialized high school, which was been established in 2011, by making a comparison test to the satisfactory levels of students in the arts high school in order to improve music-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major field of studies. For above purpose and to analyze students' satisfactory level comparison to evaluate correlation, this study measured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of those students have enrolled in the music-specialized high school and the arts high school.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were aggregated from the music-specialized high school by 224 students and 293 students from the arts high school, a total of 517 students in Kang-Won and Choong-Nam regions. The survey was comprised of the following inquiries: general traits, school life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and four open-ended questions concerning school improvemen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Duncan’s post hoc,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from this survey. The conclusion reached in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on the satisfactory level of the students in music centered class at the music-specialized high school turned out to result in a score of 3.46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3.72 on major satisfaction on a scale of one to five, which is above the average. Second, a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on the satisfactory level of the students at the arts high school turned out to result in a score of 3.55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4.02 on major satisfaction on a scale of one to five, which it exceeds the average. Thir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intergroup difference. The overall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for students in music centered class at the music-specialized high school turned out to have less than the overall satisfactory level of students at the arts high school, and the sub-factors, such as school events and classmates, appeared to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he result. Fourth, the overall level of majors’ satisfaction for the students in music centered class at the music-specialized high school turned out to be less than the overall satisfactory level of the students at the arts high school, and all sub-factors appeared to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he result. Fifth, according to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hich has been conducted in this study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sub-factors such as school events, school class, and classmate are equivalent to the major satisfac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Through this study, a proportional correlation betwee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has been observed, which indicates the probability of attaining a positive gain on major satisfaction as the sub-factor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improve. In other words, it implies that the overall school life satisfaction plays as a source of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progressive capability for their major. Especially, for those students in the music-specialized high school wh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such as school events and classmate, it is essential for the school to come up with an effective plan thus, the students can fulfill their satisfactory school life. Therefore, the school must provide a diversified and fine quality of music performance opportunities and introduce a comprehensiv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school event satisfactory level and to alleviate the gap among students so the classmate satisfactory level can also be improved. In addition, regarding students’ satisfactory level of major, the music-specialized high school need to augment and secure professional teachers by detail fields for those students aspired to study in various music fields. This will lead the students to deepen interest and to gain confidence in their major field of studies. Lastly, with all the proposals suggested throughout this study, it is necessary for the music-specialized high school to support their students with an enthusiastic attitude and care so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can be given to the students, which provides equal opportunities as the students at the arts high school receive. This kind of supportive activity should remain continuously to aid the students’ growth in major developments and to create such an environment, which offers equal educational benefits to all the music majoring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예술고등학교와 음악중점고등학교 음악전공자의 특징 5 B. 학교만족도의 개념과 구성요인 13 C. 전공만족도의 개념과 구성요인 17 D. 선행연구 고찰 22 Ⅲ. 연구방법 28 A. 연구대상 28 B. 연구절차 30 C. 자료 수집 방법 31 D. 자료 분석 방법 34 Ⅳ. 연구결과 35 A. 음악중점고등학교와 예술고등학교 음악전공학생의 일반적 특성 분석 35 B. 음악중점고등학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만족도 및 전공만족도 차이 38 C. 예술고등학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만족도 및 전공만족도 차이 50 D. 집단에 따른 학교만족도 및 전공만족도 62 E. 학교만족도와 전공만족도의 관계 69 F. 학교의 개선점에 대한 개방형 응답 72 Ⅴ. 결론 및 제언 74 참고문헌 79 부록1 설문지 85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98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음악중점고등학교 음악전공자의 학교만족도와 전공만족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예술고등학교 음악전공자와 비교하여-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atisfactory Level of School Life and Major Among Music majoring Students in Music-Specialized High School : In Comparison to Music majoring Students in Arts High School-
dc.format.pageviii,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